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88957466612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1-10-2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5
<추천사> 직접 발로 뛰며 찾은 보석 같은 이야기들(박범훈)∙8
<추천사> 순례 가운데 지식과 정보 습득의 만족도까지(한명희)∙11
제1장 사람을 부르는 온 세상 소리들∙17
1. 아시아 각양각색의 종 19
1) 인도와 접변지역의 종과 북 19
2) 동북아시아 불교의 종과 북 28
2. 서방과 중동, 유일신교의 종과 음성 49
1) 유럽 기독교회의 종 49
2) 종도 찬송가도 없는 이슬람 53
3. 소리의 방식에 담긴 마음 세계 58
제2장 한자문화권의 불교의식과 범패∙63
1. 중국과 대만의 불교의식과 범패 64
1) 대만 불광산의 ‘인간음연’ 65
2) 대만의 본류·비주류 범패 71
3) 산동적산원의 불교의식과 범패 79
4) 산동적산원과 일본의 논의식 88
5) 신명나는 고산조 범패 성지 용추안스 95
6) 중국의 바깥채비 응문불사 음악 101
7) 대만의 수륙법회와 화엄자모 범패 108
2. 중국 선과 토착전통의 베트남 불교와 음악 121
1) 중국 색채의 베트남 불교역사와 문화 122
2) 베트남 불교의례와 전통 음악 129
3) 역사의 격동기에 저력을 보인 베트남 승가 141
3. 밀교 색이 짙은 일본의 불교의례와 범패 147
1) 일본의 의례 법도 149
2) 삼사·삼색 일본 수륙재 시아귀회 157
3) 세기의 공연, 덴다이쇼묘와 신곤쇼묘 164
4) 일본 쇼묘의 산실 산젠인의 시아귀회 172
5) 덴다이쇼묘의 상징 구조석장 182
제3장 티베트 불교의례와 악가무∙199
1. 티베트 본토와 중국령 티베트사원의 불교의례 200
1) 티베트 사원의 정월 의례 201
2) 티베트의 탕카의식과 한국의 괘불이운 209
3) 호법 퍼레이드 희금강 217
4) 호법 금강무 ‘참’ 225
5) 불교 교화 창극 아체라모 233
6) 피비린내 배인 조장터의 법기와 범패 241
2. 북인도 티베트 사원 249
1) 오래된 미래 라다크의 ‘참’ 250
2) 따시종 캄파카곰파의 불교악가무 ‘참’ 258
3. 불탄성지 네팔불교와 음악 268
1) 룸비니에서 만나는 불음의 세계 269
2) 네팔 불교와 카트만두 축제 음악 279
제4장 빠알리 문화권의 불교의식과 범패∙289
1. 위빠사나 수행의 성지 미얀마 범패 291
1) 미얀마의 빠알리찬팅 292
2) 미얀마의 조석예불과 명상음악 301
3) 미얀마 스님들의 탁발행렬 ASMR 310
2. 빠알리·불교학의 원류 스리랑카 범패 319
1) 빠알리 엽경이 만들어진 알루위하라 320
2) 불족의 성지 스리빠다 순례 331
3) 부처님이 세 번 다녀가신 캘라니아사원 342
4) 공양 타주와 상모춤 352
5) 실론 불교전통과 악가무 361
6) 스리랑카의 바깥채비 범패 367
7) 스리랑카 불교학과 범패 373
제5장 불교문화와 음악∙379
1. 세계 3대 불교유적과 음악 381
1) 미얀마 통일왕조 버강의 불교음악 381
2) 크메르 왕국 앙코르와트의 불교음악 391
3) 남방의 대승불교 인도네시아 보로부두르 음악 399
2. 생활과 의례 409
1) 사시 마지, 그 본래 모습 409
2) 아름다운 사물타주, 도그마라면 도깨비 춤 414
3) 티베트 밀교와 한국의 딴따라 420
에필로그∙429
참고문헌∙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