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8895810170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4-03-14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1부 새로운 도전들
1장 가족과 여성 역할의 혁명적 변화
여성 생애주기의 남성화 | 가족형성의 새로운 논리?
성 역할 전문화와 가정 내 생산 | 부부 역할 전문화의 경향과 차이
미완의 혁명
2장 새로운 불평등
증가하는 소득 불평등 | 인구학적 변화의 영향 | 여성혁명과 불평등
여성고용과 불평등 간의 연관성 분해 | 양극화와 사회복지
2부 복지국가의 조정
3장 여성혁명에 대한 가족정책의 조정
가족과 복지체제 | 정책 과제 | 여성의 평생고용 지원
남성 생애주기의 여성화? | 새로운 복지혼합?
4장 아동에 대한 투자와 생애 기회의 평등화
새로운 도전 | 높아지는 장애물들
사회적 대물림 이면의 인과관계 메커니즘 규명 | 사회투자 전략
결론: 자녀들에 대한 가족투자 지원하기
5장 고령화와 공평성
고령화의 도전 | 복지체제와 노인 | 세대 간의 공평성
우리의 아이들로부터 시작되는 연금 개혁: 세대 간 계약을 넘어서
연금 개혁은 영아기에 관한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후기
옮긴이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여성의 새로운 역할에 대해 사회가 적절히 적응하지 못할 경우, 공평성으로 인한 갈등이 초래된다. 즉, 일하는 여성들은 일과 가사일 모두 부담해야 하는 ‘이중부담’의 엄청난 불공평한 상황에 놓이게 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직장에서 경력을 쌓고 경제적 독립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바람을 포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왜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출산율이 낮아지고 동시에 이혼율은 높아지는지 그 원인의 뿌리를 보게 된다. ― “한국어판 서문”중에서
나의 핵심적인 주장은 혁명의 미완성이란 특성이 우리 사회에 심각한 불균형을 야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세 가지 측면에서 명백하다. 우리가 바라는 것보다 훨씬 적은 수의 아이들, 점점 줄어드는 아이들에 대해 질적으로 너무 부족한 투자, 인구고령화가 그것이다. 내가 주로 우려하는 것은 여성 역할의 혁명이 새로운 불평등, 나아가 더 큰 사회 양극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 “서문”중에서
이 책에서는 주로 인구학적 전환과 여성혁명의 후속 충격파들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나는 우리가 진정한 혁명에 직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 혁명은 시민들이 교육, 결혼, 가족생활, 부모 되기, 직업경력 등 전 생애에 걸쳐 결정하고 행동하는 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유발했기 때문이다. 나는 부가적으로 그 혁명이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우리 사회가 작동하는 방식의 주요한 구조적 변화를 구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지구화와 기술의 영향을 과장하였지만 동시에 새로운 인구 경향이 유발하는 변화에 대해서는 제대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특히 사회 불평등의 경우에 그러하다.
이 책에서 전개된 핵심 테제는 혁명이 불완전하면 불완전할수록, 그 초입에 불평등이 더욱 커진다는 것이다. 몇 가지 점에서 양극화 경향은 확실하게 입증될 수 있다. 주로 혁명이 특권을 가진 사회계층 출신의, 고학력 여성이 최전방에 서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극화가 발생한다. 낮은 사회계층으로의 낙수현상이 상당한 수준으로 발생할 때에만 혁명이 성숙 단계로 들어서며, 역으로 이는 좀 더 평등한 결과를 낳기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 거칠게 말하면 성 평등에 대한 요구는, 이것이 중간계층의 것으로 국한되는 한, 사회 불평등을 양산해내는 경향이 있다. ― 지은이 “후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