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예술/사찰
· ISBN : 9788958641094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05-04-25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부처님 그분
1. 인류 구제할 성인이 태어남을 알리는 꿈
: 마야부인의 태몽
2. 만물이 모두 존엄함을 선언한 인류사적 사건
: 부처님 탄생
3. 중생의 비참한 모습에 고뇌하는 싯다르타
: 약육강식과 수하관경
4. 위대한 포기를 통해 탐착과 욕망 근절 강조
: 유성출가
5. 육체적 한계 극복하는 도전의 지난한 몸짓
: 싯다르타의 고행
6. 욕망을 제어하고 자신 이겨낸 참다운 인간
: 마왕의 공격과 격퇴
7. 탐욕.성냄.어리석음 항복받은 진정한 사문
: 항마촉지와 성도
8. 사천왕이 부처님께 수행자의 표상 발우 봉헌
: 발우의 탄생
9. 불교탄생 천명하는 위대하고 장엄한 모습
: 진리의 첫 바퀴
10. 욕망의 불 끄듯 사악한 독룡 제압한 부처님
: 가섭 3형제와 '불의 설법'
11. 포악한 짐승마자 조복시키는 탁월한 법화
: 코끼리 날라기리의 공격
12. 불상의 머리카락은 지혜가 풍부함을 의미
: 부처님 머리 모양
13. 간소한 옷으로 탐욕과 물욕 버리라 가르침
: 부처님 옷
14. 일체 중생 피안으로 인도하는 구원의 손짓
: 시무외인과 공덕
15. 부처님 위대함.거룩함 표현한 방법의 하나
: 광배
16. 생로병사를 벗어난 완전한 인간의 참모습
: 늙지 않는 부처님
17. 욕망에 매달리는 청년을 어떻게 교화할까
: 난다의 출가
18. 신통으로 외도 제압하는 당당한 부처님 묘사
: 사위성의 기적
19. 번뇌 소멸한 인간이 보인 절대 평화의 경지
: 열반
20. 완전한 평화에 든 부처님 추모과정을 형상화
: 다비식과 사리이운
21. 깨달음.전법교화의 길 걸어간 수행자 상징
: 부처님 발자국
22. 깨달음 지켜본 나무, 부처님 대신한 예배대상
: 보리수
23. 전법의 표상, 영원토록 굴러간 진리의 바퀴
: 법륜
24. 칠엽굴 결집을 주도해 가르침 전승한 제자
: 부처님 제자-대가섭존자
25. 25년간 부처님 보행한 영원한 사봉제자
: 부처님 제자-아난존자
제2부 과거.미래 부처님과 진리의 실천자 보살님
1. 머리 풀어 공양 올리니 성불의 수가 내리네
: 과거불(연등불)
2. 중생도 부처님 될 수 있다는 생각.믿음 심다
: 과거칠불
3. 고단한 현실에 희망 주는 인류의 메시아
: 미륵불(미래불)
4. 진리 자체를 형상화한 빛.밝으으 부처님
: 비로자나불
5. 이름만 불러도 편안한 서방 정토의 부처님
: 아미타불
6. 약병 들고 병과 고통 치료하는 의사 부처님
: 약사여래불
7. 세간의 고통 모두 거둬가는 어머니 같은 분
: 관세음보살
8. 반야의 지혜로 중생들 인도하는 동자보살
: 문수보살
9. 중생 구제 위해 지옥도 마다않는 대원 본존
: 지장보살
10. 흰 코끼리 타고 부처님 가르침 실천하는 분
: 보현보살
11. 중생의 고통 보고 고뇌하는 싯타르타
: 반가사유상 1
12. 실존적 인간의 절대적으로 밝고 편한 모습
; 반가사유상 2
13. 석가.다보여래 나란히 앉아 불국 정토 구현
: 이불병좌상
제3부 불멸의 귀의처
1. 부처님 유골.사리 모시는 성스러운 셩웅임
: 사리장엄구-인도편
2. 인도와는 다른 독자적인 양식 발전
: 사리장엄구-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
3, 장례의식과 결합, 관 모양 사리구 발달
: 사리장엄구-중국
4. 세계 공예사에사 장엄물 창안
: 사리장엄구-한국
5. 부처님의 사리가 봉안된 성스러운 처소
: 탑
사진 목록 일람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에게 더욱 자랑스러운 일은 국보 제83호에 버금가는 또 하나의 금동 반가사유상이 있다는 점이다. 국보 78호 반가사유상이 그것으로 국보 제78호는 83호와 쌍벽을 이루며 '불상의 나라' 대한민국의 자존심을 지켜주고 있다.
이처럼 '방광대장엄경' 제4권.'불본행집경' 제12권에 나오는, 농경제 도중 본 약육강식과 중생의 고통에 자극받아 잠부나무 아래에서 명상에 든 싯다르타 태자의 모습이 시원인 반가사유상은 우리나라에서 양식적 발전의 정점에 도달했다. 국보 제83호.제78호 반가사유상의 완벽한 조형미에 압도되지 않을 사람은 거의 없다. - 본문 260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