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청동기의 신비

중국 청동기의 신비

(학고재신서 38)

리쉐친 (지은이), 심재훈 (옮긴이)
학고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청동기의 신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청동기의 신비 (학고재신서 38)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56250335
· 쪽수 : 283쪽
· 출판일 : 2005-02-28

책 소개

중국 각지에서 발굴된 방대한 청동기를 각 기물이 속한 문화적 배경을 통해 고찰했다. 중국 청동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씌어진 책으로, 280여 컷의 도판 및 일러스트가 수록되어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1. 중국 청동기의 기원
2. 다양한 청동기의 세계
3. '땅은 보물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다'
4. 청동기 발전의 오랜 역사
5. 고대사의 지하 증거
6. 도상에서 전서와 예서로
7. 신화와 현실
8. 탁월한 제작 기술
9. 미술품으로서의 특징
10. 거울, 띠고리, 도장, 화폐
11. 문화의 전파와 교류
12. 끊임없는 새로운 발견

옮긴이의 말
중국의 주요 청동기 유적지
중국사 연표 및 고대 왕조의 연표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쉐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 중국 베이징에서 태어나 칭화대 철학과를 다녔다. 1952년 중국과학원 고고연구소(현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를 거쳐 1954년 중국과학원 역사연구소(현 중국사회과학원 고대사연구소)로 옮겼다. 이후 연구보조원, 연구원 등을 거쳐 1985~1988년 역사연구소 부소장, 1991~1998년 역사연구소장을 역임했다. 리 선생은 주로 중국 문명 초기부터 한대漢代까지의 역사문화 연구에 힘을 쏟았으며 문헌과 고고학, 출토 문헌 연구 성과를 상호 비교해서 정리하고 후세에 전하는 일을 과업으로 삼았다. 문헌학, 문자학, 고고학 등 여러 영역 하나 소홀히 대하지 않고 종합적으로 초석을 다져 나갔다. 1996년 하·상·주 단대 공정 총 책임자를 맡아 현장을 지휘했다. 2004년부터 칭화대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국제한학연구소 소장도 지냈다. 중국사회과학원 학술위원회 위원, 전국정협위원, 국무원 학위위원회 위원, 영국 케임브리지대 객원교수, 미국 UC버클리 객원교수 등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은대지리간론殷代地理簡論』 『고문자학초계古文字學初階』 『중국 청동기 개설中國靑銅器槪說』 『비교 고고학 수필比較考古學隨筆』 『간백일적과 학술사簡帛佚籍與學術史』 『의고시대를 걸어 나오다走出疑古時代』 『고문헌 총론古文獻叢論』 『사해심진四海尋珍』 『동주와 진대 문명東周與秦代文明』 『다시 쓰는 학술사重寫學術史』 『중국 고대문명 10강中國古代文明十講』 등이 있다. 제1회 한어 인문학술 공로상을 받았고, 2014년 세계 중국인국학상 공로상을 받았으며 2019년 2월 향년 86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펼치기
심재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대 중국 연구자로 단국대 사학과를 졸업하고(학사, 석사) 시카고대학 동아시아언어문명학과에서 1998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단국대 사학과 동양사 전공 교수로, 주로 중국 선진사와 동아시아 사학사를 연구하고 있다. 2020년 고대문명연구소(https://irec.study)를 설립하여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인도, 중국 등 핵심 고대문명 연구의 물꼬를 트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