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부부생활/자녀양육
· ISBN : 9788957317105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6-09-19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 008
우리 집 아이들 이야기 - 011
서문: 자녀를 키울 때도 ‘사랑과 존경’ 전략이 효과가 있을까 - 016
1부 가족 관계의 악순환
1. 아이들이 말만 잘 듣으면, 세상에 ‘나쁜 부모’는 없겠지 - 025
2. 가족 관계의 악순환 끊기 ① 암호를 해독하라 - 037
3. 가족 관계의 악순환 끊기 ② 긴장을 풀어라 - 053
2부 힘이 되는 선순환
4. 베풀라(Give): 너무 많지도, 적지도 않게 - 071
5. 이해하라(Understand): 아이들 입장에서 - 085
6. 가르치라(Instruct): 너무 많이도 말고 핵심만 - 101
7. 훈육하라(Discipline): 대면하라, 바로잡으라, 위로하라 - 115
8. 격려하라(Encourage): 아이들이 상심하지 않고 성공할 수 있도록 - 137
9. 간구하라(Supplicate): 하나님이 우리 기도를 들으시고 아이들에게 말씀하시리라는 확신으로 - 153
10. 팀워크: 자녀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기 - 171
11. 분홍 공주, 파랑 왕자 양육법 - 189
3부 보상을 받는 선순환
12. 하나님의 뜻대로 자녀를 양육하는 진짜 이유 - 209
13. 이유 불문하고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듯, 이유를 불문하고 자녀를 사랑하라 - 219
14. 결과라는 함정을 조심하라 - 231
15. 나는 내 반응만 책임질 수 있다 - 247
결론: 자녀에게 어떤 유산을 남길 것인가 - 259
부록 1. 가족을 위한 사랑과 존경의 목표 세우기 - 269
부록 2. 자녀 양육에 필요한 사랑과 존경 ‘실전 체크리스트’ - 273
주 - 277
리뷰
책속에서
아이는 자신이 사랑받는다고 느낄 때 부모에게 긍정적으로 반응할 준비가 되며, 부모도 자신이 존경받는다고 느낄 때 아이를 다정하게 대하려는 마음이 생긴다는 사실이다. 이처럼 서로 간에 사랑과 존경이 충족될 때 가정에 행복이 찾아온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사랑받지 못했다고 느끼는 자녀는 버릇없는 행동으로 부모 속을 뒤집어놓는다. 존경받지 못했다고 느낀 부모는 사랑을 갈구하는 자녀의 마음에 생채기를 낸다. 누군가에게서 시작된 부정적인 작용은 상대방에게 똑같은 수준의 부정적인 반작용을 불러일으킨다. 가정에서 벌어지는 작용-반작용의 역학은 가족 관계의 악순환(Family Crazy Cycle)으로 이어지면서 가정을 차가운 암흑 상태로 바꿔버린다. 사랑받지 못한 자녀는 부모를 무시하는 행동으로 대응하고, 존경받지 못한 부모는 자녀가 사랑을 느낄 수 없는 방식으로 대응한다
서문_ 18면
아이의 영혼이 위축되거나 분노로 폭발하면 부모는 반드시 이런 질문을 던져보아야 한다. “우리 아이는 지금 사랑받지 못했다고 느낀 건가?” 부모의 영혼이 위축되거나 분노로 폭발하면 또다시 자문해보아야 한다. “지금 나는 존경받지 못했다고 느낀 건가?”
아이의 행동이 부모를 화나게 하고 짜증 나게 만들었다면 부모는 한 걸음 물러서서 그 상황을 바라보고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한다. “나는 왜 이 일로 화를 내는가, 내 아이는 왜 화가 났는가? 아무것도 아닌 사소한 문제가 왜 이렇게 큰일이 되어버렸을까?” 이런 생각은 방을 어지럽히고, 잠자리에 들지 않겠다고 고집 부리고, 통행금지 시간을 어기는 일처럼 사소한 일상사에서 시작되지만 곧 사태는 악화되어 아이나 부모, 또는 양쪽 모두의 마음 깊숙한 곳에 상처를 남긴다.
2. 가족 관계의 악순환 끊기 ① 암호를 해독하라_ 43면
심호흡을 크게 하고 스스로에게 던져야 할 질문은 이것이다. “아이가 고의적으로 무례하게 행동한 것이라고 단정 지을 것인가, 아니면 냉정을 잃지 않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관찰할 것인가?”
존경받지 못한다고 느낄 때 이런 질문을 던지는 것이 쉽지 않음을 나도 인정한다. 하지만 당신이 느끼는 그 불쾌함의 정체를, 아이들이 부모를 무시하는 탓이라고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부자리가 널브러져 있고 옷가지는 방바닥을 뒹굴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속이 터져도 아이가 당신을 무시한다고 속단해서는 안 된다. 그런 때에는 아이의 말을 무조건 믿어주는 편이 훨씬 낫다. 부모와 한바탕 난리를 겪으면서 십대들은 조금씩 어른이 되어가며,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법을 배운다.
2. 가족 관계의 악순환 끊기 ① 암호를 해독하라_ 46-4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