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통일의 길 위에 선 평화

통일의 길 위에 선 평화

(한반도 문제의 구조적 이해)

김학성, 이승현, 김영호, 고봉준, 고유환, 이우영, 양문수, 설인효, 김재한, 고상두 (지은이), 김학성, 고상두 (엮은이)
박영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000원 -0% 0원
160원
15,8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000원 -10% 800원 13,600원 >

책 이미지

통일의 길 위에 선 평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통일의 길 위에 선 평화 (한반도 문제의 구조적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91130308913
· 쪽수 : 249쪽
· 출판일 : 2019-12-30

목차

서장 한반도 문제의 구조적 이해 1
/김학성(충남대학교)

1 통일의 당면과제로서 평화 1
2 어떠한 평화? 2
3 한반도 문제의 구조 3
4 두 가지 사례: 악순환과 선순환 5
5 구조적 이해와 비판적 판단 9

제2장 미,소 냉전과 한반도 분단질서의 생성 13
/이승현(국회입법조사처)

1 머리말 13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치의 동학 14
3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분할 점령 17
4 남북 분단고착화 과정과 한민족의 내부갈등 20
5 냉전의 한반도화: 6.25 한국전쟁과 정전체제 21
6 냉전질서의 확대.심화 23
7 탈냉전 이후에도 여전히 남은 냉전질서의 유산들 25
8 탈냉전 이후 분단 극복의 주도적 역할을 누가 어떻게 할 것인가? 27
9 분단질서, 현상유지와 현상변경: 우리에게 기회는 있는 것인가? 28
10 맺음말 31

제3장 미중경쟁과 동북아 안보질서의 재편 35
/김영호(국방대학교)

1 머리말 35
2 미중관계의 변화양상 36
3 미중경쟁 심화의 지역안보적 영향 52
4 향후 전망 및 고려사항 56

제4장 북미 비핵화 협상과 국제 핵질서의 위기 61
/고봉준(충남대학교)

1 머리말 61
2 비확산과 NPT체제 62
3 북미 비핵화 협상의 쟁점과 전망 74
4 맺음말 83

제5장 남북 정부당국 간 합의와 신뢰 89
/고유환(동국대학교)

1 머리말 89
2 냉전구조와 신뢰 구축 실패 90
3 남북, 북미 공존 모색과 좌절 94
4 남북합의와 북미합의의 연계 및 한반도 비핵평화 프로세스 97
5 신뢰 부족과 합의이행의 반복된 갈등 101
6 맺음말 104

제6장 남북 사회문화교류의 특징과 과제 109
/이우영(북한대학원대학교)

1 머리말: 남북관계 전환과 사회문화교류 109
2 남북관계 진전과 사회문화교류 110
3 기존 사회문화교류의 성찰 114
4 2018년 정상회담과 사회문화교류 118
5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사회문화교류의 방향 123
6 정상회담 이후 단계별 사회문화교류 방안 127
7 정상회담 이후 사회문화교류의 전망 130

제7장 남북 경제교류.협력의 경험과 과제 135
/양문수(북한대학원대학교)
1 머리말 135
2 남북경협의 전개 과정 136
3 남북경협에 대한 평가 142
4 남북경협의 전망과 과제 149

제8장 남북 군비통제와 군사적 신뢰 구축의 방법과 과제 159
/설인효(한국국방연구원)
1 머리말 159
2 군비통제의 이론 161
3 과거 사례 165
4 한반도의 경험 171
5 한반도 군비통제의 구조적 복합성 175
6 향후 전망 및 과제 181

제9장 남남갈등과 대북.통일정책 185
/김재한(한림대학교)
1 머리말 185
2 남남갈등의 스펙트럼 187
3 남남갈등의 이념화 및 진영화 195
4 남남갈등의 완화 방안 199

제10장 북한체제의 특징과 지속가능성 207
/고상두(연세대학교)

1 머리말 207
2 체제 지속성에 관한 개념적 논의 209
3 북한 김정은체제의 지속성 213
4 북한 사회에서 권력 엘리트의 균열 가능성 222
5 맺음말 224

종장 한반도 문제해결을 위한 과제와 실천 - 반성과 대안 229
/김학성(충남대학교)

