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57820728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09-01-28
목차
서문
한국어판 서문
추천사
역자서문
1부 증거기반 경영이란?
01 왜 모든 기업들이 증거기반 경영을 도입해야 할까?
02 증거기반 경영, 어떻게 실행할까?
2부 사람과 기업경영에 대한 위험한 반쪽 진리들
03 일과 사생활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꼭 그래야 할까?
04 최고의 기업에는 최고의 인재들이 있다?
05 금전적 인센티브가 기업의 성과를 높인다?
06 전략은 과연 운명일까?
07 변하지 않으면 죽음뿐이다?
08 위대한 리더는 조직을 장악하고 있다?
3부 증거기반 경영을 실행으로 옮기기
09 증거기반 경영의 이익을 누리기 위해서
책속에서
역사에는 세상을 크게 바꾸어 놓은 지도자들이 수없이 등장한다. 간디는 영국으로부터 인도가 독립하기까지 헌신한 인물이다. 마틴 루터 킹 목사는 미국 흑인들의 민권운동의 중심에 있었고, 모든 미국 시민에게 경제적 정의가 무엇인지를 가르쳐 주었다. 엘리사베스 여왕은 굳센 의지와 정치력으로 영국을 통일된 왕국으로 공고히 자리잡게 했다. 2차 세계대전 중 윈스톤 처칠의 말과 행동은 영국 국민들의 용기를 불러일으켰다. 미국 대통령 린든 존슨(Lyndon Johnson)은 노인들을 위한 의료서비스를 법으로 통과시켰고, 연방정부의 각 기관들이 산모, 유아복지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 구호서비스를 담당하게 했다. 물론 좋은 지도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조세프 스탈린이나 아돌프 히틀러와 같이 수백만의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지도자들도 있다.
세계적 차원보다 작은 조직 차원에서도 지도자는 큰 차이를 만들어 낸다. 리더십 연구가 로버트 호건과 그의 동료들이 잘 지적했듯이, "링컨의 군대가 병력 면에서는 월등했지만, 율리시스 그랜트 장군이 나타날 때까지 무기력했다는 것은 리더십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증거다."
1910년에 남극에 누가 가장 먼저 도달하는 가를 놓고 벌어진 로알드 아문센과 로버트 팔콘 스코트의 경쟁 역시 마찬가지다. 아문센은 탐험대가 제대로 장비를 갖출 때까지 기다렸다가, 남극에 먼저 깃발을 꽂고 무사히 돌아 올 수 있었다. 이에 비해서 "스코트는 무능력했기 때문에 경쟁에서도 졌고 자신의 목숨뿐 아니라 다른 세 명의 대원들도 죽게 했다. -P. 369 중에서
우리의 동료들이 하는 말이나 당신의 경험에서 알 수 있듯이 ‘증거보다는 막연한 기대나 두려움 때문에,’ ‘다른 회사에서 하고 있으니까,’ ‘과거부터 지금까지 쭉 잘 돌아갔으니까’ ‘경영진의 확고한 신념과 부합하니까’ 등으로 의사결정을 내린다. 사실은 무시한 채, 다른 이유들이 의사결정을 주도한다는 말이다. 증거기반 의학이나 교육이 의료계와 교육계에서는 늦게나마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증거를 기반으로 기업경영을 한다는 말은 듣기가 힘들다. 기업 경영처럼 의사들이 증거를 무시하고 환자 진료를 한다면, 여러 환자의 병을 악화시키거나 환자를 죽인 죄로 많은 의사들이 감옥에 갔을 것이다.
하지만 고집스럽게 증거에 저항하는 지도자나 회사들에게 좋은 소식이 있다. 앞으로 보겠지만, 증거기반 경영은 비밀스럽거나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결국에 아주 탁월한 성과를 일구어 낼 수도 있다. 또한 증거기반 경영은 지속적 경쟁우위를 얻을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증거기반 경영을 실천하려는 지도자나 기업들이 거의 없기에, 모방가능성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P. 23 중에서
논리적인 사고와 분석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소규모의 실험과 관찰을 해보자. 관찰에서 얻은 자료와 당신의 조직에서 현재도 계속 나오는 데이터를 놓고 생각하는 습관을 키우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의학 연구에서는 지식을 얻기 위해서 두 개의 주요한 방법을 쓴다. 가장 잘 쓰는 방법은 환자들을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눈 뒤, 피실험자와 의사가 모르게, 한 집단에는 실제약물로 다른 집단에게는 플라시보(placebo, 아무 성분이 없는 가짜 약)를 처방한 다음 약품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의사나 환자 누구도 자신이 어느 그룹에 속해있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플라시보 효과가 배제되며 순수하게 실제약물이 미치는 영향만을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미성년자들을 무작위로 선택해서 어떤 조건이 흡연 습관을 고착시키는가를 조사하는 실험은 윤리에 어긋난다. 따라서 과학적으로 덜 엄밀한 방법들이 동원된다. 예를 들어 운동, 비타민 섭취, 흡연 습관을 조사, 관찰할 수 있다. 아니면 다른 설명이 가능한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피실험자의 행태(원인)와 결과 사이의 연결고리를 조사하기 위한 통계적 기술이 동원되기도 한다. -P. 85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