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인
· ISBN : 9788959064861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7-1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5
제1장 유럽 평화의 조율사 :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외교의 개척자 ․ 16 | 철저한 보수주의자 ․ 19 | 세력균형을 금과옥조로 여기다 ․ 20 | 빈 회의의 전전후 조율사 ․ 27 | 나폴레옹의 탈출과 프랑스에 대한 징계 ․ 36 | 신성동맹조약과 4국동맹조약 ․ 38 | 유럽의 자유주의․민족주의 운동 ․ 42 | 프랑스 2월혁명으로 퇴진하다 ․ 48 | 태생적 한계 ․ 49
제2장 전략적 협상의 대가 : 로버트 스튜어트 캐슬레이
조용하고 냉정한 성격 ․ 54 | 프랑스는 1792년 국경으로 ․ 57 | 집단방위체제의 선구 ․ 61 | 빈 회의에서 활약하다 ․ 63 | 현실주의자의 전형 ․ 69 | 불간섭과 간섭 사이에서 ․ 71 | 탁월한 외교관, 그리고 노예제도 찬성론자 ․ 74
제3장 현란한 동맹외교의 상징 : 오토 폰 비스마르크
교육열이 넘친 어머니 ․ 78 | 독일연방 의장국 오스트리아에 맞서다 ․ 82 | 러시아와 프랑스에서 유럽을 관찰하다 ․ 86 | 철혈 재상이 되다 ․ 88 | 독일통일의 시작을 알리다 ․ 90 | 오스트리아에 승리하고 북부 독일연방을 완성하다 ․ 93 | 프랑스를 물리치고 독일제국을 건설하다 ․ 97 | 프랑스를 고립시키다 ․ 101 | 베를린 회의를 주재하다 ․ 103 | 오스트리아와 동맹해서 러시아를 견제하다 ․ 105 | 삼제협정으로 러시아와 화해하다 ․ 107 | 이탈리아를 끌어들여 3국동맹을 형성하다 ․ 108 | 러시아와 재보장 조약을 체결하다 ․ 109 | 철저한 보수주의자․독일주의자․현실주의자 ․ 111
제4장 동양의 비스마르크 : 이홍장
재주가 크고 마음이 세심하다 ․ 114 | 뛰어난 협상 능력 ․ 117 | 농민 반란을 잠재우다 ․ 119 | 이이제이의 외교 ․ 121 | 이토 히로부미와의 담판 ․ 125 | 청일전쟁과 시모노세키조약 ․ 127 | 청나라와 러시아가 밀약하다 ․ 131 | 비스마르크를 만나다 ․ 133 | 영토를 나누어주다 ․ 135 | 기울어진 국운, 비운의 재상 ․ 137 | 애국자인가, 매국노인가? ․ 141
제5장 국제연맹의 창업자 : 우드로 윌슨
현실감을 갖춘 ‘학자 대통령’ ․ 146 | 도덕주의와 현실주의 사이에서 ․ 151 | 멕시코 개입 실패 ․ 156 | 제1차 세계대전 참전과 국제연맹 구상 ․ 159 | 국제연맹을 창설하다 ․ 167 | 국제연맹 가입 실패 ․ 173 | 시대를 앞질러간 생각 ․ 177
제6장 제2차 세계대전 승전의 총지휘자 : 윈스턴 처칠
낙제생에서 ‘위대한 영국인’까지 ․ 180 | 아일랜드 독립 협상에서 보인 발군의 조정력 ․ 186 | 무기대여법을 통과시키다 ․ 188 | 대서양헌장을 공동선언하다 ․ 192 | 소련과의 용의주도한 협력 ․ 195 | 영국․미국․프랑스 공조 조율 ․ 201 | 한국의 독립에는 무관심했다 ․ 206 | 인내와 설득의 결과물, 노르망디 상륙작전 ․ 208 | 드골을 지원하다 ․ 211 | 이상보다는 현실을 ․ 217 | 존경받는 보수주의자 ․ 221
제7장 현대의 제갈량 : 저우언라이
행동하는 청년 ․ 224 | 중국 혁명의 주역 ․ 227 | 광풍을 중화하는 역할 ․ 230 | 제2차 국공합작 성사 ․ 234 | 스탈린과 우호조약을 체결하다 ․ 237 | 한국전쟁에 참전하다 ․ 239 | 제네바 정치회담과 중미 비밀채널 ․ 242 | 반둥회의로 제3세계의 지도자로 부상하다 ․ 246 | 자주성 견지하며 미국과의 관계 개선하다 ․ 248 | ‘내 자리는 덩샤오핑에게 물려주세요’ ․ 255
제8장 창의적인 국제분쟁 해결사 : 다그 얄마르 앙네 칼 함마르셸드
최고의 유엔사무총장 ․ 260 | “사무총장은 독립기관이다” ․ 265 | 유엔평화유지군 창설과 수에즈 위기 해결 ․ 268 | 진공 이론 ․ 273 | 비행기 추락으로 사망하다 ․ 276 | 유엔사무총장의 롤모델 ․ 280