1 반성: 인식갈등과 정책적 비일관성 229
2 대안: 핵심과제와 실천 방법 233
3 맺음말 246

저자소개

김학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와 한국정치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전국대학통일문제연구소협의회 상임대표이다. 편저로 『통일의 길 위에 선 평화: 한반도 문제의 구조적 이해』 (2019), 공저로 『독일 통합과 한국』 (2019)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한반도 문제의 해결방법에 관한 제도주의적 접근” (『한국과 국제정치』 32권 2호 [2016] 수록)이 있다.
펼치기
고유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동국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주요 저서 및 논문: 『로동신문을 통해 본 북한변화』(공저, 2006), 『북한 핵문제의 해법과 평화체제 구축』(2003), 『북한학 입문』(공저, 2001), 『북한정치의 이해』(공저, 2001),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구조적 위기와 김정일 정권의 진로」(1996)
펼치기
양문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도쿄대(東京大)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매일경제신문 기자, 문화일보 기자, LG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북한경제의 시장화』 등이 있고, 북한경제, 남북경협, 남북경제통합 등을 연구주제로 삼고 있다.
펼치기
김재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 정치행정학과 교수이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이다. 교육부 국가석학 및 미국 스탠포드대학 후버연구소 National Fellow로 선정된 바 있다. 1996년 DMZ 전문가 연구단체인 DMZ학술원을 창립하여 DMZ 연구에 기여하여 왔다. 통일부 지역통일교육센터장, 한국공공선택학회장, 한국지방정치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통일교육 공로로 국무총리표창 그리고 평화연구 업적으로 DMZ평화상을 수상했다 200편이 넘는 논문과 저서 가운데,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에 발표한 논문은 국내기관 소속 정치외교학 SSCI 논문 중 최다 인용 기록으로 일송논문상을 받았으며, 12종의 저서는 대한민국학술원 또는 문화체육관광부에 의해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로체스터대학에서 정치학박사를 취득했다.
펼치기
고봉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켄트주립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석사학위(공공정책 전공)를, 미국 노터데임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국제정치 전공)를 받았다. 제주평화연구원 연구위원을 지냈으며 한국평화학회에서 총무이사를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 『안전보장의 국제정치학』(공저, 2010), 『Developing a Region: Sketching a Path Towards Harmony』(공저, 2011), 『위기와 복합: 경제위기 이후 세계질서』(공저,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고봉준의 다른 책 >
이우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지식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을 거쳐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 남북한마음통합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남북한 문화정책비교』, 『북한문화 둘이면서 하나인 문화』(공저), 『북한도시주민의 사적영역연구』(공저) 등의 저서가 있고, 북한의 사회문화 변화, 남북한 사회문화 통합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고상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명예교수이다. 세계정치학회 연구분과위원장(RC42), 한국슬라브학회 및 한국정치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연세-SERI EU센터 소장을 하였다. 주 관심분야는 지역정치, 비교정치이며, 세부적으로는 유럽과 동북아의 교차 지역 비교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지역학의 이해와 연구방법』이 있으며,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Integration, Korea Observer, Asia-Europe Journal, International Peacekeeping, Pacific Focus, Issues & Studies 등에 논문을 출판하였다.
펼치기
이승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연세대학교 정치학 박사 North Korean Modern History (공저), 2018.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 (2018).
펼치기
김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방대학교 교수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정치학 박사 Domestic Constraints of South Korean Foreign Policy (공저) (2018). “Revisiting the Truman Administration’s Decision on Non-use of Nuclear Weapons during the Korean War.” (2019).
펼치기
김학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와 한국정치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전국대학통일문제연구소협의회 상임대표이다. 편저로 『통일의 길 위에 선 평화: 한반도 문제의 구조적 이해』 (2019), 공저로 『독일 통합과 한국』 (2019)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한반도 문제의 해결방법에 관한 제도주의적 접근” (『한국과 국제정치』 32권 2호 [2016] 수록)이 있다.
펼치기
고상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명예교수이다. 세계정치학회 연구분과위원장(RC42), 한국슬라브학회 및 한국정치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연세-SERI EU센터 소장을 하였다. 주 관심분야는 지역정치, 비교정치이며, 세부적으로는 유럽과 동북아의 교차 지역 비교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지역학의 이해와 연구방법』이 있으며,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Integration, Korea Observer, Asia-Europe Journal, International Peacekeeping, Pacific Focus, Issues & Studies 등에 논문을 출판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8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