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59061969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11-09-01
책 소개
목차
서문
프롤로그 - 자연, 생태사상, 건축
1장 그리스 생태사상, 땅에서 자연을 찾다
1. 첫 번째 자연 - 통합적 자연관과 가이아
2. 첫 번째 자연의 건물, 그리스 신전
3. 첫 번째 위기 - 플라톤의 이분법
2장. 중세 가톨릭과 빛으로서의 자연
1. 두 번째 위기 - 자연을 개발 대상으로 삼은 로마 문명
2. 지속되는 두 번째 위기 - 기독교의 자연관
3. 두 번째 자연 - 빛으로서의 자연
3장. 18세기 낭만주의와 감성으로서 자연
1. 세 번째 위기 - 종교개혁과 과학혁명
2. 자연과학의 발전
3. 세 번째 자연 - 감성으로서 자연
4. 낭만주의 자연관을 담아낸 폐허운동
4장. 자연철학과 성스러운 작동 원리로서 자연
1. 네 번째 위기 - 17세기 기계론과 뉴턴
2. 네 번째 자연 - 작동원리로서의 자연
3. 새로운 기독교의 등장
5장. 19세기 기독교 사회주의와 이데올로기로서 자연
1. 다섯 번째 위기 - 산업혁명
2. 다윈과 진화론
3. 다섯 번째 자연 - 이데올로기로서의 자연
인터루드 - 생태학의 탄생
6장. 19세기 농촌 미학과 농촌으로서 자연
1. 여섯 번째 위기 - 근대적 대도시의 출현
2. 여섯 번째 자연 - 농촌으로서의 자연
3. 농촌예술운동
7장. 일곱 번째 자연 - 20세기 환경운동과 유기체로서 자연
1. 일곱 번째 위기 - 환경 위기
2. 위기의 진단과 경고
3. 일곱 번째 자연 - 유기체로서의 자연
4. 심층 생태학
5. 현대 생태건축
에필로그 - 방황하는 인류의 정착 문제
생태사상의 역사적 흐름
그림 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플라톤의 기여는 양면적이다. 자연의 정신적 가치를 정의해 신성을 부여한 것은 인간이 자연을 어려워하며 자연에 대해 경외감을 갖게 만들었다. 혼란스러운 현실세계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모범으로 추구해야 할 절대상태가 있다는 사실을 제시함으로써 정신활동의 분발을 촉진했다. 반면 부정적 영향은 너무 컸다. 정신적 가치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이것과 대비되는 열등한 짝인 물질이 전제되어야 했다. ……이런 이분법은 예기치 못한 결과를 가져왔는데 물질이 열등한 것이기 때문에 마음대로 해도 된다는 인식을 사람들에게 심어준 것이었다. 이는 곧 자연을 사람들 마음대로 개발하고 가져다 써도 좋다고 허용해주는 것이 되었다. 자연을 자원으로서의 물질로 보는 시각의 시작이었다.
계산적이고 실용적인 이런 일련의 과정은 분명 그리스 시대의 기술 개념인 테크네에는 없던 전혀 새로운 것이었다. 로마 사람들은 이를 로마 문명만의 정체성으로 자랑스러워했으며 로마 시민의 역량으로 이룩한 새로운 발명으로 보았다. 시민 스스로 주도해서 진행시킨 이런 일련의 물질적 업적을 ‘civic’ 혹은 ‘civil’이라 부른다. civic은 ‘도시민의’라는 뜻이며 civil은 ‘문명화된’이라는 뜻이다. 물질주의와 기능주의에 기초한 서양식 시민정신과 문명의 탄생이었다. …… 자연은 더 이상 성스러운 작동 원리를 갖는 정신체계가 아니었다. 인간의 목적을 위해 극복되어야 할 대립적 존재이거나 이용해야 할 물질 수단으로 변질되었다. 인간의 이익을 가로막는 방해물일 때에는 파괴해서 돌파해야 했고 풍요를 돕는 물질일 때에는 적극적으로 개발해서 취해야 했다. 자연개발이라는 서양문명의 오랜 역사는 이처럼 civil engineering이라는 개념에 의해 그 첫 서막이 올랐다.
신플라톤주의에서 본 자연은 인간이 스스로의 행복과 발전을 이룰 목적으로 그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즐길 수 있는 대상이 된다. …… 자연은 인간의 감각작용에 의해 예술적 형식으로 드러날 때 비로소 존재 의미를 획득한다는 것이다. 자연의 형성 과정은 무한대로 다양한데 예술은 이것을 유한한 결과물로 정리해서 인공적 상징물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 이런 점에서 예술작품은 인간의 손으로 만들어낸 또 하나의 자연이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