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뇌의식의 기초

뇌의식의 기초

(의식이란 무엇이며, 뇌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안티 레본수오 (지은이), 장현우, 황양선 (옮긴이)
한언출판사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100원 -10% 0원
390원
34,710원 >
25,000원 -35% 0원
0원
2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뇌의식의 기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뇌의식의 기초 (의식이란 무엇이며, 뇌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뇌과학 > 뇌과학 일반
· ISBN : 9788955969177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1-09-29

책 소개

의식이란 무엇이며, 뇌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뇌의식의 기초』에서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철학적.역사적 근원 및 현대 심리학과 뇌과학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의식의 다양한 상태에 관해서도 다룬다.

목차

옮긴이의 말 - 의식과학의 신기원
감사의 글
들어가는 말 - 의식: 뇌의 암흑 에너지?

1장 심리학과 의식과학
심리학은 심리적 실체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 초기 심리학은 의식의 과학이었다 | 20세기 심리학은 행동, 인지, 무의식의 과학이었다 | 의식이 빠진 심리학: 빈대 잡다 초가삼간 태우기? | 21세기 심리학, 의식의 화려한 복귀 | 현대 철학의 세 가지 난제: -로서의 느낌, 설명적 간극, 어려운 문제 | 의식과학의 연구 주제

2장 의식이란 무엇인가?
의식의 개념 | 현상 의식 | 현상 의식의 구조 | 반성 의식: 생각하는 마음 | 자의식 | 정리하기: 의식의 세 가지 핵심 개념 | 의식의 상태와 내용 | 의식과 행동: 좀비와 역좀비 | 혼동하기 쉬운 개념
흥미로운 연구 - 식물인간의 의식

3장 의식의 철학
철학은 의식에 관한 근본 질문을 탐구한다 | 의식의 정체 | 이원론: 기계에 깃든 유령 | 일원론적 유물론 (물리주의) | 환원주의 유물론 | 창발 유물론 | 유심론 | 중립적 일원론 | 기능주의 | 심신 문제의 철학적 핵심 | 어려운 문제와 설명적 간극 | 여기가 과학의 한계일까?
흥미로운 연구 - 박쥐가 된다는 것은?

4장 심리학 속 의식의 역사
서론 | 황금기 이전 시대: 의식의 과학은 존재할 수 없다 | 의식과학의 서곡: 의식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다 | 빌헬름 분트: 실험심리학의 아버지 | 의식의 원자: 티치너와 구조주의 | 역동적 흐름과 전체론적 의식 장 | 첫 번째 황금기의 흥망성쇠 | 심리학이 의식의 과학이 될 수 없는 이유 | 인지과학: 의식을 배제한 마음의 과학 | 새로운 황금기를 향해

5장 의식과학의 방법론
의식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 주관적 구두 보고: 꿈 연구 | 기술적 내성법의 문제점 | 구두 보고의 내용 분석 | 경험 표집법 | 생각대로 말하기 | 후향 설문 | 기타 의식 실험 기법

6장 신경심리학과 의식
서문 | 신경심리학과 시각 의식의 통합성 | 해리 증후군과 의식 | 자의식 손상

7장 의식의 신경상관물
서문 | NCC 연구 방법 | 의식 상태의 NCC | 식물인간 상태와 기타 전체 의식 장애 | 시각 의식의 NCC

8장 꿈
꿈과 의식의 역사 | 입출면 환각 | 수면 마비 | 수면 정신활동과 꿈 | 꿈의 내용 | 꿈을 꾸는 이유 | 자각몽 | 나쁜 꿈과 악몽 | 야경증 | 몽유병과 야간 배회 | 렘수면 행동 장애와 몽중 보행
흥미로운 연구 - 전두엽 감마 활동의 저전류 자극을 통한 꿈속 자의식 유도

9장 최면
최면이란 무엇인가? | 최면의 역사 | 최면 유도와 여러 가지 암시 | 최면 피암시성 | 최면은 변성 의식 상태인가? | 최면 상태에서 의식은 어떻게 될까? | 최면의 이론 연구와 임상 적용

