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88956409856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3-02-28
책 소개
목차
■ 서문
제1부 글쓰기란 무엇인가
제1장 _ 세종대왕과 타무스왕의 문명논쟁
제2장 _ 의제 설정이 반이다
1. 글쓰기란 무엇인가
2. 의제설정의 중요성
3. 기자란 무엇인가
제3장 _ 글쓰기의 기본조건
1. 설득하는 데 큰 목소리는 필요치 않다
2. 주장의 요령
3. 보편성의 문제
4. 구조를 세우고 그림을 그리듯
5. 글의 재료로 신문을 활용하라
6. 문장은 될 수 있는 대로 짧게 써야 한다
7. 새로운 관점과 신선한 시각
제4장 _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쓰는가
1. “글쓰기를 하는 것은 매우 소중한 기회다”
2. 화제(話題)를 잡아라
3. 긴밀하게 글을 읽는 법
4. 독자에서 작가로 가는 글쓰기
5. 글의 구조
6. 의제 설정
7. 저널리즘 글쓰기 시작
8. 개요 짜기
9. 반론
10. 글쓰기의 강을 건너려면
제2부 글쓰기의 실제
제1장 _ 기사
1. 뉴스란 무엇인가
2. 뉴스의 판단기준
3. 기사의 종류
4. 기사는 어떻게 이뤄지나
5. 글쓰기의 대원칙은 쉽고, 짧고, 정확하게 쓰는 것이다
6. 스트레이트 기사 쓰기
제2장 _ 작문
1. 작문이란
2. 독자들을 매혹시키는 작문
3. 저널리즘 글쓰기와 작문
4. 사안의 감춰진 측면을 발견하라
5. 작문 어떻게 잘 쓰나?
6. 기출작문 작성 예시
제3장 _ 르포
1. 르포란
2. 르포 기사 취재 원칙 및 유의점
3. 르포 기사 작성 원칙 및 유의점
제3부 글쓰기 사례 연구
제1장 _ 논술 고득점을 위한 글쓰기 요소-Case Study
Case Study 1. 의제설정: 강구실용법(講究實用法)
Case Study 2. 개념의 활용: 휘분류취법(彙分類聚法)
Case Study 3. 논의의 틀짜기: 거일반삼법(擧一反三法)
Case Study 4. 가치의 정립: 본의본령법(本意本領法)
Case Study 5. 상징만들기: 촉류방통법(觸類旁通法)
Case Study 6. 균형: 공심공안법(公心公眼法)
Case Study 7. 분석 및 진단: 층체판석법(層遞判析法)
Case Study 8. 대의(大義): 독후엄정법(篤厚嚴正法)
Case Study 9. 주제의식: 실사구시법(實事求是法)
Case Study 10. 혼돈을 읽는 요령: 속중득운법(俗中得韻法)
제2장 _ 실제 사례를 통해 점검하는 글쓰기 문제 사례
Case Study 1. 현실반영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
Case Study 2. 상황인식: 정확성의 실패
Case Study 3. 성급한 결론
Case Study 4. 사실왜곡 : 사실을 잘못 해석해 억지주장이 된 경우
Case Study 5. 잘못 적용된 개념: ‘정의’와 ‘균형’의 혼돈
Case Study 6. 비교가 무리한 경우
Case Study 7. 시대에 뒤떨어진 비현실적인 경우
Case Study 8. 논리비약, 모순
Case Study 9. 잘못된 인용: 지나친 확대해석 사례
Case Study 10. 잘못된 전제, 단정적 결론의 오류
제3장 _ 논술 학생 사례
■ 주제어로 보는 칼럼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랜 글쓰기를 생업으로 살아온 사람으로서 글쓰기는 문자를 굴리는 일이라고 여기고 수레바퀴를 굴리듯이 매일 매일 글쓰기를 하고 있다. 수레바퀴를 굴리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다. 또한 힘이 들지도 않는다. 더욱이 수레바퀴를 굴리는 것은 재미있는 일이다. 거기에는 무슨 목적이 있을 수 없다. 그냥 굴리는 것이다.
글로써 생명력을 가질 때 잘 쓴 글이다. 나를 떠나 스스로 가는 길에 새로운 사람들을 만날 것이고, 다시 새로운 생각을 만나고, 힘을 얻고 계속해서 살아 숨 쉴 수 있는 것이다. 나에게서 출발하지만, 나에게서 떠나갈 때 글은 생명력을 얻는다. 그것은 나의 세상과 결별하는 것이며, 새로운 세상과의 조우이며, 그것이 다시 나와 만나 새로운 세상을 나에게 선물하는 것이다. 이것이 기적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