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6347625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5-02-01
책 소개
목차
서론: 고대 근동과 중국, 문헌 전통 비교 연구의 물꼬를 트며…심재훈
제1부 고대 중국
제1장 중국 문자의 기원에 관한 생각들과 문해력…빈동철
I. 서론
II. 전통적 접근
III. 두 가지 주요한 현대적 접근
1.?중국 문자는 갑자기 출현하였다
2. 중국 문자는 점진적으로 출현하였다
IV. 대안적 접근: 문해력(literacy)은 종교적·의례적 활동과 특별히 관련되어 있다
1. 문해력에 관련된 인지 과정
2. 사물의 인식에서 문자의 인식으로
V. 요약과 결론
제2장 甲骨文 문자 체계에 공존하는 원시성과 발전성…김혁
I. 서론
II. 甲骨文에 보이는 원시적 형태들
III. 언어를 기록한 부호로서의 갑골문
1. 가차자
2. 形聲字
3. 문장으로서의 갑골각사
IV. 결론
제3장 고대 중국에서 ‘기억 매체’의 발달과 ‘역사 쓰기’의 시작-기호 전통과 商 문자의 과거 기록-…김석진
I. 머리글
II. 인간 기억과 그 확장의 역사
III. 고대 중국, 기억 매체의 초기 양상: 음성언어에서 시각 기호로
1. 신석기시대 추상성(기하성, 非상형성) 기호
2. 신석기시대 구상성(도상성, 상형성) 기호
3. 청동기시대 이후 도기류 기호
IV. 고대 중국, 기억 매체의 혁신과 ‘과거 쓰기’의 시작: ‘상 문자’와 초기 역사 서술
1. 갑골문 기사류: 과거를 보존하고 기념하다
2. 금문 기사류: 과거를 보존하고 기념하다
3. 옥·석문 기사류: 과거를 보존하고 기념하다
4. 갑골문 험사류: ‘불안’과 ‘경계’의 과거를 기록하다
V. 맺음글: 영속성, 상 문자 그리고 기념과 경계
제2부 고대 근동
제4장 고대 이집트에서 문학의 기원과 발달…이선우
I. 들어가는 말
II. 이집트 문학이란? 이집트 문헌들 중 무엇이 ‘문학’인가?
1. 19세기에서 20세기 초반까지
2.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문학과 순수문학
3. 1974년 아스만의 Das Handbuch der Orientalistik 리뷰 이후: 이집트 문학과 문학이론
4. 2000년대 이후: 이집트 ‘문학’과 포스트이론
III. 이집트 문학의 기원: 고왕국 시대 자전적 문헌과 중왕국 시대 고전
1. 고왕국 시대 자전적 문헌
2. 중왕국 시대 12왕조와 문학의 시작
IV. 이집트 문학의 발달: 고전과 문화적 기억
V. 결론
제5장 수메르어로 된 길가메시 서사시는 존재했을까…김구원
I. 들어가는 말
II. 수메르어로 된 길가메시 서사시가 존재했는가?
1. 부정 입장
2. 긍정 입장
III. 나가는 말
제6장 길가메시 서사시의 수메르 자료들…김구원
I. 들어가는 말
II. 수메르 문학 속 길가메시
III. 길가메시에 대한 수메르 단편들
1. 〈빌가메시 엔키두 그리고 지하세계〉
2. 〈빌가메시와 후와와〉
3. 〈빌가메시와 하늘 황소〉
4. 〈빌가메시의 죽음〉
5. 〈빌가메시와 아가〉
IV. 나가는 말
제7장 고대서아시아 지혜문학 분류법…윤성덕
I. 고대 서아시아 지혜 문학을 분류한 예
II. 지혜 문학을 새롭게 분류하기
III. 주인과 종의 대화
제8장 고대 근동 법률 전통의 내부적 영향과 외부적 영향-고대 바빌론 시대와 신바빌론 시대를 중심으로-…김아리
I. 서문
II. 본문
1. 고대 근동의 법률 전통의 내부적 영향
2. 고대 근동 법률 전통의 외부적 영향
III. 결문
제9장 고대 문명 주변부의 문자 사용과 글쓰기-가나안 지역의 비문을 중심으로-…강후구
I. 들어가면서
II. 가나안 지역의 비문들
1. 연구사
2. 상형문자
3. 신관문자
4. 쐐기문자
5. 알파벳 문자
6. 선형문자(키프로-미노안 문자)
III. 토론과 결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