10장 고차 의식 상태
서문 | 명상 | 최적 경험과 몰입 | 러너스 하이 | 유체 이탈 체험 | 임사 체험 | 신비 체험 | 깨달음: 최고의 의식 상태?
흥미로운 연구 - 뇌 전체 기능적 연결성의 증가와 LSD로 인한 자아 소멸의 상관관계

나오는 말
참고문헌
용어 소개

저자소개

안티 레본수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웨덴 셰브데 대학교 인지신경과학 교수이자, 핀란드 투르쿠 대학교 심리학 교수이다. 1990년대 초부터 꿈과 시각을 연구하며 의식과 마음-뇌 문제를 탐구했다. 저서로는 『내면의 존재: 생물학적 현상으로서의 의식Inner Presence: Consciousness as a Biological Phenomenon』(2006), 『의식, 주관성의 과학Consciousness, The Science of Subjectivity』(2010)이 있다. 인간이 꿈을 꾸는 이유를 진화심리학적으로 설명하는 위협 시뮬레이션 이론의 창시자로 유명하다.
펼치기
장현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시간대학교 의식과학연구센터 박사과정 연구원.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학사 및 석사를 졸업했다. 연구, 출판번역, 강연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의식과학의 발전과 대중화를 위해 힘쓰고 있으며, 한국의식과학학술회(https://www.kacs.me/)를 창설해 운영하고 있다. 역서로 『뇌의식의 대화』, 『뇌의식의 우주』, 『뇌의식의 기초』(공역), 『뇌의식의 증명』이 있다.
펼치기
황양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미생물분자생명과학과를 졸업한 후 KAIST 생명과학부에서 시각피질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막스플랑크 플로리다 신경과학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운전하기, 샤워하기, 지루한 강의 듣기와 같이 한 가지 동작을 멍하게 반복하다가 갑자기 깨어난 적이 있나요? 그럴 때면 지난 몇 분간 무슨 일이 있었는지 떠올리지 못하기도 합니다. 기억은 못 하는데 시간은 흘러 있었으니, 그 당시 여러분은 주의가 다른 곳에 쏠려 있거나 아무 데도 집중하지 않는 일종의 좀비 모드에 있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때의 여러분이 의식이 있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주변 상황과 자신의 행동을 경험했을까요? 주의를 기울여야만 정보가 의식될 수 있다면, 답은 "아니요"일 것입니다.
<의식과학의 연구 주제> 중에서


자기 인식이 일어나는 원리는 무엇일까요? 우리의 반성 의식은 관심 가는 대로 아무 경험이든 주의를 기울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자신도 주의의 대상이 될 수 있지요. 오늘날 SNS에 셀카 찍기가 유행하는 것을 보면, 인간이 자기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이기를 무척 즐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매일 거울로 매무새를 점검합니다. SNS에 업로드할 한 장의 셀카를 고르기 위해 수백 장의 사진을 검토하며 자신의 매력도를 판단하기도 하지요. 이 과정에서 우리는 자신의 신체상을 또렷이 자각하며, 그 신체의 움직임을 자아라는 지각적 존재가 통제한다고 믿게 됩니다.
<자의식> 중에서


식물인간 환자에게는 어떠한 심리 기능이 남아 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2006년 에이드리언 오언Adrian M. Owen 연구진은 기발한 실험을 고안했다. 이들은 교통사고로 심각한 뇌 손상을 입은 23세 여성의 인지 기능을 측정했다. 연구진은 식물인간 상태의 환자에게 테니스 치기와 익숙한 장소 돌아다니기 중 하나를 상상하도록 지시하고, 두 조건에서의 뇌 활성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비교했다. 정상인의 뇌에서는 테니스 치는 것을 상상하기만 해도 운동 영역이 활성화된다. 방 안을 걸어 다니는 상상을 하면 공간 지각을 관장하는 해마옆이랑이 켜진다. 그런데 환자의 신경 활성도가 정상인의 뇌와 유사했다. 그녀는 식물인간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내면에 의식이 있으며 의사소통도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식물인간의 의식>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