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희와 치유

유희와 치유

(김향의 세 번째 공연평론집)

김향 (지은이)
연극과인간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000원 -0% 0원
170원
16,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희와 치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희와 치유 (김향의 세 번째 공연평론집)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한국희곡
· ISBN : 9788957865880
· 쪽수 : 343쪽
· 출판일 : 2016-11-07

목차

머리말

1장 연극과 축제에의 공감 그리고 치유
라스꼴리니코프가 죄인인 까닭
-임도완 연출 <죄와 벌>

사냥하는 네티즌
-이성열 연출 <잠자는 숲 속의 옥희>

희망의 동행
-<살인자의 수트케이스를 열면>, <잉여인간>. <비밀친구>

비루함 속 희망과 저항에 대하여
-박근형 연출 <청춘예찬>

화해를 통한 평화적 공존과 공동체적 화합
-이동선 연출 <데모크라시(Democracy)>

삶의 고통을 노래하는 도발성
-김현탁 연출 <성북동 갈매기>

불편한 진실을 간직한 상처받은 어른들의 이야기
-임세륜 연출 <어른의 시간>

내 안의 제국주의자를 발견하라
-데클란 도넬란(Declan Donnellan) 연출 <템페스트(The Tempest)>

삶의 양면으로서의 천국과 지옥
-한태숙 연출 <단테의 신곡>

원작에 대한 이해 부족 또는 현실에 대한 인식 결여
-한국연극 100년 재발견 시리즈 4 <이수일과 심순애>

공감과 치유의 시간을 향하여
-2013 두산인문극장

몸에 대한 진정성
-임도완 연출 <휴먼코메디>, <보이첵>

'우연성'의 미학
-민새롬 연출 <미사여구 없이>

극작가 겸 연출가 성기웅이 몸으로 쓴 글
-성기웅 연출 <다정도 병인 양하여>

'마음을 잃어가는 것'에 대한 성찰
-김재엽 연출 <배수의 고도>

극적 허상과 현실 사이에서 '마음 들여다보기'
-임도완 연출 <크리스토퍼 논란 클럽>

편견의 벽을 넘기 위한 성찰
-배요섭 연출 <바후차라 마타: Beyond Binary>

흔들리고 진동하는 몸의 로컬리티(locality)
-임지애 연출 <1분 안의 10년-트랜지션(Transition)>

들리지 않는 음악소리, 침묵 그리고 함께 부르는 노래
-차현석 연출 <흑백다방>

유령의 시간
-이윤택 연출 <문제적 인간 연산>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한 삶들'의 '하늘로 뻗는 뿌리'
-이윤택 연출 <백석우화>

욕망의 노예, 현대인들에 대한 '독일식 현대비극'
-이대영 연출 <가라테 빌리 돌아오다>

폭력적인 그러나 사랑스러웠던 연극
-로버트 알폴디(R bert Alf Idi) 연출 <겨울이야기>

복고풍의 희극적 양식화와 '상식'에 대한 사유
-서충식 연출 <국물있사옵니다>

익숙한 관극체험 속 낯선 풍경 찾기
- 2012 서울국제공연예술제

함께 변화하며 가는 길
-단막극 페스티벌 '아름다운 동행'

무로관객을 위한 대중극의 진수, 4월의 거리축제
-2013 제6회 비아페스티벌

're-음악극제'의 상상력
-제12회 의정부국제음악극축제

변화와 융합의 잔치
-제13회 2인극 페스티벌

신진 연출가들의 축제
-2015 서울연극제 '미래야 솟아라'

