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사상가/인문학자
· ISBN : 9788958720218
· 쪽수 : 397쪽
· 출판일 : 2005-11-30
책 소개
목차
- 한국의 독자에게 : 문화와 민족을 뛰어넘은 평화의 선구자
- 시작하며 : 국제관계학으로 재조명한 야나기 무네요시
1장 '러일전쟁 후 세대'의 과제
1. 개인의식의 성장
2. 사회주의 그리고 무정부주의
3. '동양과 서양'의 재정의
2장 사상의 모태, 시라카바파
1. 도련님들
2. 시라카바파의 사상 편력
3. 개인과 사회 사이에서
3장 윌리엄 블레이크를 만나다
1. 아카데미즘을 넘어서
2. 블레이크와 만나다
3. 블레이크의 무율법주의
4. 욕망의 긍정, 도덕의 상대화
5. 무정부주의의 씨앗을 얻다
4장 무정부주의
1. 대역사건과 크로포트킨 사상
2. 오스기 사카에의 영향
3. 이시카와 산시로와의 교류
4. 모든 억누름을 거부한다
5장 '동양과 서양'의 재구축
1. 동.서양 사이의 분열
2. 전환점ㅡ블레이크 연구
3. '동양 정신'에 마음이 끌리다
4. 서양인에게 동야을 소개하다
6장 동양 속의 '일본과 조선'
1. 조선의 '위대한 미'
2. 세 나라, 세 민족, 세 예술
3. 민예에서 '일본' 문화를 찾다
4. 조선의 문화는 조선인의 손에
5. 문화정치와 야나기의 조선관
7장 민중예술론 vs 민예운동
1. 민중예술론의 대두
2. 사람들에서 민중으로
3. 이념형으로서의 민중
4. 아름다움의 체계화와 민예운동
5. 민족의 문화적 개성을 굳게 세우다
8장 작은 '협동체'를 지향하다
1. '협단(길드)'의 제안과 실천
2. 길드 사회주의와 일본 논단
3. 공예와 예술은 지방 길드에서
4. 국가와 거리 두기
9장 '절대평화' 사상을 형성하다
1. 평화의 화두를 던진 톨스토이
2. 1차 세계대전과 사라카바파
3. 심해지는 반전 감정
4. 전쟁과 평화, 스콧과 논쟁하다
5. 소극적 저항을 적극 실천하다
6. 복합의 미
7. 평화가 가져온 균형
10장 15년 전쟁
1. 근대 일본을 비판하다
2. 바람직한 일본이란
3. 문화동화 정책에 반대한다
4. 지방문화운동의 현장에서
5. 전쟁을 비판하는 문화
6. 상대주의로 민족을 구성하다
11장 '미의 종교' 운동
1. 미 속의 신앙, 깨달음의 의미
2. 불교로 세계에 이바지하기 위해서
3. 미의 종교, 민예운동
4. 무대사의 경지
5. 차 한 잔에 담긴 아름다움
6. 예술이 부조한 정토진종
- 마치며 : 다 다른 풀과 꽃이 어울리듯 사이좋게 갈등 없이
- 지은이의 말 : 일상에 뿌리 내린 실천적 평화론
- 옮긴이의 말 : 평화를 갈구하는 정열에 감염되다
- 찾아보기
책속에서
야나기가 3.1독립운동 당시, 조선의 미를 찬양하면서 일본의 정책을 비판할 때 혹시 미의 평가 방법으로 정치.경제적인 약자를 끌어올리고자 하는 적극적인 마음이 있었다면, 그러한 기세는 이 충격으로 박살나 버렸을 것이다. 이는 일본이 문화에서 서양의 후진국일 뿐 아니라 여전히 중화제국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음을 재발견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후 야나기에게는 조선의 미를 평가하는 것뿐 아니라 오히려 일본의 미의 독자성을 조선의 미와 구별하면서 명확하게 하는 것이야말로 긴급하고 또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을 것임에 틀림없다. 게다가 조선의 미는 당시 일반적으로 중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이라고 간주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의 미를 중국의 미와 식별하는 일도 당연히 중요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이 야나기가 민족이란 개념을 명확하게 파악해 가는 배경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 본문 147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