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선거전략/대통령 만들기
· ISBN : 9788958870333
· 쪽수 : 225쪽
· 출판일 : 2024-06-26
책 소개
목차
2024년 총선을 통해 우리는 어떤 인식과 실천을 모아야 할 것인가?
안성용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이사
01 진보정당 원내 진입 실패를 어떻게 볼 것인가?
이관후 건국대학교 교수
02 시시포스의 바위?: 진보정당 운동의 고난과 미래 에 대한 질문
안병진 경희대학교 교수
03 총선 평가와 진보정당의 진로
이도흠 한양대학교 교수
04 22대 총선 평가와 진보정치의 과제
정성희 소통과혁신연구소 소장
05 총선 이후 진보정당의 진로
장혜경 노동당 정책위원회 의장
06 진보는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가?
김찬휘 녹색당 대표 203
자료 / 김종민 정의당 전 정책위의장
저자소개
책속에서
민주당은 우리 사회의 문제를 보다 근본적이고 실질적으로 해결하고자 외치는 진보정당들에 대해, 필요할 때만 자신들의 테두리 안에서 활용할 뿐 진보정당의 성장을 가로막아왔다. 이들은 자기들이 약할 때마다 ‘수혈론’을 내세워 재야나 시민사회단체 등에서 사람을 충원하는 방식을 택해왔고, 선거 때마다 항상 자신에 대한 ‘비판적 지지론’을 설파해왔다.
서문_“2024년 총선을 통해 우리는 어떤 인식과 실천을 모아야 할 것인가?” 중에서
그런데 어떻게 진보정당은 20년 가까이 원내 정당을 유지할 수 있었을까? 여러 연구와 조사 결과들의 내용이 거짓이 아니라면, 이것은 한국의 민주진보 진영에서 일부 유권자들이 ‘원내에 진보정당도 하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 외에 설명이 되지 않는다. 조금 매정하게 말하자면, 정의당은 원내 진입에 필요한 독자적 지지 기반을 가졌던 적이 거의 없었다.
01_“진보정당 원내 진입 실패를 어떻게 볼 것인가?” 중에서
이번 위성정당 협상 국면에서 그간 민주당이 애초에 유의미한 타협을 할 의사가 별로 없었는데, 그리고 오늘날 민주당은 중도 자유주의자들의 기준으로도 이재명 사당에 불과한데 진보가 가치 어젠다의 연합 없이 그저 의석을 위해 적극 연합을 해야 하는가? 왜 진보는 자유주의 기준으로도 한참 못 미친 이재명이 허락한 수준의 의회 진출을 합리화해야 하는가?
02_“시시포스의 바위?: 진보정당 운동의 고난과 미래에 대한 질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