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와 사상의학의 만남

불교와 사상의학의 만남

(심신치유의 이론적 탐색과 적용)

불교와 사상의학 연구회 (지은이)
올리브그린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와 사상의학의 만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교와 사상의학의 만남 (심신치유의 이론적 탐색과 적용)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98938093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4-08-28

책 소개

이론적 연구와 함께 마음챙김, 염불, 간화선과 같은 불교 수행이 사상체질별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 조사연구를 통해 검토하였으며, 본 연구팀이 구안한 ‘30분 명상프로그램(α-version)’에 대한 효과를 임상적으로 검토하였다.

목차

서문 4

1장 인간 이해의 새로운 접점을 찾아서

초기 경전에 나타나는 인간 유형 연구 17 / 정준영
I. 들어가는 말 18
II. 인간의 특징 20
III. 인간의 유형 23
IV. 마치는 말 46

종밀의 『원인론』과 동무 이제마의 「원인」편에 나타난 인간론 49 / 박성식
Ⅰ. 서론 50
Ⅱ. ‘原人’이란 공통점에서 종밀의 『原人論』과 이제마의 「原人」 52
1. 原人의 유래와 韓愈의 「原人」 52
2. 종밀 『原人論』의 서지학적 특징 54
3. 이제마의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原人」편의 서지학적 특징 59
Ⅲ. 종밀과 이제마의 인간론의 특징 비교 63
1. 인간의 본질 : 本覺之心과 知行 63
2. 인간 존재의 근원 : 業과 天 70
3. 삶의 지향과 현실의 문제 : 成佛과 聖人 75
4. 사유구조의 유사성 78
Ⅳ. 결론 80


초기불교의 정서 이해 85 / 이필원
1. 들어가는 말 86
2. 초기불교의 마음 이해 87
3. 초기불교의 정서이해 90
4. 정서의 인지와 치유 97
5. 결론 104

오온설과 사상체질론을 통해 본 인간 이해 107 / 박서연·박성식
Ⅰ. 서언 108
Ⅱ. 불교 오온설의 인간관 110
1. 불교 오온설의 특징 110
2. 五蘊假和合의 인간 113
Ⅲ. 인간에 대한 이제마의 성찰 115
1. 事心身物의 구조와 인간 115
2. 사상체질론의 인간관 118
Ⅳ. 불교와 사상의학의 구제정신 120
Ⅴ. 결어 122

2장 치유를 위한 이론적 접근

연기적 관점에서 본 사상의학의 심욕 이해 127 / 박서연
Ⅰ. 머리말 128
Ⅱ. 불교 연기론과 갈애 129
1. 연기론의 특질 129
2. 십이연기설에서 갈애의 역할 130
Ⅲ. 사상의학의 기본정신과 心慾 135
Ⅳ. 갈애의 멸진과 心慾의 조절 138
Ⅴ. 맺는말 143
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에 따른 심리적 요소의 차이 145 / 이자랑
Ⅰ. 서론 146
Ⅱ. 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 148
Ⅲ. 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에 따른 심리적 요소 152
1. 6종의 기질과 심리적 요소 152
2. 4종의 체질과 심리적 요소 156
Ⅳ. 기질·체질에 따른 심리적 요소의 차이 159
Ⅴ. 결론 165
고대 의안에 나타난 불교사상 연구 167 / 김근우·박서연
Ⅰ. 서론 168
Ⅱ. 연구방법 및 자료 170
Ⅲ. 본론 170
Ⅳ. 고찰 186
Ⅴ. 결론 194
불교의학의 정립을 위한 시도 197 / 양승규
Ⅰ. 머리말 198
Ⅱ.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성립과 저자 199
Ⅲ. 『사부의전』의 내용 204
Ⅳ. 『사부의전』의 불교철학 206
Ⅴ. 맺음말 214

