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 ISBN : 9788956409214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2-05-2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금아 현상"을 위하여
제1장 금아 문학의 "시작" - 상하이 유학, 문학의 본질, 작가적 정체성
1. 엄마의 죽음과 춘원 이광수와의 인연
2. "상하이 커넥션" - 도산 안창호와의 숙명적인 만남
3. 피천득 문학의 본질 - 정(情), 사랑, 유머
4. 문인 피천득의 정체성 - 시인, 수필가, 번역문학가
제2장 문인의 탄생 1930년대 초 피천득의 문단등단과 창작활동 - 『동광』『신동아』『신가정』『동아일보』『어린이』를 중심으로
1. 문학 "인연"의 삼각형 - 이광수, 주요한 · 주요섭 형제, 윤오영
2. 1930년대 초 등단배경과 작품들
3. 등단 초기 작품들과 그 수정과정
4. 등단 초기의 작가적 의미
제3장 금아의 시세계 - 생명의 노래와 사랑의 윤리학
1. 시(詩)에서 출발한 금아 문학
2. 생명의 노래 - 물, 여성, 어린아이
1) 물 - 생명의 원천, 정화 그리고 변형
2) 여성 - 생명의 생성과 사랑의 실천
3) 어린아이 - 어린이다움의 생명력과 영원성
3. 사랑의 윤리학을 위하여
제4장 피천득의 수필문학 - 인연, 기억, 여림, 돌봄의 윤리학
1. 새로운 수필론
1) 금아와 <수필>장르 - "형식"과"운명"
2) 금아 수필의 껍질 벗기기 - <전략적 읽기>
3)『인연』의 구조와 변형
2. 금아 수필의 4원소
1) "인연"의<흔적>과<전이> - "엄마"라는 상상계와 "서영이"라는 실재계
2) "기억"의 부활과 변형 - "나이를 잃은 영원한 소년"
3) "여림"의 생태윤리학 - "작은 것이 아름답다"
4) "돌봄"의 실천윤리 - 사랑의 육화와 변형
3. <종교적 상상력>을 향하여
■사진으로 보는 금아 피천득의 문화세계
제5장 번역문학가 피천득 - 창작과 번역의 대화
1. 왜 번역하는가?
2. 피천득 번역의 원칙과 범위
3. 시 번역작업의 구체적 사례
1) 셰익스피어 소네트
2) 영미 시
3) 동양 시
4. 산문 번역
1)『셰익스피어의 이야기들』
2) 단편소설 번역 - 마크 트웨인, 나다니엘 호돈 외
5. 번역과 창작의 상보관계
제6장 금아 문학의 유산
1. 금아 문학의 "보편성" - 정(情), 인(仁) 그리고 온유(溫柔)
2. 금아 문학 평가의 문제
3. 세계시민주의 시대에 금아 문학의 가능성
■ 에필로그 l 삶의 기술학(技術學)을 향하여
■ 참고문헌
■ 금아 피천득 연보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피천득의 짧고 평정하고 쉬워 보이는 시와 수필들을 필자가 악의적은 것은 아니더라도 자의적으로 주제별로 분류하기도 하고 생경한 문학이론들을 개입시키기도 하고, 도식화하기도 하고 일부러 복잡하게 만든 이유가 도대체 뭘까? 금아의 문학세계라는 고요하고 평화로운 호수에 함부로 돌멩이를 던진 것일까? 내 자신의 논의 기술 방식에 대해 일종의 “방법적 회의”로서 자문해본다. 그것은 일종의 “낯설게 하기”이다. 너무나 단순하고 친숙하고 용이하여 별다른 문제나 논의거리들이 거의 없어 보이는, 아니 우리가 피천득의 글에 대해 가지는 일종의 거의 자동화된 반응들 - 서정성, 감성, 아름다움, 일상성, 사소함 등등 - 에 대한 의도적인 비평적 문제 제기이고 인식론적 비틀기이다. 무엇 때문에? 나는 금아의 글에 대한 우리의 관숙(慣熟)된 오해와 편견을 깨뜨리고 싶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