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 ISBN : 978895749016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04-05-30
책 소개
목차
하나. 지역문학의 전통
경남지역 계급주의 시문학 연구
1. 들머리
2. 자생적 계급시와 1920 년대 투고시단
3. 1930년대 계급시의 성장과 매체 투쟁
4. 광복기 계급시의 실천 조직과 전향
5. 마무리
근대 통영지역 시문학의 전통
1. 들머리
2. 통영의 지역성과 문학 환경
3. 통영 근대시의 흐름
1) 국권회복기의 한시문학
2) 나라잃은시기와 활발한 매체 활동
3) 광복기와 통영시단의 변화
4) 경인전쟁기와 1950년대의 통영시
5) 1960년대와 통영 지역시의 성숙
6) 1980년대와 통영 지역시의 현재
4. 통영 지역시의 성격과 전망
1) 통제영 문화와 이순신 담론
2) 시조 우위의 전통
3) 바다시의 전통과 이중서
4) 동인지 문단의 전통과 지역성
5)출향문인의 이바지와 문학자본
5. 마무리
둘. 지역과 부왜문학
경남 지역문학과 부왜활동
1. 들머리
2. 경남지역의 근대와 부왜
3. 일어 문학과 부왜활동
4. 한글 문학과 부왜활동
5. 한문 문학과 부왜활동
6. 마무리
김정한 희곡 「隣家誌」 연구
1. 들머리
2. 김정한 담론과 절필
3. 1940년대 '국민총력운동'과 「隣家誌」
4. 「隣家誌」의 맥락과 '지원병'
5. 마무리
(붙임) 「隣家誌」
이원수의 부왜문학 연구
1. 들머리
2. 부왜매체 『半島の光』
3. 이원수의 부왜작품
1) 동시와 '兵공奉公'
2) 농민시와 ‘農業報國’의 정성
3) 수필과 '皇國臣民'의 길
4. 마무리
(붙임)「古都感懷」
셋. 이주홍과 그의 시대
이주홍의 초기 아동문학과 『신소년』
1. 들머리
2. 등단 작품 「배암색기의 舞蹈」 변증
3. 계급 모순과 계몽적 서사의 두 길
1) 동화와 우화적 상상력
2) 소년.소녀 소설의 현실성
4. 동요?동시와 민족 모순의 수용
5. 아동극의 형식성
6. 마무리
이주홍론―교육자로서 걸었던 길
1. 들머리
2. 1920년대 청년 이주홍과 일본 ‘근영학원’
3. 광복기 서울과 부산에서
1) '배재중학교' 시절
2) '동래중학교' 시절
4. '국립부산수산대학교'와 이주홍
5. 마무리
향파 이주홍의 등단작 시비
1. 시비의 비롯됨
2. 등단제도와 관련하여
3. 작가의 자술을 중심으로
4. 마무리
(붙임)「배암색기의 舞蹈」
넷. 지역문학의 속살
광복열사 박차정의 삶과 문학
1. 들머리
2. 항왜의 나날과 문필 활동
3. 언니의 죽음과 시 「개구리 소래」
4. 가난과 소설 「徹夜」
5. 마무리
(붙임)「徹夜」
- 동래온천과 노자영의 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