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58721314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4-09-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본질] 건축의 본질에 대하여
- 21세기 건축의 의미
- 문화를 담는 그릇, 건축
- 문명의 결정체, 건축
- 건축, 과학과 예술 사이
- 좋은 건축 나쁜 건축
2. [관계성] 건축이 세상과 관계 맺는 방법
- 건축의 관계성
- 대지에 역사 쓰기
- 관계성과 건축 공간
- 건축과 장소의 관계
- 현대사회의 모호성과 현대건축
- 건축과 자연의 끊을 수 없는 관계
- 재료와 건축
3. [소통] 건축이 세상과 이야기 나누는 방법
- 표현과 재현
- 지붕, 도시의 노래
- 벽, 화음과 불협화음의 협주곡
- 기둥, 리듬을 위한 선
- 창, 질서와 변주
- 바닥면, 무반주 협주곡
- 출입구, 전주곡
- 계단과 경사로, 신비로운 춤
- 빛과 건축
- 소리, 공간 공명
4. [공간] 삶은 어떻게 건축이 되는가
- 문화와 공간 행태
- 에드워드 홀의 근접이론
- 프라이버시와 건축 공간
- 프라이버시와 영역 경계
- 가변 공간과 영역 공유
- 감각과 공간 경험
5. [기술과 권력] 건축을 진화하게 만드는 힘
- 과학기술의 발전과 건축의 진화
- 예술, 기술, 건축의 공존
- 권력 표현으로 시작되는 도시
- 도시 경관의 권력 구조, 그리고 기술의 진화
6. [무의식] 무의식이 만들어낸 건축의 꼴
- 건축가의 무의식
- 건축가의 그림자
- 르코르뷔지에와 그의 그림자
- 르코르뷔지에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롱샹 성당의 아니마
- 미스 반데어로에의 그림자와 빛
- 미스 반데어로에의 다섯 스케치
- 미스의 유리 건축과 시카고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그림자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생존의 힘과 페르소나
- 건축 형태와 한국인의 페르소나
- 한국 현대건축 속 집단 콤플렉스
7. [건축가]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건축가
- 건축가의 새로운 정체성
- 21세기 건축가의 역할
- 건축가에게 필요한 것
- 건축가의 공부법
- 건축가에게 필요한 7가지 정신
부록 [연표 - 건축/과학/예술의 상호 영향]
저자소개
책속에서
프랑스 시인 폴 발레리는 건축을 노래하는 건축, 말하는 건축, 침묵하는 건축으로 분류하였다. 노래하는 건축은 사용자가 그 건축을 접했을 때 노래처럼 감동을 줘서 마음을 움직인다는 의미이다. 말하는 건축은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건축가의 메시지가 건축에 담겨 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침묵하는 건축은 아무 감동을 주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건축은 침묵해야 한다. 말과 노래는 사용자의 몫이다. (…) 건축은 침묵하여 사용자가 노래도 부르고 시도 읊을 수 있도록 배경이 되어야 한다.
- '건축의 본질에 대하여' 중에서
건축은 사람을 위해 존재한다. 건축의 예술성을 전달하는 사진은 사람을 배제하지만 건축은 사람이 그 공간을 채웠을 때 비로소 완성된다. 하지만 근대건축에 이르러 사람이 건축 공간에서 소외되기 시작했다. 근대건축은 대중을 위한다는 건축 이념으로 시작되었지만 기계미와 생산성을 강조하고 추상적 표현에 치우쳐 오히려 사람을 공간에서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 '삶은 어떻게 건축이 되는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