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학회/무크/계간지
· ISBN : 9791189333799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4-06-15
책 소개
목차
편집실에서 ∥ 김두얼
특집 리뷰: 민주주의와 선거
지적 대상으로서의 기괴한 믿음 · 『미신의 연대기』 ∥ 한승훈
패턴의 자동 완성이 주는 편안함과 쏠림 ·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 ∥ 권석준
여성 인류학자들이 만난 무속의 현장들 · 『무당, 여성, 신령들』, 『한국 무교의 문화인류학』 ∥ 오성희
현대 지리학과 그 사상적 대안 사이에서 · 『한국의 풍수사상』 ∥ 임종태
좋은 역사가가 베스트셀러를 쓸 수 있을까? · 『상나라 정벌』 ∥ 심재훈
애니미즘은 세상을 구원할까? · 『애니미즘과 현대 세계』 ∥ 홍성욱
이마고 문디: 이미지로 읽는 세계
믿음과 단체 사진: 박찬경의 〈신도안〉에 대하여 ∥ 현시원
디자인 리뷰
사건으로서의 번역 ∥ 구정연
북&메이커
오늘도 행복한 동행, 책 한 권 잊지 마세요! ∥ 강의모
리뷰
사소한 것들의 힘 · 『경계를 넘는 공동체』 ∥ 이승철
영화의 모던한 존재론, 역사와 예술 · 『영화의 이론』, 『영화, 물질적 유령』 ∥ 김지훈
북한, 첫 단추부터 잘못 끼운 것은 아니다? · 『혁명과 일상』 ∥ 홍제환
한 언어학자의 삶을 통해 본 남북 분단 ·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 ∥ 박진호
고전의 강
도덕은 왜 유전자와 싸우는가 · 『도덕적 동물』 ∥ 정우현
문학
드보르자크의 첼로 협주곡과 타자기 전쟁 ∥ 한성우
그래, 책이라도 있어서 어딘가, 내세울 것 없는 세상에 ∥ 박해울
지금 읽고 있습니다
신간 책꽂이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번 호에서는 믿음과 회의, 합리과 비합리 같은 인간 인식의 본질적 문제를 보다 심도 있게 살펴보는 특집을 마련했다. 사람들은 왜 이상한 것을 믿는지, 우리가 설명하기 어려운 많은 영적 현상을 어떻게 이해할지, 나아가 인간 중심적인 세계 인식을 넘어서 사물이나 환경과 어떻게 관련을 맺고 상호작용해야 하는지와 같은 주제를 다룬 책들을 꼼꼼히 읽고 차분하게 따져 보는 서평을 모아 보았다. 이런 기획이 맹목적인 믿음의 세계를 넘어서는 것과 아울러, 도식적 형태의 근대성으로 세상을 재단하는 한계도 극복할 수 있는 자그마한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김두얼 「편집실에서」
인문사회과학이 인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학문이라고 한다면, 낯설고 기이하게 여겨지는 인간 문화야말로 그 첨단에 있는 연구 대상이다. 우리는 타자의 불가해한 믿음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자신의 일상적 인식 체계 또한 역사적으로 구성된 범주들의 덩어리라는 것을 성찰하게 된다. 인간의 기괴한 믿음이란 그런 의미에서 대단히 매혹적인 지적 대상이다.
―한승훈 「지적 대상으로서의 기괴한 믿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