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표로 읽는 유식입문

도표로 읽는 유식입문

(마음이란 무엇인가)

안환기 (지은이), 배종훈 (그림)
민족사
17,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750원 -10% 0원
870원
14,8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표로 읽는 유식입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표로 읽는 유식입문 (마음이란 무엇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9116869016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2-09-15

책 소개

도표로 읽는 시리즈. 불교를 마음의 종교라고 한다. 불교만큼 인간의 마음에 대해 깊이 탐구하고 마음의 변화를 위한 수행을 강조하는 종교도 없기 때문이다. 마음이란 무엇인가? 바로 유식(唯識)이다.

목차

1장 마음이란 무엇인가
•유식학의 기원, 붓다
•붓다의 본지를 계승
•유식, 오직 마음뿐
•마음을 벗어난 대상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유가행파의 마음에 대한 해석
•전5식(前五識), 거울처럼 비추는 마음
•제6의식(第六意識), 생각하는 마음
•의근, 생각의 뿌리
•제6의식의 다양한 작용: 전5식과 함께하는 제6의식
•제6의식의 다양한 작용: ‘전5식’ 없이 홀로 발생하는 ‘의식’
•제7식인 말나식(末那識),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마음
•말나식, 심층에 존재하는 마음
•제7식 말나식의 작용
•‘말나식’과 늘 함께 작용하는 네 가지 번뇌
•제8식인 알라야식, 마음의 가장 깊은 곳에 존재하는 마음
•알라야식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마음
•알라야식의 기능 1. 윤회의 주체
•알라야식의 기능 2. ‘근본식’, 모든 마음작용의 전제
•알라야식의 기능 3. ‘장식’, 업의 담지자
•알라야식의 기능 4. ‘아다나식’, 종자와 몸의 형태를 유지하는 작용
•이숙식(異熟識), 업의 성질이 변화되어 성숙
•‘일체종자식’, 경험의 흔적을 담고 있는 마음
•알라야식에 존재하는 ‘습기’

2장 마음이 만든 세상

•식전변(識轉變), 현상을 만드는 마음의 작용
•식전변, 인식의 주체와 인식의 대상
•식전변 제1능변, ‘알라야식’
•‘알라야식’의 인식대상, 종자·유근신·기세간
•식전변 제2능변, ‘말나식’
•식전변 제3능변, ‘의식’과 ‘전5식’
•알라야식과 종자
•알라야식 연기설, 마음 작용의 원리
•3성(三性, Tri-svabhāva), 유식의 세계관
•의타기성, 연기의 유식학적 해석
•변계소집성, 윤회의 세계
•‘원성실성’, 깨달음의 세계
•3무자성(三無自性)_ 상무성
•3무자성(三無自性)_ 생무성, 승의무성
•3자성과 3무자성, 존재의 양면
•3량(三量), 인식의 세 가지 방식
•3량(三量)과 8가지 식
•마음의 인식구조
•4분설(四分說), 마음의 네 부분
•‘4연(四緣)’, 존재의 네 가지 원리1: 인연, 등무간연
•‘4연(四緣)’, 존재의 네 가지 원리2: 소연연, 증상연
•5사, 존재에 대한 5가지 분류법
•인식 현상에 대한 해석: 무상유식(無相唯識)
•인식 현상에 대한 해석: 유상유식(有相唯識)

3장 마음과 마음의 작용

•붓다의 가르침과 마음의 분류
•유식학의 마음에 대한 체계적 분석
•심(心)과 심소(心所), 왕과 신하
•심소법의 분류
•변행심소(遍行心所), 두루 작용하는 마음
•5가지 변행심소
•별경심소(別境心所), 각각 다른 대상에 대해 활동하는 심소
•5가지 별경심소(別境心所)
•자성선(自性善): 본질적으로 선한 마음의 작용
•상응선(相應善): 자성선과 상응함으로써 선이 되는 마음의 작용
•‘번뇌심소1’, 혼란스럽게 하는 마음의 작용
•‘번뇌심소2’, 부정견에 속한 5가지 종류
•‘수번뇌’, 부수적으로 작용하는 번뇌심소
•‘소수번뇌(小隨煩惱)’, 독자적인 성격이 강한 번뇌심소
•‘소수번뇌심소’의 종류
•‘중수번뇌 ’, 작용의 폭이 ‘소수번뇌 ’와 ‘대수번뇌 ’의 사이
•‘대수번뇌(大隨煩惱)’, 오염된 마음에 두루 존재
•대수번뇌의 종류
•‘부정심소’, 어느 쪽에도 고정되지 않은 마음의 작용

4장 수행의 길

•수행의 길
•자량위(資糧位)1, 복과 지혜를 쌓는 단계
•자량위(資糧位)2, 해탈로 방향이 정해진 단계
•가행위(加行位)1, 수행에 힘쓰는 단계_4선근, 난위
•가행위(加行位)2, 4선근 정위, 인위, 세제일법위
•가행위(加行位)3, 4심사관(四尋伺觀)·4여실지관(四如實智觀)
•통달위, 진여를 보는 단계
•수습위, 미세한 습기를 닦는 단계
•구경위, 완전한 경지

5장 수행을 통한 마음의 변화

•‘전의(轉依)’, 마음의 질적인 변화
•‘전식득지(轉識得智)’, ‘식’이 ‘지혜’로
•‘전5식’은 ‘성소작지(成所作智)’로
•‘의식’은 ‘묘관찰지(妙觀察智)’로
•‘말나식’은 ‘평등성지(平等性智)’로
•‘알라야식’은 ‘대원경지(大圓鏡智)’로

