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58207962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3-11-1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6
들어가며 8
1. 진단
・단계별 진단 24
1단계: 평가등급표 | 2단계: 진단평가
・진단에 이르는 여섯 가지 경로 35
유아기에 자폐적 속성을 보일 때 | 입학하고 나서 특징이 나타난 경우 | 다른 증후군의 징후가 보일 때 | 가족 중에 자폐증이나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을 때 | 사춘기의 2차적인 정신장애 | 성인기에 이루어지는 진단평가
2. 사회적 행동
・진단기준 45
・놀이 48
・행동규범 51
・행동 개선을 위한 가정의 역할 57
・행동 개선을 위한 학교의 역할 60
・사회적 적응력을 기르는 모임 64
・우정 74
・눈맞춤 88
・감정 91
・감정 이해에 도움이 되는 방법 93
・감정 표현에 도움이 되는 방법 99
★ 사회적 행동 방식을 습득하는 전략 106
3. 언어
・대화의 기법 112
・글자 그대로 이해하기 125
・단조로운 어조 130
・현학적인 말 133
・독특한 단어 사용 135
・떠오르는 생각 말하기 136
・청각 변별과 왜곡 138
・달변 141
★ 언어능력 향상을 돕는 전략 144
4. 관심사와 기계적 행동
・진단기준 154
・과도한 관심 155
・과도한 관심에 대처하는 법 158
・기계적 행동 165
★ 관심사와 기계적 행동에 대처하는 전략 169
5. 운동신경
・손상되는 능력 174
운동능력 | 공 다루는 기술 | 균형감각 | 손재주 | 글씨 쓰기 | 동작 조절 | 관절 | 리듬감 | 동작 모방하기
・연관된 동작장애 181
투렛 증후군 | 소뇌 기능 장애 | 긴장병과 파킨슨병
★ 둔감한 운동신경을 끌어올리는 전략 186
6. 인지
・마음 이론 191
・기억력 196
・대안적 사고 197
・어휘력과 수 이해력 200
・상상력 205
・시각적 사고 210
・지능검사를 통한 능력 파악 213
★ 인지를 향상시키는 전략 216
7. 감각
・청각 222
・촉각 228
・미각 232
・시각 233
・후각 235
・통증과 온도에 대한 반응 235
・공감각 236
★ 민감한 감각에 대처하는 전략 238
8. 자주 하는 질문들
1. 유전일 가능성이 있는가? 243
2. 난산이나 임신 중의 문제가 원인인가? 245
3. 특정 뇌 부위의 기능이 이상한가? 246
4. 양육자가 원인을 제공했을 가능성이 있는가? 247
5. 다른 장애를 수반하는가? 248
6. 평범함과 특이함의 기준은 무엇인가? 249
7. 언어장애에 따른 2차적 양상인가? 250
8. 주의력 결핍장애를 동반하는가? 251
9. 정신분열증의 일종인가? 253
10. 고기능 자폐와 어떤 차이가 있는가? 257
11. 여자아이와 남자아이의 양상이 다른가? 258
12. 불안감을 줄이는 방법은 무엇인가? 262
13. 쉽게 우울해지는 경향이 있는가? 271
14. 분노와 두려움은 어떻게 조절하는가? 273
15. 사춘기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280
16. 정상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가? 281
17. 범죄에 연루될 가능성이 더 높은가? 287
18. 정부 차원에서 어떤 대책이 필요한가? 289
19. 학교와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293
20.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후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가? 297
21. 주변 사람에게 어떻게 진단결과를 알릴 것인가? 299
22. 어떤 직업이 적합한가? 304
23. 이들의 미래는 어떠한가? 308
부록 315
참고문헌 333
책속에서
아스퍼거 증후군을 지닌 이들은 보통 사람들과는 다르게 세상을 인지한다. 오히려 그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이상하게 생각하고 당황스러워한다. 왜 마음속 진심을 말하지 않는지? 진심이 아닌 말들은 왜 그렇게나 많이 하는지? 아무 쓸모없는 말들을 왜 그렇게 자주 하는지? 사람들은 어떻게 비명도 지르지 않고 빛, 소리, 냄새, 촉각 그리고 미각 같은 혼란스러운 감각을 참아낼 수 있는지? (…) 사람들은 왜 그토록 감정적으로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렇게 많은 사회적 신호를 주고받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것들을 다 이해하는지? 왜 모든 사람을 똑같이 대하지 않는지? 결국 저 사람들은 아스퍼거 증후군을 지닌 우리에 비해 왜 그토록 불합리한지?
계산대 앞에서 줄서서 기다리는 동안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10대 아이는 앞줄에 서 있는 사람을 가리키며 “저, 여자 덩치가 정말 크지 않나요!”라고 큰 소리로 말한다. 그러면 안 된다고 부모가 조용히 타이르면 “하지만 저 여자는 정말 크잖아요!”라고 목청을 높인다. 아이는 처음 그 말을 내뱉을 때 부모가 당황해하는 걸 알아차리지 못할 뿐 아니라, 자신이 두 번이나 그런 식으로 말함으로써 상대방이 어떤 기분을 느낄지 알아채지 못한다. 이 아이들은 자신들이 그 사람의 덩치에 대해 정확하게 표현했는데 사람들은 왜 동의하지 않는지 의아해할 뿐이다.
아이는 아마 뛰어난 기억력, 관심사를 다룰 때 나타나는 특출한 집중력, 문제를 푸는 독창적 방법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반면 학급의 다른 아이들이 매혹되는 활동들에 대해서는 동기부여나 관심이 부족할 수 있으며, 특별한 분야의 학습장애와 미숙한 운동신경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다. (…) 부모와 교사들은 평범하게 보이고 지능적인 면에서 별 문제가 없는 이 아이가 어떤 설 명할 수 없는 이유로 인해 또래 아이에게 기대하는 수준만큼의 이해력을 지니지 못하거나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