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중국소설
· ISBN : 9788957511756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05-02-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삼국지'의 주연 배우
주요 인물 소개
<삼국지>의 무대
긴피라고보[金平牛蒡]와 <삼국지>
들어가기에 앞서
프롤로그
<삼국지> 전야
<삼국지> 이전의 중국
강의 <삼국지> | 외척과 환관
<삼국지>의 명언 | 진번의 '큰 뜻'
제1장 <삼국지>의 개막
1. 황건의 봉기
인물 <삼국지> | 장각
<삼국지>의 명언 | 황보숭의 '군세의 수보다 기책이 중요'
인물 <삼국지> | 황보숭
명소 안내 | 삼의묘(三義廟) 유적
2. 환관의 멸망
강의 <삼국지> | 영제(靈帝)의 후계, 변(弁)과 협(協)
인물 <삼국지> | 원소
<삼국지>의 명언 | 진림(陳琳)의 '간언(諫言)'
3. 동탁의 전횡(專橫)
인물 <삼국지> | 동탁
4. 군웅의 궐기
인물 <삼국지> | 손견
강의 <삼국지> | 연환계(連環計)
제2장 영웅들의 패권 다툼
1. 간웅의 등장
인물 <삼국지> | 조조
<삼국지>의 명언 | 조조의 '배신은 용서하지 않는다'
강의 <삼국지> | 조조의 참모들
순욱(荀彧) / 정욱(程昱)
<삼국지> 명시 감상 | 조조 '단가행(短歌行)' (일부)
2. 최강의 최후
인물 <삼국지> | 여포
강의 <삼국지> | 하비전투
<삼국지>의 명언 | 조조의 '호퇴치(虎退治)'
3. 유비의 참패
강의 <삼국지> | 조조의 관우 회유책
인물 <삼국지> | 관우
강의 <삼국지> | 의리의 사나이, 관우
언소자약(言笑自若) / 단도부회(單刀赴會) / 옥은 부서져도 그 흰빛은 변하지 않는다
<삼국지>의 명언 | 관우의 '부서져도 순백'
4. 패자의 출현
강의 <삼국지> | 조조 vs 원소, 원소의 패인.조조의 승인
원소의 패인 / 조조의 승인
<삼국지>의 명언 | 조조의 '넓은 도량'
인물 <삼국지> | 저수
<삼국지>의 명언 | 저수의 '운명에의 한탄'
5. 조연의 등장
인물 <삼국지> | 손권
강의 <삼국지> | 손권의 참모들
주유) / 노숙 / 여몽 / 육손
<삼국지>의 명언 | 노숙과 여몽의 여몽의 표변(豹變)
제3장 군사(軍師) 공명의 출현
1. 영웅의 고뇌
<삼국지>의 명언 | 유비의 '비육지탄(肉之嘆)'
인물 <삼국지> | 유표
강의 <삼국지> | 형주의 문인 살롱
2. 와룡의 비상
인물 <삼국지> | 제갈량
공명 일화 1 | ''학문'
공명 일화 2 | '결혼'
강의 <삼국지> | 천하삼분지계
<삼국지>의 명언 | 유비의 '수어지교'
명소 안내 | 삼고당(三顧堂)
3. 사자의 포효
<삼국지>의 명언 | 유비의 '사람이 기본'
인물 <삼국지> | 장비
인물 <삼국지> | 조운
명소 안내 | 장판의 조운
4. 연합의 성립
강의 <삼국지> | 공명의 인심 설득술
<삼국지>의 명언 | 공명의 '마음을 사로잡은 문구'
<삼국지>의 명언 | 공명의 '적정(敵情) 분석'
<삼국지>의 명언 | 노숙의 '충고'
<삼국지>의 명언 | 손권의 '결단'
5. 적벽의 기적
강의 <삼국지> | <삼국지연의>가 묘사한 적벽전투 ①
강의 <삼국지> | <삼국지연의>가 묘사한 적벽전투 ②
강의 <삼국지> | <삼국지연의>가 묘사한 적벽전투 ③
강의 <삼국지> | <삼국지연의>가 묘사한 적벽전투 ④
<삼국지> 명시 감상 | 이백 '적벽가송별(赤壁歌送別)'
명소 안내 | 적벽(赤壁)
제4장 위.오.촉, 삼국의 사투
1. 주랑의 최후
<삼국지>의 명언 | 유비의 '공처가(恐妻家)'
강의 <삼국지> | 주유의 상서
<삼국지>의 명언 | 주유의 '유언'
