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59337309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목차
1장_ 민주주의 및 복지국가 연구를 위한 제도주의적 제언
1. 자본주의와 다양한 민주주의
2. 민주주의와 재분배의 정치제도
3. 민주주의, 교육과 중간계급
4. 한국의 정치가, 정치제도, 그리고 복지국가
·1부·
2장_ 민주주의와 재분배
1. 복지국가는 왜 서로 다른가?: 전통이론과 수정주의
2. 경험조사결과: 어떤 정치가 재분배에 적극적인가?
3. 민주주의, 복지국가, 그리고 중간계급
4. 결론: 향후 과제
3장_ 정치제도와 복지국가
1. 세계화 및 탈산업화 시대의 서구 복지체제
2. 서구 복지국가 이론
3. 사회정책의 정치제도적 기반
4. 한국의 선택: 비례대표제는 복지국가를 강하게 한다
4장_ 재분배의 정치경제
1. 복지국가와 소득불평등
2. 재분배 정치경제의 이론
3. 자료와 통계추정모델
4. 결론과 과제
5장_ 선진민주주의의 빈곤
1. 빈곤은 왜 중요한가?
2. 빈곤의 정의와 국제비교
3. 빈곤의 선행연구
4. 경험분석: 모형과 추정
5. 결론
·2부·
6장_ 인적자원과 민주주의
1. 인적자원은 왜 중요한가?
2. 공교육과 사교육의 정치경제
3. 소득과 교육
4. 어떤 정치제도가 교육복지에 우호적인가?
5. 결론: 교육의 정치적 선택
7장_ 교육은 민주주의의 종속변수: 당파성, 정치제도, 그리고 인적 자본
1. 문제제기
2. 대학교육의 사적 지출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3. 경험분석
4. 결론: 고등교육, 권력자원과 정치제도의 상호촉진
8장 중간계급은 사라지는가?
1. 중간계급은 감소하는가?
2. 중산층은 누구인가?
3. 정치제도와 중간계급의 규모
4. 경험자료의 분석
5. 결론: 제도효과의 포착
·3부·
9장_ 한국민주주의와 복지국가
1. 민주주의의 정치경제
2. 정치적 대표성의 위기
3. 중위투표자와 복지국가?
4. 어느 선거제도가 재분배에 친화적인가?
5. 결론: 제도개혁의 역사적 의미
10장_ 보수정부의 복지국가와 한국민주주의의 도전
1. 한국복지국가의 현실
2. 소득불평등과 한국복지국가 역할
3. 복지국가의 수요
4. 왜 보수 후보가 복지공약을 제시했는가?
5. 박근혜 정부의 역사적 성격과 과제: 복지국가는 가장 탁월한 사회적 탕평이다
6. 어떻게 할 것인가?
7. 정치개혁: 합의적 민주주의의 강화
8.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