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병원/의약품 산업 > 병원 경영
· ISBN : 9788955967388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5-12-21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면서
제1장 사물을 보는 관점 및 사고방식과 간호 관리 - 데시마 메구미
1. 왜 사물을 보는 관점이 중요한가?
2. 조직 감정과 포지티브 매니지먼트
3. 포지티브 매니지먼트에 의한 조직 개발
4. 액션리서치 그리고 조직 개발
5. 포지티브 매니지먼트로 활기찬 팀 만들기
제2장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고, 서로 돕는 문화를 만들기 위하여, 포지티브 매니지먼트의 이론과 프로세스 - 이치세 히로키
1. 감정과 학습 그리고 조직 행동 - 포지티브 매니지먼트가 목표로 하는 것
2. 관리자 자신의 감정을 관리하기 - 포지티브 리더십의 첫걸음
3. 워크숍과 퍼실리테이션 - 조직 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리더십
4. 포지티브 매니지먼트의 계획과 실천
5. 학습하는 조직, 즐기는 마음, 소셜캐피탈 - 조직의 '긍정도'를 측정하는 지표
제3장 다양한 방법을 유연하게 조합하는 관점, 포지티브 매니지먼트의 기법 - 이치세 히로키
1. 조직 개발 기법의 특징을 확인하는 관점
2. 월드카페
3. 액션러닝(질문회의)
4. 긍정변화기법(Appreciative Inquiry, AI)
5. 퓨처서치
6. 조직 개발 기법을 포지티브 매니지먼트에 활용하려면
제4장 실제 사례에서 배우는 포지티브 매니지먼트
포지티브 매니지먼트의 실천, 활동을 생각하는 관점과 단계 - 다카노 요우코
사례 1 포지티브 어프로치에 의한 간호부장의 능력 개발과 지원
대화를 통한 가치 공유와 미래지향적인 목표 관리로 조직을 활성화 - 다카노 요우코
사례 2 서로 지원해줄 수 있는 관계성에 착안한 목표 관리
포트폴리오 평가를 도입 - 오제키 지시
사례 3 중요한 가치를 공유함으로써 간호의 질과 효율성을 높인다 - 사카이 후미
사례 4 간호사 - 간호조무사와의 팀 구성 210
간호조무사의 지원과 활용 - 이리에 아키코
사례 5 자신들의 '보물'을 발견하려는 활동이 조직을 움직인다 - 오바야시 유미코
사례 6 지역 내 병원의 네트워크 구축으로 포지티브 감정 만들기와
서로 지지하는 신입 간호사 연수의 구조 만들기 - 호리우치 유미
맺음말
참고·인용 문헌
워크노트
포지티브 매니지먼트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
색인
책속에서
"우리는 인간이고, 생명을 지닌 생물체다. 그러므로 사람을 기계에 비유하기보다는 자연이나 생물계에서 배우는 것을 전제로 사람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이것이 생명론적 세계관입니다. 생물의 특징으로는 개방계, 자기조직화, 창의적이고 발전적인 진화, 그리고 환경과의 관계를 들 수 있습니다.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간호론(Notes on Nursing : What it is and What it is Not)》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간호란 자연이 손을 쓸 수 있는 최선의 상태에 환자를 놔두는 것이다." 즉, 플로렌스 나이팅게일도 자연치유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것이지요. 이렇듯 자신의 존재라는 경계를 뛰어넘는 자기초월적 개념은 베티 뉴먼, 로즈메리 파시, 진 왓슨 등의 간호이론에서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에 교사로 처음 부임했을 당시 학생들의 실습을 지도할 때의 일이 생각납니다. 그때 세이로카 간호대학의 학과장을 역임하던 히가키 마사 선생이 필자에게 "실습은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하셨지요. 임상 간호사를 하다가 이제 막 교사가 된 필자는 봇물 터지듯이 "학생은 이래서도 안 되고, 저렇게 해서도 안 됩니다. 그런 상태에서 어떻게 간호사가 될 수 있겠습니까"라는 이야기를 했다고 기억합니다. 그러자 히가키 선생은 이렇게 말하셨지요. "평가를 하는 것만이 교육이라고 할 수는 없지요. 교육이란 학생이 적재적소에 필요한 인재가 되게끔 육성하는 일입니다." 그렇듯 인자하게 타이르듯이 필자를 깨우쳐준 히가키 선생의 말씀이 관리자가 된 지금도 필자의 가슴에 남아있습니다.
포지티브한 감정이 넘치는 조직 구성원들은 현재의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주변 동료들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보다 더 큰 전체와 연결시켜 상황을 파악한 뒤, 더블루프 학습을 더욱 진지하게 수행함으로써 조직이 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려고 노력하지요. 그럼으로써 주변에 조금이라도 더 많은 영향을 주려고 합니다. 즉, 포지티브 매니지먼트가 목표로 하는 것은 포지티브한 감정을 일으켜 구성원의 인식과 행동을 변화시킴으로써 포지티브한 감정-사고-행동이 잘 순환하는 조직을 만드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