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3412886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부 문학 비평의 정의와 기능
1장 문학 비평의 정의와 어원
2장 비평의 특성과 대상
3장 문학 비평이 맡은 기능
2부 문학 비평의 기원과 비평가의 역할
1장 동양의 고전 비평
2장 서양 고대 및 중세문학 비평
3장 한국 전통비평의 창조적 계승과 활용
4장 비평가의 위상과 역할
5장 비평의 여러 갈래
6장 비평의 발전 형태
3부 현대문학 비평의 흐름들
1장 역사주의 비평
2장 문학사회학과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
3장 정신분석학적 비평과 테마비평
4장 신화・원형비평
5장 형식주의와 뉴크리티시즘
6장 구조주의와 해체비평
7장 기호학적 비평
8장 수용미학과 독자반응 비평
4부 현대문학 이론의 쟁점들
1장 페미니즘 문학 비평
2장 포스트식민주의 문학 비평
3장 신역사주의(문화유물론) 문학 비평
4장 대화비평과 담론이론
5장 문화연구 비평
6장 복합문화주의 비평
7장 생태환경 문학 비평
5부 문학 비평문 쓰기의 실제
1장 문학 비평 쓰기의 방법
2장 소설 비평의 실제
3장 시 비평의 실제
4장 비교문학 비평의 실제
에필로그
한국문학을 위한 주체적 비평학
찾아보기
책속에서
문학 비평의 역사는 다양한 비평체계와 접근 방법들이 변화하는 과정이었다. 역사적 관점에서 각각의 체계와 접근 방법들은 그 자체의 장점과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문학이 유기적이며 살아 있는 우리의 삶 그 자체를 다루기 때문에 변신(變身)은 비평에 있어서 일종의 숙명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문학 비평의 정의와 어원」
비평은 창작과 비교해 상위(上位)도 하위(下位)도 아닌 불가분(不可分)의 관계이며, 문학예술의 발전에 필요한 독립적 존재이다. 두 장르는 본질적인 속성상 서로 대립된 채 비평이 작품에 간섭, 규제하는 것 같지만 실은 격려, 지적하고, 나누어 판별하는 관계이다. 비평은 창작분야에 매달려 시중을 들거나 해설하는 처지가 아니라, 창작자처럼 창조적인 기능을 맡고 있는 문학 분야로 볼 수 있다.
―「비평가의 위상과 역할」
정신분석학적 비평가는 작가의 경험과 인간성이 그의 문체나 주제의 선택이나 인물묘사를 한정하는 것을 증명하려고 할 것이다. 그는 어떤 경위와 이유로 한 작가가 특정한 작품을 창작할 생각을 하게 되었는가를 설명하고 나아가서 삶이라는 원료가 예술로 변용하게 되는 창작의 여러 단계들을 재구성하는 일마저 하려고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심리비평가는 작가의 사사로운 경험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 가능한 것으로 만들고 또한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어가는 과정, 특수한 것이 일반적인 것을 표현하게 되는 과정을 이해하려고 한다.
―「정신분석학적 비평과 테마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