2장 음악극의 유희성에 대한 사유

유아적 자아의 도피와 창극과 포스트드라마 사이
-한태숙 연출 창극 <장화홍련>

'춘궁기'를 이겨낼 공동체의 힘
-오태석 연출 음악극 <봄봄>

메디아(Medea)에 대한 연민의 극대화
-서재형 연출 창극 <메디아>

못생긴 여자와 몸 파는 여자에 대한 이야기
-박지혜 연출 창작 판소리 <추물/살인>

동티살에 상부살로 맞서기
-고선웅 연출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

연출가주의와 창극의 길항관계
-정의신 연출 창극 <코카서스의 백묵원>

<햄릿>에서 '햄릿' 역할을 벗은 판소리꾼들들
-박선희 연출 <판소리 햄릿 프로젝트>

멋진 무대 그러나 공감하기에 아쉬운
-이소영 연출 창극 <적벽가>와 서재형 연출 창극 <아비, 방연>

올페(Orfeo)의 '뒤돌아봄'에 대한 사유
-이소영 연출 창극 <오르페오전>

'지금 내가 있는 곳'을 사랑하는 방법
-이신영 연출 음악극 <1984 안양읍내>

3장 제작 현장 속 그들과 함께

동시대 창작극 드라마투르기
-사례를 중심으로

'희망'이라는 이름의 정체 모를 욕망의 형상화
-정범철 연출 <도로시의 귀환> 드라마투르기

애도에서 치유로
-이기도 연출 <401호 윤정이네> 드라마투르기

몽환적이고 상징적이었던 무대
-최재오 연출 <달빛 유희> 드라마투르기

기억을 찾아가는 길
-박장렬 연출 <전당포> 드라마투르기

삶의 뒤안길을 천착하는 극작가
-김은성 극작론

마술적 사실주의에서 사랑의 연출 기법으로
-고선웅 연출론

'기억'의 연출법
-김혜리 연출론

한국 연극계의 '문화게릴라' 양성소, '우리극연구소'
-연희단거리패 30주년 기념

세상을 움직이는 드라마투르크를 위하여
-서평『고스트 라이트(Ghost Light)』

희곡의 '넓은 미래'
-서평:『장면 구성과 인물 창조를 위한 희곡 읽기』

음악에 실은 삶에 대한 사유
-희곡집『피아노 포르테 연작』작품해설

저자소개

김향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희곡을 기반으로 공연 예술을 전공한 인문학자이다. 창극, 연극, (창작)판소리, TV 드라마 등 극예술과 공연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무대 현장을 리뷰하는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간간이 드라마투르기 작업도 한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 이론과 희곡 문학을 공부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석·박사과정 중에 학점 교환이 되는 서강대학교(신문방송학과)와 이화여자대학교(국어국문학과)에서 연극·영화 이론, 연출론, 연기론, 희곡사와 희곡 이론 등을 공부하기도 했다. 「차범석 희곡의 극적 재현 방식의 변모 과정」(2008)으로 박사학위 취득 후 본격적으로 창극(판소리) 장르로 연구 영역을 확장했다. 창극이 판소리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창극 이면론’을 체계화했고 문화번역론을 토대로 창극과 동아시아 공연들과의 비교문화적 고찰을 하고 있다. 젠더이론을 토대로 창극과 연극을 살피고 있고 노동과 젠더 관련 (뉴)다큐멘터리 공연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문화 간의 경계가 해체되고 다양한 공연 장르들이 융합되는 가운데 발생하는 창의적인 무대 언어에 주목하고 있으며 낮고 작은 목소리를 내는 생명체들의 메시지에 귀 기울이며 삶을 비평하고 자 한다. 그간 평론집 『손님과 대화』(2005), 『김향의 무대와 객석 마주보기』(2012), 『유희와 치유』(2016)와 학술 저서 『최인훈 희곡 창작의 원리』(2005), 『희곡과 공연 양식』(2010), 『현대 연극문화와 차범석 희곡』(2010)을 출간했다. 그리고 관여하는 학회와 연구소 동료들과 함께 『퍼포먼스 드라마투르기』(한국드라마학회, 2018), 『한국연극과 정전의 극복』(한국연극학회, 2021), 『동아시아의 여성과 무대』(연세대학교 공연예술연구소, 2021), 『창극의 변화와 도약』(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2023) 등 10여 권이 넘는 공동 저서 출간 작업을 해 왔다. 판소리학회, 한국공연문화학회, 한국드라마학회, 한국연극학회,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등에서 이사와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공연예술연구소 전문연구원이기도 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에서 전임 연구원을, 성결대학교 파이데이아학부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호서대학교 더:함교양대학 창의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