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환경공학
· ISBN : 9788958811459
· 쪽수 : 267쪽
· 출판일 : 2009-11-10
목차
1장 한반도 생물다양성과 보전생물학 역할 1
들어가는 말 1
1. 생물다양성이란? 2
2.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3
3. 보전생물학이란 4
4. 맺음말 14
참고문헌 15
2장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지정 변천 : 식물 17
들어가는 말 17
1. 멸종위기 야생식물 지정 18
2. 특정야생식물 지정 18
3. 멸종위기야생식물과 보호야생식물 지정 20
4. 맺음말 24
참고문헌 25
3장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지정 변천 : 동물 27
들어가는 말 27
1. 포유류 지정현황 분석 28
2. 조류 지정현황 분석 30
3. 양서·파충류의 지정현황 분석 34
4. 어류 지정현황 분석 35
5. 곤충류 지정현황 분석 38
6. 무척추동물류 지정현황 분석 41
7. 맺음말 43
참고문헌 44
4장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을 통한 생물 증식·복원기술 개발 연구 현황 47
들어가는 말 47
1. 생물자원 관련 기술 위치 및 과제유형 49
2. 차세대사업을 통한 생물자원 증식·복원 연구지원 현황 53
3. 차세대사업을 통한 생물자원 증식·복원 연구 성과 현황 59
4. 차세대사업을 통한 증식·복원 대상종과 개발 내용 65
5. 증식·복원기술 개발과 관련한 문제와 향후 방향 69
참고문헌 72
부록 1. 2008년도까지 차세대사업으로 지원된 생물자원 보전 및 복원관련 과제목록. 74
5장 멸종위기 식물 복원 사례 : 풍란 81
들어가는 말 81
1. 풍란 생물학적 특성 84
2. 풍란 복원 89
3. 복원 후 모니터링 96
4. 풍란 복원의 시사점과 과제 102
참고문헌 104
6장 멸종위기 동물 복원 사례 : 반달가슴곰 105
들어가는 말 105
1. 멸종위기 야생동물 반달가슴곰 종 복원 108
2. 단계별 세부 추진 내용과 성과, 문제점 해결 117
3. 복원을 위한 새로운 희망과 미래에 대한 기대 128
참고 문헌 128
부록 1. 반달가슴곰 복원 개체 도입부터 자연방사까지 진행 절차 130
부록 2. 지리산 방사 반달가슴곰 개체 현황 (2009. 9. 30 현재) 133
7장 멸종위기어류 복원 사례: 미호종개 135
들어가는 말 135
1. 미호종개 서식현황 및 미소서식처 특성 조사 136
2. 미호종개의 인공 증식기술 개발 139
3. 유전자원 분석 및 보전 155
4. 서식지 복원 및 방류어류 모니터링 164
참고문헌 166
8장 외국의 멸종위기종 복원프로그램 현황과 시사점 169
들어가는 말 169
1. 멸종위기종과 생물권보전지역 170
2. 국외 멸종위기종 증식 및 복원프로그램 172
3. 맺음말 183
참고문헌 187
9장 우리나라 서식지외보전기관 189
들어가는 말 189
1. 서식지외보전기관 기능과 한계 190
2. 서식지외보전기관 지정 191
3. 서식지외보전기관 성과 196
4. 서식지외보전기관 발전방향 200
참고문헌 202
부록 1. 서식지외보전기관 지정·관리지침 204
10장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 한반도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청띠제비나비와
남방제비나비의 지리적 분포 217
들어가는 말 217
1.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선정 219
2. 나비와 섭식식물 분포 220
3. 기상자료 221
4. 남방제비나비와 청띠제비나비의 지리적 분포 221
5. 나비의 지리적 분포와 기후변화 224
참고문헌 226
11장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 온난화로 사라질 북방계식물 100종 229
들어가는 말 229
1.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식물상 변화 232
2. 지구 온난화에 따른 식물종 변화 232
3. 지구 온난화로 사라질 식물들 235
4. 맺음말 243
참고문헌 244
12장 한국의 보전생물학 : 현황과 과제 247
들어가는 말 247
1. 생물다양성 논의의 시작 248
2. 멸종위기종 선정 기준 250
3. 멸종위기종 복원 253
4. 기후온난화 256
5. 앞으로의 과제 256
참고문헌 2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