3장 치유를 위한 실천적 이해

사상의학에서 성정의 중절과 심리치료 219 / 박성식
Ⅰ. 서론 220
Ⅱ. 연구방법 222
Ⅲ. 본론 222
1. 희노애락과 四象人의 性情 222
2. 性情의 中節과 知行을 통한 심리치료 230
3. 사상의학에서 명상법의 적용 가능성 239
Ⅳ. 결론 241
정서적 변화가 육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243 / 박성식·이필원
I. 들어가는 말 244
II. 심신의학이란 무엇인가? 246
III. 초기불교와 이제마의 정서와 육체의 관계 248
1. 초기불교에서 정서(마음)와 육체의 관계 248
2. 사상의학에서 정서(마음)와 육체의 관계 255
IV. 결론 263
불교의학과 사상의학의 체질적 양생론 연구 265 / 양승규
Ⅰ. 들어가는 말 266
Ⅱ. 불교의학의 체질적 양생 267
1. 체질 268
2. 양생 274
Ⅲ. 사상의학의 체질적 양생 277
1. 체질 278
2. 양생 280
Ⅳ. 맺는 말 289
‘치유’, ‘치병’ 개념에 있어서 불교와 사상의학의 비교 291 / 이기운
Ⅰ. 서언 292
Ⅱ. 불교의학과 사상의학의 醫學論 293
1. 불교의학을 집대성한 천태의학 293
2. 전통 한의학과 이제마의 사상의학 296
Ⅲ. 천태와 사상의학에서의 병의 진단 300
1. 병의 양상과 진단 300
2. 五行에 의한 臟腑의 병상과 사상체질의 병상 304
Ⅳ. 치유 치병에서 본 불교와 사상의학 307
1. 천태의학에서의 수행과 치유 307
2. 사상의학에서의 수양과 치유 310
Ⅴ. 결어 : 兩家의 상관성과 상보성 313


4장 불교수행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 탐구

사상체질에 따라 마음챙김 명상이 분노에 미친 영향 연구 319 / 배효상·박서연·정준영·박성식
Ⅰ. 서론 320
Ⅱ. 연구대상 및 방법 322
Ⅲ. 결과 327
1. 명상 시행 전 후 분노 척도의 평균 비교 327
2. 성별에 따라 명상이 분노에 미친 영향 328
3. 사상체질에 따라 명상이 분노에 미친 영향 331
Ⅳ. 고찰 334
Ⅴ. 결론 340
염불이 사상체질에 따라 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343 / 배효상·박성식·김병수·이필원·양승규
Ⅰ. 서론 344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347
Ⅲ. 결과 351
1. 우울, 분노, 불안 척도의 신뢰도 검증 351
2. 사상체질 집단 간의 동질성 비교 353
3. 우울, 분노, 불안에 대한 염불의 효과 354
4. 사상체질에 따라 염불이 우울, 분노, 불안에 미친 영향 355
5. 성별에 따라 염불이 우울, 분노, 불안에 미친 영향 360
Ⅳ. 고찰 및 결론 363
간화선 수행이 중·고령자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371 / 김병수·조기룡·배효상
Ⅰ. 서론 372
Ⅱ. 연구 방법 374
Ⅲ. 분석 결과 380
1. 간화선 수행 실시 전 체질별 우울, 불안, 분노 척도 비교 380
2. 가설 검증 381
Ⅳ. 고찰 389
명상프로그램(α version) 시행 전후의 사상체질별 심리척도 및 HRV 변화 연구 395 /
김근우·박성식·배효상·손한범·이필원·김병수
Ⅰ. 서론 396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397
Ⅲ. 결과 402
1.심박변이도 분석 402
2. 심리척도 분석 405
Ⅳ. 고찰 411
Ⅴ.결론 417

참고문헌 419
미주 453
부록 : 심신치유를 위한 30분 명상프로그램(α version) 529

저자소개

불교와 사상의학 연구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 불교와사상의학연구회는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지원 받고 있는 ‘심신 치유의 프로토콜 구축을 위한 불교와 사상의학의 융합 연구’라는 과제를 수행하는 하고 있다. ● 김근우(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신경정신과 교수) / 김병수(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연구교수) / 김종욱(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 박서연(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단 연구교수) / 박성식(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사상체질과 교수) / 박재용(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연구교수) / 배효상(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사상체질과 교수 / 이기운(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교수) / 이수련(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명상학 박사수료) / 이자랑(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단 연구교수) / 이필원(동국대학교(경주) 파라미타칼리지 교수) / 정준영(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명상학 교수) / 조기룡(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교수)<이상 13명. '가나다 순')>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