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빈곤/불평등문제
· ISBN : 9788957337059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0-11-3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서론
제2장 빈곤 및 세계화: 개념·측정·현황
제3장 세계화와 빈곤의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
제4장 세계화가 아시아 국가의 경제성장과 빈곤에 미치는 영향 실증 분석
제5장 무역이 아시아 국가 간 빈곤율 수렴에 미치는 영향
제6장 아시아 국가 간 노동이동과 빈곤: 이주와 해외송금
제7장 국가별 사례(I): 세계화의 최대 수혜자 베트남
제8장 국가별 사례(II): 방글라데시의 봉제업
제9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아시아는 우리에게는 글로벌 시대에 시장으로서 또 투자처로서 매우 고맙고도 중요한 곳이다. 그럼에도 흔히 부자가 되고 싶은 개인이나 국가는 오직 선망의 대상이 되는 선진국에 시선이 고정되어 그들의 발전과정에서 신세를 지고 있는 이웃을 소홀히 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수출시장으로서 혹은 투자처로서 아시아로부터 우리가 얻는 경제적 이득이 적지 않다면 이는 실제로 우리의 빚이 그만큼 늘어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우리가 아시아에서 지속적 성장을 하려면 아시아 각국이 고민하는 문제의 해결과 동반성장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조치가 필요하지만 그중 하나는 이 지역의 당면과제인 빈곤감소에 대해 공감과 동참의 자세를 갖는 것이다.
― 「서문」
전체적인 분석 결과를 보면 세계화는 아시아 국가들의 1인당 소득 수준이나 빈곤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을 높이고 빈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세계화지수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는 경제적 세계화보다는 오히려 사회적 세계화나 정치적 세계화가 빈곤감소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곤감소를 위해서는 경제적 세계화도 중요하지만 이를 빈곤감소와 연결시킬 수 있는, 사회적, 정치적 세계화, 즉 사회적, 정치적 인프라 환경과 정책의 구축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