2. 유비의 입촉
<삼국지> 명언 | 방통의 '유비 설득'
<삼국지>의 명언 | 방통 '유비를 꾸짖다'
인물 <삼국지> | 방통
명소 안내 | 낙봉파(落鳳坡)
<삼국지>의 명언 | 공명의 '마초 평'
3. 한중의 왕자(王者)
강의 <삼국지> | 형주 문제
<삼국지>의 명언 | 제갈근.제갈량의 '공사의 구분'
<삼국지>의 명언 | 조조의 '망촉(望蜀)'
인물 <삼국지> | 황충
<삼국지>의 명언 | 유비의 '조운 평'
<삼국지>의 명언 | 조조의 '닭의 갈비뼈'
4. 관제(關帝)의 탄생
강의 <삼국지> | 여몽의 겸하지계(謙下之計)
<삼국지>의 명언 | 관우의 '고참의 자존심'
<삼국지>의 명언 | 비시의 '샐러리맨의 마음가짐'
<삼국지>의 명언 | 손권 측근의 '관우의 최후'
명소 안내 | 관림(關林)
강의 <삼국지> | <삼국지연의>가 묘사한 관우의 재앙
5. 후한의 멸망
<삼국지>의 명언 | 조조의 '유언'
<삼국지>의 명언 | 조조의 '인재 채용'
<삼국지>의 명언 | 조조의 '법치주의, 자신에게도 엄격하게'
강의 <삼국지> | 조조의 후계 후보 ① 조충(曹沖)
강의 <삼국지> | 조조의 후계 후보 ② 조식(曹植)
<삼국지> 명시 감상 | 7보(七步)의 시
강의 <삼국지> | 조조의 후계 후보 ③ 조비(曹丕)
<삼국지>의 명언 | 조비의 '문학지상주의'
6. 장비의 최후
<삼국지>의 명언 | 진수의 '공명과 법정'
<삼국지>의 명언 | 진수의 '관우와 장비의 약점'
<삼국지>의 명언 | 황권의 '충고'
강의 <삼국지> | 이릉전투, 육손의 전술
<삼국지>의 명언 | 유비의 '최후 패전의 변(弁)'
7. 백제(白帝)의 유언
<삼국지>의 명언 | 유비의 '공명에의 유언'
<삼국지>의 명언 | 공명의 '대답'
<삼국지>의 명언 | 유비의 '유선에의 유언'
<삼국지>의 명언 | 유비의 '마지막 말'
명소 안내 | 백제성(白帝城)
제5장 공명과 중달, 삼국의 멸망
1. 출사(出師)의 결의
강의 <삼국지> | 촉.오의 국교 회복 - 등지의 활약
<삼국지>의 명언 | 공명의 '인재 활용'
<삼국지>의 명언 | 등지의 '두 왕은 없다'
강의 <삼국지> | 칠종칠금(七縱七擒)
<삼국지>의 명언 | 마속의 '마음을 공격한다'
강의 <삼국지> | 출사표
2. 숙명의 대결
강의 <삼국지> | 위.오.촉의 국력 비교
강의 <삼국지> | 맹달 이용 작전
강의 <삼국지> | 가정전투 - '울며 마속을 베다'
3. 최후의 북벌
<삼국지>의 명언 | 중달의 '장성(長星) 떨어지다'
인물 <삼국지> | 사마의
<삼국지>의 명언 | 민중의 속담이 된 "죽은 공명, 산 중달을 쫓다"
<삼국지>의 명언 | 진수의 '공명 평(評)'
<삼국지> 명시 감상 | 두보(杜甫) '촉상(蜀相)'
<삼국지> 명시 감상 | 도이 반스이[土井晩翠] '성락추풍오장원(星落秋風五丈原)'
명소 안내 | 오장원(五丈原)과 무후사(武侯祠)
4. 삼국의 종언(終焉)
강의 <삼국지> | 오의 마지막 황제
강의 <삼국지> | 촉의 종언
책속에서
이 책에서는 정사 <삼국지>를 기반으로 삼국의 흥망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삼국지연의> 속 일화도 소개하여 양서의 차이를 밝혀보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복잡하게 얽힌 <삼국지>의 세계를 가능한 한 알기 쉽게 그리고 재미있게 해설하는 것을 제일의 목표로 삼았다.
'알기 쉽고 재미있게'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성공했다고 자부하지만 정확성에 관해서는 미흡한 부분도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