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대 일본 국가신도의 창출과 그 후

근대 일본 국가신도의 창출과 그 후

시마조노 스스무 (지은이), 최석영 (옮긴이)
소명출판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대 일본 국가신도의 창출과 그 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대 일본 국가신도의 창출과 그 후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종교일반 > 종교사
· ISBN : 9791159058721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24-06-17

책 소개

근대 일본사에서 ‘만들어진’ 제도로서의 국가신도는 근대천황제 확립을 목표로 일본의 전통신앙 지형에 ‘변혁’을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해외 식민지에도 국가신도를 침투시켜 식민지의 전통 신앙에도 ‘변용’을 불러일으켰다.

목차

들어가기|국가신도가 왜 문제인가

제1장 국가신도는 어떠한 위치에 있었는가-종교의 지형
1. ‘공(公)’과 ‘사(私)’의 이중구조
2. ‘일본형(日本型) 정교분리(政敎分離)’의 실태
3. 황실 제사와 ‘제정일치(祭政一致)’체제의 창출
4. 종교사에서 본 제국헌법과 교육칙어
5. 신교의 자유, 사상·양심의 자유의 한계

제2장 국가신도는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가-용어법
1. 국가신도의 구성요소
2. 전시(戰時)를 모델로 하는 국가신도론
3. 신도지령(神道指令)이 국가신도로 이해한 것
4. 황실 제사를 배제한 국가신도론을 넘어서

제3장 국가신도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막부 말기 메이지 초기
1. 황실 제사와 신사신도의 일체성
2. 새로운 통합 이념으로서의 황도론
3. 메이지유신 앞뒤 국학의 새로운 조류
4. 황도론으로부터 교육칙어로
5. 국가신도의 제사 체계와 ‘가르침’

제4장 국가신도는 어떻게 퍼지게 되었는가-교육칙어 이후
1. 국가신도의 역사상 모습
2. 천황·황실 숭경, 국민 속으로 침투
3. 국가신도의 언설을 몸에 익혀 가는 시스템
4. 밑으로부터의 국가신도

제5장 국가신도는 해체되었는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 ‘국가신도 해체’의 실태
2. 신사본청의 천황 숭경
3. 지역사회의 신사와 국민
4. 잘 보이지 않는 국가신도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식민지 신사(神社·神祠)를 만나기까지의 여정 스케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시마조노 스스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 문학부 종교학·종교사학과와 동 대학원 졸업 후 도쿄외국어대학 일본어학과 조교수를 거쳐 1987년부터 2013년까지 도쿄대학 교수를 지냈다. 2013년부터 죠지(上智)대학 교수. 『현대구제종교론』, 『정신세계의 행방』, 『현대종교의 가능성』, 『포스트모던 신종교』, 『시대 속 신종교』, 『생명시작의 생명윤리』, 『정신성의 융성』, 『종교학 세계명저 30선』, 『일본불교의 사회윤리』, 『명치대제의 탄생』, 『신종교를 묻는다』, 『전후 일본과 국가신도』, 『교양으로서의 신도』 등 다수의 저술이 있다.
펼치기
최석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공주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졸업(1985. 2) 한 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한국사) 석사과정 수료(1990. 8) 일본 중부대학 대학원 석사(국제관계학 : 지역연구) 졸업(1995. 3) 히로시마대학 대학원 박사과정(국제사회론 : 인류학) 졸업(1998. 3). 학술박사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1999. 11~2006. 6)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연구 조교수(2009. 3~2010. 5)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관장(학예연구관, 2010. 6~2022. 6) 현재, 공주대학교‧경희대학교(후마니타스) 강사 · 저서 『일제의 동화 이데올로기의 창출』, 『한국 근대의 박람회‧박물관』, 『일제의 조선 연구와 식민지적 지식생산』(문화체육부 선정 우수도서), 『일제 하 무속론과 식민지권력』, 『한국박물관 100년 역사 : 진단과 대안』, 『일제의 조선 「식민지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영문법 원리의 비밀 캐기』(e북) · 공저 『문화관광과 박물관』, 『전통의 국가적 창안과 문화변용』, 『한국 근현대 100년과 민속학자』, 『交涉する東アジア』, 『博物館という裝置』, 『일제 강점기 안면도와 아소상점』(태안문화원) · 역서 『사회인류학의 과거, 현재와 미래』, 『일본 근대 국립박물관 탄생의 드라마』, 『인류학자와 일본의 식민지통치』(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도서), 『제국의 시선』(공역), 『일본 근대미술사 노트』, 『근대 일본 미술의 탄생』, 『식민지건축』, 『근대 일본 국가신도와 창출과 그 후』 · 읽고 쓰는 형식으로 『일본고고학사와 식민지고고학을 만나다』 외에 서구‧일본에서의 박물관학(museum studies)』 연구 저술을 대상으로 한 『박물관학 시리즈』(현재까지 9권 집필) 기타 논저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일본인들은 ‘무종교(無宗敎)’라고 많이들 말한다. 확실히 많은 일본인은 오늘날 특정 종교의 가르침이나 예배에 익숙하지 않다고 말한다. 그러나 과연 일본인에게는 계속 ‘종교가 없었는가’. 단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어떠하였는가.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일본인에게는 ‘종교가 없었는가’. 이 문제를 푸는 열쇠의 하나는 ‘국가신도는 무엇인가’를 밝히는 일이다.
(…중략…) 말할 필요도 없이 근대 일본인의 정신생활은 복잡·다양한 내적 가치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그 전체상이나 조감도도 필요하다. 많은 일본인론이 생산된 이유는 이럴 필요가 뿌리 깊게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책에서 ‘국가신도는 무엇인가’를 논하는 이유는 그러한 필요에 부응하려고 하는 데에 있다. 그렇다고 이것이 또 하나의 일본인론을 보여주려는 것은 아니다. 물론 ‘국가신도는 무엇인가’를 해명함으로써 일본인론이 보여준 정신사적 배경을 상당히 해명할 수 있을 것이다. 국가신도는 정신생활의 전체상을 제시하면서 한층 높은 객관성 있는 서술을 하기 위한 핵심 개념key concept이다.
- 「들어가기_국가신도가 왜 문제인가」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