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무라 도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인의 삶과 민속적 생활양식 규명에 물입한 사회민속학자이며 역사민속학자이다. 일본 고치현 다카오카촌에서 태어나 1904년 법정대학 법률과를 졸업하고, 이후 기후현 가이즈군 군장으로 재직하다가 통감부 시기인 1908년 7월 충청북도 경찰부장으로 부임하면서 조선과 인연을 맺기 시작했다. 강원도 경찰부장, 통감부와 총독부 경시, 경성 남부 및 평양, 제주 경찰서장, 경무총감부 위생과장, 제주 도사, 원산 부윤, 이왕직 사무관과 서무과장, 고등관 2등을 지내고, 퇴관 후에는 체신국, 조선사편수회, 중추원, 전매국, 철도국 등의 촉탁을 역임했으며, 조선방송협회 이사를 지냈다. 조선의 사회계급, 관혼, 제사, 친족, 연중행사, 복장 등 조선의 제반 풍속을 다룬 『조선풍속집』(1914)을 출간하고 1925년 56세로 퇴관한 이후 그동안 조선을 심층 연구한 글을 모아서, 『역사민속 조선만담』(1928)을 출간했다. 이후 조선총독부 중추원과 조선사편수회의 촌탁으로 조선 풍속 조사와 연구에 종사하면서 조선의 역사 자료 속에서 뽑아 집성한『조선풍속관계자료촬요』 3부작(1934-1939)을 발간했다. 또한 체신국과 전매국 촉탁으로 있으면서 인삼의 역사와 풍속을 연구한 장편 연작물『인삼사』(1934~1940)을 펴냈다.
펼치기
최석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공주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졸업(1985. 2)
한 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한국사) 석사과정 수료(1990. 8)
일본 중부대학 대학원 석사(국제관계학 : 지역연구) 졸업(1995. 3)
히로시마대학 대학원 박사과정(국제사회론 : 인류학) 졸업(1998. 3). 학술박사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1999. 11~2006. 6)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연구 조교수(2009. 3~2010. 5)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관장(학예연구관, 2010. 6~2022. 6)
현재, 공주대학교‧경희대학교(후마니타스) 강사
· 저서
『일제의 동화 이데올로기의 창출』, 『한국 근대의 박람회‧박물관』, 『일제의 조선 연구와 식민지적 지식생산』(문화체육부 선정 우수도서), 『일제 하 무속론과 식민지권력』, 『한국박물관 100년 역사 : 진단과 대안』, 『일제의 조선 「식민지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영문법 원리의 비밀 캐기』(e북)
· 공저
『문화관광과 박물관』, 『전통의 국가적 창안과 문화변용』, 『한국 근현대 100년과 민속학자』, 『交涉する東アジア』, 『博物館という裝置』, 『일제 강점기 안면도와 아소상점』(태안문화원)
· 역서
『사회인류학의 과거, 현재와 미래』, 『일본 근대 국립박물관 탄생의 드라마』, 『인류학자와 일본의 식민지통치』(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도서), 『제국의 시선』(공역), 『일본 근대미술사 노트』, 『근대 일본 미술의 탄생』, 『식민지건축』, 『근대 일본 국가신도와 창출과 그 후』
· 읽고 쓰는 형식으로 『일본고고학사와 식민지고고학을 만나다』 외에 서구‧일본에서의 박물관학(museum studies)』 연구 저술을 대상으로 한 『박물관학 시리즈』(현재까지 9권 집필) 기타 논저 다수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