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59339105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15-07-31
책 소개
목차
제1부 북한의 시장화
제1장 북한은 왜 “붕괴”도 “개혁개방”도 하지 않았을까?*박형중
Ⅰ. 서론
Ⅱ. 정치: 개인독재와 일당구조
Ⅲ. 경제: 독재의 경제논리와 지대 국가
Ⅳ. 사회: 정치변동 주체의 부재 및 정권의 대응 능력 강화
Ⅴ. 결론
제2장 북한 시장에 대한 정치학적 분석*박형중
Ⅰ. 서론
Ⅱ. 시장 연구에서 정치학적 분석이란 무엇인가?
Ⅲ. 북한 시장 연구에서 경제학적 분석
Ⅳ. 북한 시장 연구에서 정치학적 분석의 주요 명제
Ⅴ. 결론
제2부 정치사회 균열현상
제3장 독재정치 이론으로 본 김정은체제의 권력구조: 조선노동당 ‘파워엘리트’ 실태와 관계망을 중심으로*박영자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과 방법론
Ⅲ. 파워엘리트 실태와 구조: 기관별 당엘리트
Ⅳ. 김정은과 파워엘리트 관계망 구조: 계열과 특성
Ⅴ. 맺는 말: 요약과 정책적 제언
제4장 김정은체제의 통치행위와 지배연합*박영자
Ⅰ. 연구 문제와 목적
Ⅱ. 선행 연구 분석과 이론적 배경
Ⅲ. 김정은의 통치행위
Ⅳ. 지배연합
Ⅴ. 결론
제5장 수령독재하에서 권력과 이권을 둘러싼 갈등 동학 그리고 장성택 숙청*박형중·최대석·김학성·박영자·장인숙
Ⅰ. 서론
Ⅱ. 기본 모델
Ⅲ. 권력 세습의 권력 동학과 장성택 숙청
Ⅳ. 결론
제3부 탈북민을 통해 본 정치사회
제6장 체제 변동기 북한의 계층·세대·지역 균열: 행위자 모형에 기반한 상황과 구조*박영자
Ⅰ. 서론
Ⅱ. 연구 배경과 방법론
Ⅲ. 계층 균열
Ⅳ. 세대와 지역 균열
Ⅴ. 결론: 비교사회주의적 함의
제7장 김정은 시대 정치사회 변화와 북한주민 의식: 탈북민 의식조사를 중심으로*장인숙·최대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탈북민 의식 조사
Ⅳ. 결론
제4부 정책 대안
제8장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상호 이해적 접근: 이론적 검토와 실천방향 모색*김학성·장인숙
Ⅰ. 문제제기
Ⅱ. 포용과 원칙의 균형: 실천 가능성과 한계
Ⅲ. 신뢰 개념과 신뢰 형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
Ⅳ. 정책 실천의 기본 방향
Ⅴ. 맺음말
제9장 동독의 사회구조 변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제: 북한 사회구조의 이해를 위한 시사점 모색*김학성
Ⅰ. 문제제기
Ⅱ. 서독의 사회주의 연구 방법: 루츠와 바이메를 중심으로
Ⅲ. 동독 사회구조의 변화와 특징
Ⅳ. 시사점
제10장 미·중관계의 변화 전망과 북한의 ‘자주적 생존 전략’의 미래*김학성
Ⅰ. 문제제기
Ⅱ. 탈냉전기 미·중관계의 발전 과정과 향후 변화 전망
Ⅲ. 미·중의 한반도정책 전망
Ⅳ. 북한의 자주적 생존 전략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