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58629030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6-10-3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들어가며 학술사로서 역사학의 역사 들여다보기
1. 한국 현대 사학사의 현주소
2.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3. 새로운 시선으로 접근하기
1장 조선역사․조선사의 성립과 비대칭적 구도화
1. 조선인의 ‘조선학’으로서 ‘조선역사’
학문의 내용과 형식의 전환 ― 구학(舊學)에서 신학(新學)으로, 한문에서 한글로
경학에서 분립한 문·사·철 ― ‘국수’와 조선연구
조선 문학, 정의 내리기
실종된 조선철학
‘조선학의 핵심으로서 조선역사’라는 시각의 등장과 구성체계의 일반화
2. ‘통치의 학(學)’으로서 ‘조선사’ 연구체제의 정비
일본의 대륙팽창과 조선사 연구
장기적 통치기반 조성과 《조선반도사》 편찬사업
조선사편수회의 성립과 관제사학 시스템의 구축
2장 ‘제도로서 역사학’의 성립과 비대칭적 경합 구도
1. 일본형 고등교육 시스템 속의 역사학
‘국가의 대학’인 제국대학 중심의 연구와 교육
3분과체제의 성립과 동양사학
2. 차별적․위계적 고등교육체계 정비
〈전문학교규칙〉과 조선인 고등교육의 제도권 편입
차별적·위계적 고등교육체계의 법제화와 사회화
3. 경성제국대학 ― 차별적·위계적 고등교육체계의 정점
법문학부 ― 조선을 학문 대상으로 한 제국의 핵심 거점
문·사·철학과의 강좌
사학과의 커리큘럼
학문권력 ― 사학과 교수와 청구학회․조선사편수회의 관계
4. 연희전문학교 ― 제국대학의 모방, 그리고 거리두기
문과 교육
3분과체제와 사풍(史風)
3장 조선학이라는 학술장과 ‘태도로서 역사학’
1. 1930년대 초·중반 조선연구열과 ‘조선학운동’
분과학문의 조직화와 조선연구열
조선인에게 조선학이란
조선학운동과 조선역사, 그리고 다산실학
2. 조선학운동’의 상대화 ― 상호 인식과 태도
재조일본인의 식민주의 역사학과 실증
진단학회 주도자의 역사학과 실증주의
조선학운동 주도자, 정인보의 역사학과 실천
유물사관론자들의 법칙적 역사학
3. 조선학이란 학술장에서 역사연구의 지형
연구방식과 다섯 가지 연구경향
연구경향의 특징과 영향
4장 대학의 사학과에 집중된 역사학 ― 식민경험의 연속․변용․단절
1. 미군정․한국정부의 고등교육정책과 교양역사교육
미군정․한국정부 고등교육정책
교과목의 구성과 교양역사교육
2. 대학 사학과의 성립과 역사학
해방 직후 주요 대학의 사학과 구성과정 ― 일본식 제도의 정착과 주체의 형성
한국전쟁 이후 사학과의 구성 과정 ― 문헌고증사학으로의 일원화와 분단성 방치
대학 내 사학과의 위상
교과목의 구성과 학점 ― 통년제에서 학점제로
사학과의 교과목 구성과 3분과체제 정착
사학과 안팎의 경계 형성과 연구활동
사학과의 전임교수들
3. 역사교재와 ‘인식으로서 역사학’
해방 공간에서의 지적 원천 ― 일본을 통한 역사지식의 습득
한국전쟁 이후의 지적 원천과 교재 다양화의 노력
지(知)의 식민성 ― 아시아적 정체성론의 확산
지(知)의 식민성을 넘어서려는 움직임
나오며 한국 역사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해
부록
<표> 해방 직후부터 1950년대까지 주요 대학 전임교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