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59339280
· 쪽수 : 431쪽
· 출판일 : 2015-10-30
책 소개
목차
제1부 울릉도 수토사의 제도와 역할
울진과 울릉도·독도의 역사적 상관성
1. 머리말
2. 울진과 울릉도·독도 역사적 상관성
3. 맺음말
조선후기 수토기록의 문헌사적 연구: 울릉도 수토 연구의 회고와 전망-
1. 머리말
2. 수토사연구의 주제 및 현황
3. 맺음말
수토제하에서 울릉도·독도로 건너간 사람들
1. 머리말
2. 조선후기 동해안으로 진출하는 영호남상선과 울릉도 항로 개방
3. 수토사제도와 도항자들에 대한 조치
4. 수토제도하 독도로 건너간 거문도·초도 사람들
5. 맺음말
수토정책의 국제법적 해석
1. 서론
2. 수토정책의 법적 개념
3. 현대 한국과 중국, 일본, 대만의 낙도보전 정책
4. 국제법상 제문제 검토
5. 결론
제2부 울릉도·독도와 울진의 수토사 기록
울진 대풍헌의 울릉도·독도 수토 자료와 그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 울릉도·독도 수토정책과 관련하여
1. 머리말
2. 울진 대풍헌의 자료
3. 울진 대풍헌 자료의 역사적 의미
4. 맺음말
고지도에 표현된 울진~울릉도의 묘사와 이규원의 검찰 경로
1. 들어가면서
2. 조선전도에서 울진·울릉도의 위치 묘사
3. 울진(평해)을 거점으로 한 검찰 경로
4. 맺음말
평해 월송포진성과 삼척포진성의 연혁과 구조
1. 머리말
2. 조선시대 수군 배치와 월송포·삼척포
3. 월송포·삼척포 수군 만호진 설치와 축성
4. 월송포·삼척포진성의 주요 구조
5. 맺음말
울진의 뱃길과 동해의 해류 및 바람
1. 서론
2. 동해 및 울진 지역의 해양환경
3. 동해안 및 울진지역의 역사상
4. 울진 해역과 연관된 항로
5. 결론
울진과 울릉도지역 마을신앙의 관계성 검토
1. 머리말
2. 조선시대 수토사의 신앙의례를 통해 본 울릉도의 민간신앙 전통
3. 울진의 마을신앙
4. 울릉도의 마을신앙
5. 울진과 울릉도의 마을신앙 비교
6. 맺음말
울진 수토문화와 관광자원화의 방향
1. 머리말
2. 조선시대 수토제도와 울릉도·독도
3. 울진지역 문화역사자원과의 연계가능성
4. 울진지역 수토문화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
5. 울진 수토문화 관광자원화의 기본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