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트렌드 지식 사전 3

트렌드 지식 사전 3

(최신 키워드로 보는 시사 상식)

김환표 (엮은이)
인물과사상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3개 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트렌드 지식 사전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트렌드 지식 사전 3 (최신 키워드로 보는 시사 상식)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59063314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15-04-30

책 소개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디지털.경제.사회.세계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키워드 200개를 선별해 소개했다.

목차

머리말.5

1.Culture Section
그래픽노블.13 다운에이징.15 드라마셀러.17 디스.20 디스 신드롬.22 로열 와이프.24 레테크.26 먹송.28 몸캠 피싱.30 무비컬.32 병맛.33 뽀샵.37 스낵 컬처.40 스마툰.42 스몰 럭셔리.44 스팀펑크.46 어뷰징.49 정크아트.51 지름신.53 파라소셜.55 팝저씨.57 퍼블리시티권.59 푸드 포르노.61 캘리그래피.63 해피 슬래핑.65

2.Media Section
내러티브 저널리즘.69 뉴스 어뷰징.72 다채널 편성.75 린 백.76 마을 미디어.78 메이크오버 프로그램.80 방송 프로그램 포맷 시장.82 버즈피드.84 본방사수.87 VOD 광고.89 3주 홀드백.91 세컨드 스크린.92 소셜 저널리즘.95 SNS 인생 도둑.97 우상극.99 웹드라마.101 인터랙티브 저널리즘.104 주선율 드라마.107 코드제로족.109 코드커팅.111 크라우드소싱 저널리즘.113 트위터 저널리즘.115 폭식 시청.117 허핑턴포스트.119 휘발성 SNS.121

3.Digital Section
관종.125 구글링.128 다운로더블 테러.130 Don’t be evil.132 디지털 용병.134 라이프 로그.135 바이오 해커.137 사이버 불링.139 사이버 액티비즘.142 소셜 리딩.144 소셜 센서.147 스마트폰 노안.149 FTAD.150 웨트웨어.152 웹 캠페인.154 인터넷 검색 만능주의.155 자기정보 결정권.157 커넥티즌.160 트위터롤로지.162 패스워드 증후군.164 포크소노미.166 플픽.168 해시태그.170 해시태그 행동주의.173 해커톤.175

4.Technology Section
다크넷.179 라이크 이코노미.181 라이파이.184 라이프스트림.186 만리장성 방화벽.188 만물인터넷.190 메모리 해킹.192 봇 프로그램.193 BBI.195 사물인터넷.196 사물인터넷 논란.199 사회공학적 해킹.201 소셜 그래프.203 스마트 그리드.204 스마트 인터랙션.206 스마트 홈.207 스큐어모프.209 스테가노그래피.211 아이폰 탈옥.214 MWC.216 OTT.218 자기측정.220 저커버그의 법칙.222 테크노스트레스 증후군.224 패킷 감청.226

5.Economy Section
구글러.231 그라운드스웰.233 금깡.235 다크 풀.236 리버스 로테이션.238 리베이트.239 린 인.241 무역이득공유제.243 번아웃 쇼핑.245 브랜드 브로커.246 블랙 기업.248 빅 배스.250 살찐 고양이.252 아이폰 인문학.254 열정 페이.256 요즈마 펀드.257 유리절벽.259 이노베이터의 딜레마.261 컬러 테라피.264 크림 스키밍.266 T커머스.268 피케티 패닉.270 핀테크.273 핀테크 논쟁.276 후계자 리스크.279

6.Marketing Section
감성 마케팅.283 고의적 진부화.285 공포 마케팅.287 기부 마케팅.289 네이티브 광고.291 네이티브 광고 논쟁.293 뉴로 마케팅.296 덕후북.299 데카르트 마케팅.301 레트로 마케팅.303 리부트.305 리타깃팅 광고.307 비콘.308 쇼퍼 마케팅.310 HMR.312 에잇 포켓.313 역쇼루밍.314 O2O 마케팅.316 옴니채널.318 자기 보상 소비.321 컴플레인 마케팅.323 콘텐츠 마케팅.326 패키징.329 펫 네임.331 한정판 마케팅.333

7.Society Section
기아바이.337 꾸밈비.339 노블레스 말라드.341 덕밍아웃.343 모델테이너.345 미포머족.347 바이슈머.349 셔틀.351 셜로키언.353 스마트 쇼퍼.355 신 스틸러.357 아이 여성.359 아트테이너.361 애교 예단.364 HIV 낙인.365 에코 세대.367 워터쿨러 효과.369 코피스족.372 킨포크족.374 타이거 맘.375 피멘.378 할빠.할마.381 핫딜 노마드족.383 혼밥족.385 홈퍼니.387

