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59330935
· 쪽수 : 649쪽
· 출판일 : 2007-10-02
목차
책을 펴내며
제1장 역사란 무엇인가
1.역사의 어원에서 드러나는 역사의 의미
2.역사의 주체는 인간이며, 역사란 인간행동의 과학이다
3.역사란 시간의 증인이다
4.역사란 객관성과 주관성의 종합적 판단이다
5.역사란 진리의 빛이자 생활의 안내자이며 인류의 스승이다
6.역사란 이상과 현실, 물질과 정신의 종합이다
7.역사의 원동력은 민중이다
8.역사란 고난 속에서 미래의 희망을 잉태하는 것이다
9.역사란 자유와 평등의 확대과정이다
참고문헌
제2장 개항 이후 외세의 침략과정의 불평등조약
제1절 세계정세의 흐름과 조선의 개항
1.서구의 과학혁명과 산업혁명
2.조선의 개항의 역사적 특수성
제2절 조선의 개항과 불평등조약
1.강화도조약
2.조미수호통상조약
3.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4.조영수호통상조약
5.조불수호통상조약
6.개항과 불평등조약 체결의 역사적 의미
참고문헌
제3장 개화기 근대민족국가수립운동
제1절 위로부터의 근대화운동
1.갑신정변과 갑오개혁
2.독립협회
3.애국계몽운동
참고문헌
제2절 아래로부터의 근대화운동
1.동학농민전쟁
2.의병전쟁
참고문헌
제4장 일제 식민통치체제와 그 전개과정
제1절 일제 식민통치의 특수성
제2절 일제 식민통치의 전개과정
1.무단통치시대(1910-1919)
2.문화통치시대(1920-1931)
3.전시체제기(1931-1945)
참고문헌
제5장 일제 식민통치시대 민족해방운동
제1절 국내 민족해방운동
1.3.1운동
2.조선공산당의 역사
3.대중운동
4.조선건국동맹
참고문헌
제2절 국외 민족해방운동
1.러시아지역 내 시베리아와 연해주에서의 민족해방운동
2.중국 관내지역에서의 민족해방운동
3.중국 화북지역에서의 민족해방운동
4.중국 동북지역에서의 민족해방운동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