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57462768
· 쪽수 : 414쪽
· 출판일 : 2011-05-30
책 소개
목차
서문˙ 5
제1부 불교와 의학
1 인도불교에서의 의료 ....................................... 사사키 시즈카˙ 19
1. 의식주의 문제˙ 21
2. 승가에서의 의료˙ 23
3.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에 있어 의료 의미의 차이점˙ 26
4. 빨리율 건도부 제6 ?약건도?의 내용 개관˙ 28
2 계율에 나타난 분노의 정서와 자애를 통한 치유 ................ 이자랑˙ 43
1. 분노의 원어와 그 의미˙ 45
2. 분노가 계율의 수지에 미치는 영향˙ 48
3. 자애명상을 통한 분노의 치유˙ 54
4. 맺는말˙ 60
3 선종의 수지가 양생에 미친 영향 ................................? 니에칭˙ 63
1. 선종의 내관˙ 63
2. 선종의 무분별관˙ 68
3. 선종의 관조˙ 76
4. 기타 요인˙ 85
4 티베트의학에서 보는 마음, 질병 및 건강 ......................? 김재일˙ 87
1. 티베트 심리체계˙ 90
2. 티베트의학의 기초˙ 91
1) 역사˙ 91
2) 기본개념˙ 94
3) 마음, 의식, 그리고 룽˙ 95
3. 룽, 그리고 죽음과 명상˙ 98
1) 룽병˙ 99
2) 정신병˙ 108
4. 맺는말˙ 112
5 천태지관에서 심신의 병환과 치유 ............................? 이기운˙ 115
1. 천태 지관법문에서의 병환에 대한 입장˙ 115
2. 심신에서 병의 증상˙ 116
1) 맥을 통한 진찰˙ 117
2) 형색에 의한 진찰˙ 119
3. 병이 발생하는 원인˙ 124
1) 사대가 순조롭지 못함˙ 125
2) 음식을 조절하지 않음˙ 126
3) 좌선이 고르지 않음˙ 128
4) 귀신이 방편을 틈탐˙ 131
5) 마가 하는 일˙ 132
6) 업의 병˙ 132
4. 병의 치유와 지관˙ 133
1) 지법에 의한 치유˙ 134
2) 기식에 의한 치유˙ 137
3) 관심에 의한 치유˙ 141
5. 맺는말˙ 144
제2부 마음챙김
1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 김정호˙ 149
1. 용어의 정리˙ 151
1) 마음챙김˙ 151
2) 마음챙김 명상˙ 155
2. 불교의 마음챙김과 마음챙김 명상˙ 159
1) 불교의 마음챙김과 마음챙김 명상의 특징˙ 159
2) 불교의 마음챙김 명상의 실제적 수행의 문제˙ 165
3) 불교의 마음챙김과 마음챙김 명상이 추구하는 목표˙ 173
3. 임상적으로 적용되는 마음챙김과 마음챙김 명상˙ 176
1) 임상적으로 적용되는 마음챙김과 마음챙김 명상의 특징˙ 176
2) 임상적으로 적용되는 마음챙김의 측정˙ 179
3) 임상적으로 적용되는 마음챙김과 마음챙김 명상이 추구하는 목표 182
4. 새로운 마음챙김의 적용을 위한 제언˙ 184
2 사마타와 위빠사나의 의미와 쓰임에 대한 일고 ................ 정준영˙ 191
1. 사마타에 대해서˙ 193
1) 사마타와 사마디의 관계˙ 194
2) 사마타와 선정의 관계˙ 198
3) 사마디와 선정의 관계˙ 202
4) 사마타 수행의 주제˙ 207
2. 위빠사나에 대해서˙ 209
1) 위빠사나와 염처의 관계˙ 211
2) 유사점과 차이점˙ 215
3. 맺는말˙ 221
3 마음챙김 수행의 정신치료적 기능 .............................. 박인성˙ 223
1. 4념주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225
1) 신념주˙ 225
2) 수념주˙ 226
3) 심념주˙ 229
4) 법념주˙ 232
2. 강박장애의 인지적 징후˙ 236
1) 주의편향˙ 237
2) 지각경험의 자기무효화˙ 240
3) 사고와 행위의 융합˙ 241
3. 강박장애를 치료하는 마음챙김의 원리들˙ 241
1) 주의편향을 치료하는 마음챙김의 원리˙ 241
2) 지각의 자기무효화를 치료하는 마음챙김의 원리˙ 242
3) 사고와 행동의 융합을 치료하는 마음챙김의 원리˙ 243
4. 맺는말˙ 245
제3부 불교와 사상의학
1 동무 이제마의 사상의학과 불교의 영향......................... 박성식˙ 249
1. 사상의학에서 ‘사상설’과 ‘체질론’의 특징˙ 251
1) 사상의학의 이론체계로서 ‘사상四象’의 의미˙ 251
2) ‘사상인四象人’이 지니는 체질론의 특징˙ 256
3) 사상인 장부대소의 결정과 성정性情˙ 258
2. 사상의학과 불교의 관련성에 대한 검토˙ 260
1) 이제마의 삶과 불교˙ 260
2) 사상의학의 연원과 불교의 영향˙ 261
3) 불교의 사대설四大說과 사상체질˙ 264
4) 이제마의 저서에 언급된 불교˙ 272
3. 맺는말˙ 276
2 불교와 사상의학의 병인론 비교 ..................................김진무˙ 279
1. 불교의 병인론˙ 281
2. 사상의학의 병인론˙ 292
3. 병인론에 있어서 불교와 사상의학의 유사성˙ 302
4. 맺는말˙ 304
3 애로희락의 정서를 통해 바라본 사상의학과 불교 ........... 배효상˙ 307
1. 사상의학의 견해에서 바라본 애로희락˙ 309
1) 사상의학의 애로희락˙ 310
2) 사상의학의 인간관˙ 312
3) 사상인의 장부성리와 애로희락˙ 314
4) 애로희락의 성정˙ 316
5) 애로희락과 기氣˙ 321
6) 애로희락의 성정과 표리병증˙ 323
2. 애로희락 성정에 대한 불교적 접근˙ 325
3. 맺는말˙ 327
4 『동의보감』과 천태의학의 상관성 연구 ........................ 이기운˙ 331
1. 『동의보감』의 사대설 수용과 천태의 사대설˙ 334
1) 『동의보감』과 『마하지관』의 사대설 수용˙ 334
2) 사대 병인론˙ 339
2. 『동의보감』에 보이는 천태선관˙ 342
1) 『동의보감』에 수용된 천태 태식법˙ 342
2) 육자기결과 천태의 육종기식˙ 346
3. 맺는말˙ 353
참고문헌˙ 357
주˙ 373
논문출처˙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