제9장 현대의 메테르니히 : 헨리 키신저
나치를 피해 미국으로 ․ 286 | 닉슨을 비판하다가 그의 참모가 되다 ․ 289 | ‘다극안정론’으로 중국에 접근하다 ․ 292 | 중국 비밀 방문과 미중정상회담 합의 ․ 293 | 소련과 전략무기제한협정을 체결하다 ․ 298 | 방글라데시의 대량 학살을 묵인하다 ․ 300 | 불완전한 평화협정 ․ 301 | 칠레의 아옌데 정권을 전복하다 ․ 304 | 키프로스의 쿠데타를 방관하다 ․ 306 | 동티모르의 학살을 묵인하다 ․ 308 | 외교 영웅인가, 악의 전령인가? ․ 309
제10장 독일통일의 설계사 : 한스디트리히 겐셔
동독 출신으로 서독 외교장관 되다 ․ 314 | 헬싱키 협약의 주역 ․ 318 | ‘중거리핵전력조약’을 중재하다 ․ 319 | 통일에 대한 선지적 통찰 ․ 321 | 동독인의 자유를 위한 담판 ․ 322 | 겐셔의 투칭 구상 ․ 326 | 동․서독 중심의 ‘2+4 회담’ 성사 ․ 330 | 소련을 설득하다 ․ 332 | 독일과 폴란드의 국경 문제 양보 ․ 338 | 셰바르드나제․베이커와의 신뢰 관계 ․ 340 | 메르켈을 작아지게 하다 ․ 342
참고문헌 ․ 344
찾아보기 ․ 348
저자소개
책속에서
메테르니히와 영국의 외교장관 로버트 스튜어트 캐슬레이가 주도하고 러시아의 외교장관 카를 바실리예비치 네셀로데(Karl Vasilyevich Nesselrode)와 프로이센의 총리 카를 아우구스트 폰 하르덴베르크(Karl August von Hardenberg)가 합세해 1814년 3월 9일 쇼몽(Chaumont)조약을 체결했다. 그 핵심 내용은 전쟁 후에도 프랑스의 침략을 공동으로 막는다는 것이었다. 프랑스가 침략하는 경우 연합국이 공동으로 침략당한 나라를 돕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집단안전보장(collective security system)을 최초로 명문화해 유명한 조약이 되었다. 또, “유럽의 평화 유지는 정당한 세력균형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고 규정해 세력균형론을 최초로 분명하게 언급한 조약이기도 하다.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유럽 평화의 조율사」
9월 30일 총리로서 첫 의회연설에 나선 비스마르크는 프로이센의 국력 강화를 강조했다. “(빈 회의 결과로 나온) 빈 의정서에 따른 프로이센의 경계선은 건전한 정치 생활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시대의 중요한 문제들은 1848년에서 1849년의 큰 실수와 같이 연설 또는 다수결에 의한 것이 아니라 철(鐵)과 혈(血)로서만 결정될 것입니다”라고 강조했다. 프랑스의 1848년 2월혁명 이후 확산된 유럽의 자유주의 물결을 경계하면서 군사적 무장을 역설한 것이다. 철은 무기, 혈은 병력을 말하는 것이었다. 오늘까지도 전해지는 ‘철혈 재상’이라는 그의 별명은 여기서 유래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 현란한 동맹외교의 상징」
이홍장은 주변국과 적극적인 외교를 통해 청나라의 이익을 실현하려 했다. 1882년 조선이 미국?영국과 통상조약을 맺도록 적극 중재해 성사시켰다. 이홍장은 먼저 미국과 통상조약을 거중(居中) 조정했다. 이를 본 영국의 요청으로 영국과의 통상조약도 조정해 체결되도록 했다. 이렇게 이홍장이 조선-서양 국가 사이의 통상조약에 적극적이었던 것은 동아시아의 세력균형을 위한 것이었다. 당시 조선에 대해서는 일본과 러시아가 적극성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일본은 1876년 강화도조약을 맺으면서 본격적으로 조선에 진출하고 있었다. 1879년에는 류큐(琉球) 왕국을 점령해 오키나와현(沖繩縣)으로 바꿔 일본 지방행정체계에 편입시켰다. 이홍장은 미국?영국이 조선과 통상을 하도록 함으로써 조선에 대한 일본과 러시아의 우월한 지위를 낮추려 했다. 적으로 또 다른 적을 견제하는 이이제이(以夷制夷)였다. 「이홍장: 동양의 비스마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