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57467800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4-05-30
책 소개
목차
발간사․5
서문․7
서론 17
1. 왜 ‘정서’와 ‘인지’인가?․17
2. ‘정서’와 ‘인지’의 연구 분야․22
1) 현대심리학․22
2) 상담치료․28
3) 생리심리학(뇌과학)․31
4) ‘정서’와 ‘인지’에 대한 불교학 연구․35
3. 글의 구성․38
1부 몸과 마음 41
1장 몸과 마음의 유기적 관계 44
1. 5온․12처․18계․44
1) 5온․45
2) 12처․58
3) 18계․62
2. 유식학의 몸과 마음․69
1) 8가지 마음의 구조․69
2) 알라야식(마음)과 몸의 관계․72
2장 5위100법의 형성 배경과 내용 84
1. 5위100법의 배경․85
1) 무아론의 계승․85
2) 5온․12처․18계와 5위75법․93
2. 5위100법의 내용․97
1) 5위75법과 5위100법․97
2) 5위100법․111
3. 5위100법 관련 텍스트․114
1) 『대승백법명문론』․114
2) 『성유식론』․119
2부 정서와 인지 121
1장 정서작용 125
1. 정서의 발생․125
1) 유식학의 마음(심)과 마음작용(심소) 그리고 몸․125
2) ‘정서’와 유식학의 ‘마음작용(심소)’․131
3) 정서작용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142
4) 탐욕과 분노와 평정심의 생리학적 해석․155
2. 정서의 분류․160
1) 긍정적 정서․161
2) 부정적 정서․166
2장 인지작용 176
1. 인지의 발생․176
1) 유식학의 두루 행하는 마음작용(변행심소)․176
2) 뇌과학의 전전두엽, 좌뇌의 상후두정엽, 대뇌피질․184
2. 인지의 분류․203
1) 긍정적 인지․204
2) 부정적 인지․209
3부 치유를 통한 건강한 몸과 마음 217
1장 부정적 정서의 순화 220
1. 부정적 정서의 무상함을 통찰․220
1) 드러나지 않고 숨어 있는 번뇌의 씨앗․220
2) 탐욕․성냄․어리석음을 따라 나타나는 부정적 정서․224
3) 수행을 통한 부정적 정서의 순화․233
2. 선한 마음의 함양․242
1) 자량위를 통해 선한 마음 기르기․242
2) 행복을 향한 과정․245
3. 인본주의 심리학과 유식학․247
1) 보살의 자리이타적 마음․247
2) 내담자 중심치료와 게슈탈트 치료․251
4. 이완반응의 응용․261
1) 허버트 벤슨의 이완반응․261
2) 브레이크아웃․264
2장 인지역량의 함양 271
1. 인지력 증진․271
1) ‘4가지 마음의 영역(사분설)’의 의미․271
2) ‘4가지 마음의 영역’과 3가지 인식방법의 관계․275
3) 인지작용의 양상․279
4) 부정적 인지작용의 발생과 소멸․281
2. ‘4가지 통찰(4심사관)’과 ‘있는 그대로 보는 4가지 관법(4여실지관)’을 통한 ‘탈중심화’․282
1) ‘4가지 통찰’의 의미와 기원․283
2) ‘4가지 통찰’에 의한 부정적 인지 통찰․286
3) 현대 심리치료 기제인 ‘탈중심화’와 유식학의 ‘4가지 통찰’․289
3. 아론 벡의 인지치료와 유식학의 수행관 비교․294
1) 아론 벡의 인지치료 모델․294
2) 인지치료와 유식학의 ‘4가지 마음의 영역’․297
3) 메타인지와 ‘구별하는 작용을 확인하는 작용(자증분)’․‘확인하는 작용을 다시 확인하는 작용(증자증분)․300
마치는 글 305
1. 몸과 마음에 대한 불교의 관점․307
2. 정서와 인지작용에 대한 유식학과 현대 뇌과학의 해석․309
3. 유식학 51가지 마음작용을 긍정적 정서․인지/부정적 정서․인지로 분류․313
4. 유식학의 수행관이 보여주는 현대적 의미․314
5. 유식학의 수행관과 현대심리학의 치유방법 비교․분석․315
참고문헌․327
찾아보기․3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