8.Life Section
게이트웨이 드러그.391 공개 선언 효과.394 기본 소득.396 놀 권리.399 뒷담화.401 롤링 주빌리.403 밀당.405 베이비 박스.407 빛 공해.409 VIP 신드롬.412 빵과 장미.414 살처분 홀로코스트.415 색깔띠 속설.418 생존자 죄책감.420 생태 발자국.422 썸.424 소셜 믹스.427 소셜 픽션.429 스몰 토크.432 애니멀 호딩.434 에코웨딩.436 예능화 사회.437 케미.439 현피.441 호모헌드레드.444

주.446
찾아보기.471

저자소개

김환표 (엮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신문방송학을 공부했다. 커뮤니케이션 행위와 대중문화, IT문화에 관심이 많은 저술가다. 저서로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다룬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끼친 IT 인물 15명을 다룬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IT 거인들』, 최고경영자의 삶과 철학과 비전을 살펴본 『부와 혁신의 설계자들』 등이 있다. 편저로 『트렌드 지식사전』(전6권), 공저로 『사람은 꽃보다 아름다운가』, 『미래를 파는 디지털 상인들』 등이 있다. 포털사이트 『다음』의 ‘다음백과’에 ‘글로벌 기업 스토리’라는 제목으로 구글, 페이스북, 유튜브 등 50여 개의 기업에 대한 글을 연재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드라마셀러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책을 드라마에 넣기 위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출판사가 비용을 대고 간접광고를 의뢰하는 식이다. 드라마 제작사가 간접광고 형식으로 수억 원대의 제작 지원금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2014년 8월 SBS에서 방영된 수목 미니시리즈 <괜찮아, 사랑이야>의 제작사가 몇몇 출판사에 넣은 제안서는, 제작 지원금 5억 원에 (해당 책이나 출판사 관련) 에피소드 5회, 간접광고 전全회, 주·조연의 직업으로 설정, 메인 배경 사용, 제작 지원 표기, 보도자료와 홈페이지를 통한 홍보 등을 약속하기도 했다. 이 제작사는 출판사에“출간할 책의 표지를 먼저 주면 그 표지를 드라마에 노출한 후, 종영 뒤 출간을 하게 되면 홍보가 조금 더 극대화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이미 정해진 큰 틀의 주제는 있으나 출판 예정인 책의 스토리대로 변경은 가능”하다며 책 홍보를 위해 드라마 내용까지 바꿀 수 있다고 했다. 드라마셀러에 대한 출판계의 반응은 엇갈린다. 드라마를 통해 새로운 독자층이 생기고, 다른 책에 대한 관심으로도 이어져 책 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는 반면, 출판 시장이 드라마에 종속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드라마셀러」


병맛 콘텐츠를 10∼20대가 쉽게 받아들이는 것도 병맛 대중화의 한 이유다. 정석현은 “병맛 코드에는 일단 권위가 없다. 그들도 우리와 다르지 않고, 오히려 못할 수도 있다는 일종의 안도감이 즐기는 마음에 자리잡는다”며 “완벽하지 않은 모양새로 누구나 참여해 만들 수 있는 요소가 젊은이들과 잘 맞는 것 같다. 기존 체제의 관념을 아예 허무는 예측불가의 특성도 장점”이라고 했다. 잉여족의 증가에 따른 잉여 문화의 확산과도 관련이 깊다는 분석도 있다. 이택광은 병맛은 “한마디로 우성학적으로 밀려난 지질한 사람들이 즐기는 자기 비하와 B급 정서가 조합된 코드”라고 정의하는데, 그래서 병맛을 “잉여 문화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보는 시각도 있다. 온라인 게시판에서 말꼬리를 잡는 ‘댓글 놀이’로 시간을 보내고, 1차원적 개그로 가득 찬 웹툰을 보는 이른바 잉여족들의 문화가 병맛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병맛」


김지호는 “사실 관종이라는 개념이 SNS를 통해 새롭게 생겨난 건 아니다. 검증 못하는 배경이나 사실 등에 대한 과장을 일삼는 이들은 원래 있었는데, 다만 SNS가 나오면서 사회적 파급력이 더 커진 것이다”라며 이렇게 말한다. “관종의 가장 큰 특징은 반응에 집착한다는 점이다. 심하면 망상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SNS뿐 아니라 포털에도 아무런 의미가 없는 ‘꾸준글’을 게재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데, 그들은 집착 망상이 있다기보다는 그저 반응을 원하는 것이라고 봐야 한다. 요즘 시대가 ‘소통 시대’ 혹은 ‘열린 시대’라고들 말하지만 보통 관종은 소통의 범람 속에서 더 고독감을 느끼는 편이다.” 온라인상에 넘쳐흐르는 있는 명예훼손과 모욕 등의 악성 글과 허위 사실 유포도 관종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해석도 있다. 김효정은 “정보를 조작해 관심을 받거나 ‘어그로’를 끌어 주목받는 ‘관심 종자’들의 행위는 결국 특정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생하는 것”이라면서 이런 관심 종자와 관심 글은 집단 양극화 현상을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행위라고 말한다. 「관종」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