6장 유가행파의 사상가

•유가행파
•유가행파의 시조, 미륵보살
•미륵의 저서
•유식학을 체계화한 무착
•유식학을 꽃피운 세친
•안혜 논사와 호법 논사
•삼장법사 현장
•한국 유식학의 대가1, 원측
•한국 유식학의 대가2, 원측의 저서와 사상

저자소개

안환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철학과에서 동양철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종교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논문은 「유식불교의 언어관 연구 - ‘사회적 자아’를 형성하는 언어의 역할 문제를 중심으로」이다. 현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학․응용불교학전공 지도교수, 한국불교학회 학술이사,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편집위원, 『인문사회21』 편집위원이다. 저서와 논문으로는 『도표로 읽는 유식입문』, 『유식, 마음을 읽다』, 『유식, 마음을 변화시키는 지혜: 나를 바꾸는 불교심리학』(번역서),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정서불안에 대한 유식학적 모색 - 사심사관(四尋伺觀)을 중심으로」, 「‘번뇌’의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 증상 - ‘도거(掉擧)’와 ‘혼침(惛沈)’을 중심으로」, 「유가 유식사상 교재의 구성과 내용」, 「자리이타의 불교심리학적 의미」, Reconsidering the Role of Desire in Yogācāra Buddhism-Focus on the Bīja, Another Form of Language 외 다수가 있다. 아시아문화학술상(2014년), 제14회 진각논문대상(2012년), 제1회 원효학술상 학생부문(2010년)을 수상했다
펼치기
배종훈 (그림)    정보 더보기
2003년 ‘월간 불광’ 연재를 시작으로 ‘불교신문’, ‘현대불교신문’ 등의 교계 언론사에 삽화와 카툰을 지금까지 연재하고 있다. 출간한 책으로 『도표로 읽는 불교 입문』–2016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우수도서, 『도표로 읽는 경전 입문』, 『도표로 읽는 천수경 입문』, 『연꽃 향기로 오신 묘엄 스님』, 『안에 있을까? 밖에 있을까』, 『유럽을 그리다』, 『행복한 명상카툰』, 『내 마음의 죽비소리』, 『자네 밥은 먹었는가』, 『처마 끝 풍경이 내게 물었다』, 『도표로 읽는 부처님 생애』, 『도표로 읽는 유식 입문』, 『도표로 읽는 명상 입문』–2023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우수도서 등이 있다. 2010년 불일미술관 개인전(맑은 생각, 카툰 선을 만나다), 2014년 스페이스 선+ 2인전(마음이 추울 때 카투니카노 한잔 어때요), 2014년 불교박람회&붓다아트 페스티벌 기획 초대전, 2016년 스페이스 선+ 갤러리 개인 초대전 등의 선카툰 전시회를 가졌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jh.bae.963
펼치기

책속에서

유식, 오직 마음뿐
요가 수행자들은 붓다의 뜻을 이어받아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자 했다. 이 수행자들은 유가행파(瑜伽行派, Yogācāra)라고 불리었다. ‘유가(瑜伽)’는 산스끄리뜨 요가(Yoga)를 음사한 것이다. ‘유가행파’는 ‘요가를 실천하는 무리’라 는 뜻이다. 이들은 수행을 통해 마음을 관찰한 내용을 기반으로 그들의 사상을 펼쳤다. 이를 잘 보여주는 말이 ‘유식’이다. ‘유식’은 ‘오직 마음뿐’이 라는 말이다. 즉 ‘마음 이외에는 어느 것도 존재하지 않으며 마음에 의해 모든 것이 만들어진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마음을 벗어난 대상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유식’은 구체적으로 ‘유식무경(唯識無境)’으로 표현된다.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마음만이 있고 대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런데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무엇일까? 상식적으로 생각해 볼 때 나의 주변에는 내 가족이 있으며, 나의 친구가 있고, 내가 사용하는 물건이 있다. 이러한 것 모두는 엄연히 존재하는데 오로지 마음만이 있고 이러한 것은 존재하 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 의미는 무엇일까? 유가행파가 ‘유식무경’이라는 말을 통해 주장한 의미는 ‘마음[識]을 벗어난 대상[境]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의 눈앞에 보이는 대상은 나의 마음과 분리된 것이 아니라 마음과 함께 생겨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말나식, 심층에 존재하는 마음
‘말나식’은 ‘알라야식’과 함께 심층식이라고 불린다. 현대 정신분석학에서 무의식이라고 일컫는 마음에 상응한다고 할 수 있다.
유식학 논서인 『성유식론』에서는 ‘말나식’의 작용을 ‘항심사량(恒審思量)한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항(恒)’이란 ‘언제나 항상’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심(審)’이란 ‘자세하게’라는 의미이다. ‘말나식’은 ‘언제나 항상 자세하게 자아를 살피고 헤아린다.’는 것이다. 여기서 자아는 ‘알라야식’이다. ‘말나식’은 ‘알라야식’에 대해 아주 미세하고 은밀하게 그리고 멈추지 않고 항상 작용한다고 한다.
즉 ‘말나식’은 잠을 자거나 깨어 있거나 착한 행위를 하거나 나쁜 행위를 하거나 언제나 자기중심적인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우리가 누군가를 도와주는 착한 일을 할 때, 우리의 마음 깊은 곳에 ‘말나식’이 은밀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는 누군가를 도와주면 자신도 모르게 기분이 좋아지는 것을 느낀다. 이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의식’으로는 알아 차리지 못하지만, 마음 깊은 곳에서 ‘나 자신의 만족’을 위해 착한 일을 하게끔 하는 ‘말나식’의 작용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말나식’을 오염된 마음을 뜻하는 ‘염오의(染汚意)’라고도 부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