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울진 대풍헌과 조선시대 울릉도.독도의 수토사

울진 대풍헌과 조선시대 울릉도.독도의 수토사

손승철, 윤명철, 유하영, 김수희, 김기혁, 심현용, 김호동, 송휘영, 김도현, 유재춘 (지은이),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엮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000원 -0% 0원
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울진 대풍헌과 조선시대 울릉도.독도의 수토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울진 대풍헌과 조선시대 울릉도.독도의 수토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59339280
· 쪽수 : 431쪽
· 출판일 : 2015-10-30

책 소개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독도연구총서 14권. 울릉도.독도에 대한 체계적인 홍보 및 교육을 위해 조선시대 수토사 출항유적지가 있는 울진 대풍헌을 부각시키고 울진지역의 역할을 재조명하며, 조선시대 울릉도.독도 수토사를 연구하여 울진의 역사적 위상을 높이고자 집필되었다.

목차

제1부 울릉도 수토사의 제도와 역할

울진과 울릉도·독도의 역사적 상관성
1. 머리말
2. 울진과 울릉도·독도 역사적 상관성
3. 맺음말

조선후기 수토기록의 문헌사적 연구: 울릉도 수토 연구의 회고와 전망-
1. 머리말
2. 수토사연구의 주제 및 현황
3. 맺음말

수토제하에서 울릉도·독도로 건너간 사람들
1. 머리말
2. 조선후기 동해안으로 진출하는 영호남상선과 울릉도 항로 개방
3. 수토사제도와 도항자들에 대한 조치
4. 수토제도하 독도로 건너간 거문도·초도 사람들
5. 맺음말

수토정책의 국제법적 해석
1. 서론
2. 수토정책의 법적 개념
3. 현대 한국과 중국, 일본, 대만의 낙도보전 정책
4. 국제법상 제문제 검토
5. 결론

제2부 울릉도·독도와 울진의 수토사 기록

울진 대풍헌의 울릉도·독도 수토 자료와 그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 울릉도·독도 수토정책과 관련하여
1. 머리말
2. 울진 대풍헌의 자료
3. 울진 대풍헌 자료의 역사적 의미
4. 맺음말

고지도에 표현된 울진~울릉도의 묘사와 이규원의 검찰 경로
1. 들어가면서
2. 조선전도에서 울진·울릉도의 위치 묘사
3. 울진(평해)을 거점으로 한 검찰 경로
4. 맺음말

평해 월송포진성과 삼척포진성의 연혁과 구조
1. 머리말
2. 조선시대 수군 배치와 월송포·삼척포
3. 월송포·삼척포 수군 만호진 설치와 축성
4. 월송포·삼척포진성의 주요 구조
5. 맺음말

울진의 뱃길과 동해의 해류 및 바람
1. 서론
2. 동해 및 울진 지역의 해양환경
3. 동해안 및 울진지역의 역사상
4. 울진 해역과 연관된 항로
5. 결론

울진과 울릉도지역 마을신앙의 관계성 검토
1. 머리말
2. 조선시대 수토사의 신앙의례를 통해 본 울릉도의 민간신앙 전통
3. 울진의 마을신앙
4. 울릉도의 마을신앙
5. 울진과 울릉도의 마을신앙 비교
6. 맺음말

울진 수토문화와 관광자원화의 방향
1. 머리말
2. 조선시대 수토제도와 울릉도·독도
3. 울진지역 문화역사자원과의 연계가능성
4. 울진지역 수토문화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
5. 울진 수토문화 관광자원화의 기본방향

저자소개

손승철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고,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한일관계사를 전공하여 박사를 받았다. 일본 홋카이도[北海道]대학, 도쿄[東京]대학, 규슈[九州]대학에서 연구했고, 1981년부터 강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17년 정년퇴직하고 명예교수로 있다. 한일관계사학회를 창립했고,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총간사,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일문화교류기금 이사와 한국이사부학회 회장으로 활동중이다. 저서로 <조선시대 한일관계사연구>, <조선통신사>외에 10여 권이 있으며, 사료집 <한일관계사료집성>(전32권)과 90여 편의 논문을 썼다. 20년 넘게 전국의 대학생, 교사, 일반인을 인솔하여 조선통신사의 옛길을 답사하고 있으며, 이 책은 그 성과를 집대성한 것이다.
펼치기
윤명철 (감수)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교수, 터키 국립 이스탄불대학교 객원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우즈베키스탄 국립 사마르칸드대학교 교수다. 고구려연구회 부회장, 한민족학회 회장, 고조선단군학회 회장을 거쳐 현재 한국해양정책학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유튜브 <윤명철 교수의 역사대학> 운영 대한민국 근정포장 수상 동아일보 창립 90주년 ‘2020년 한국을 빛낼 100인’에 선정 연암문학상 대상(시), 봉암 역사학술상 등 수상 한민족의 정체성을 찾아 1982년부터 일본, 만주, 연해주, 바이칼, 알타이, 파미르 등 유라시아 세계의 현장을 지속적으로 조사해오고 있다. 『역사는 진보하는가』, 『동아지중해와 고대 일본』, 『고구려 해양사 연구』, 『광개토태왕과 한고려의 꿈』, 『장수왕 장보고 그들에게 길을 묻다』, 『단군신화, 또 하나의 해석』, 『윤명철 해양 논문선집 8권』, 『한국해양사 연구』, 『고구려, 역사에서 미래로』, 『고조선 문명권과 해륙 활동』, 『동아시아의 영토분쟁과 역사 갈등』, 『우산국, 울릉도와 독도의 나라』, 『한민족 해양 활동 이야기 1, 2』,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등 60여 권의 저서와 단군신화 서사시 2부를 비 롯해 『고구려 겨울』, 『고구려 소리』, 『바이칼에서 우랄, 알타이 너머』 등 16권의 시집을 펴냈다.
펼치기
김수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학예대학(東京學藝大學) 및 도쿄경제대학(東京經濟大學)에서 역사 및 경제사 전공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연구교수로 있다. 현장이 중시되는 한·일 양국의 어업사를 연구한다. 주요 저서로는 『근대 일본어민의 한국진출과 어업경영』(2010), 『植民地朝鮮と愛媛の人びと』(2011, 공저), 『독도 영유권 확립을 위한 연구 Ⅳ~Ⅵ』(2012~2014, 공저), 『울진 대풍헌과 조선시대 울릉도·독도의 수토사』(2015, 공저)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독도=죽도 ‘고유영토론’의 역사적 검토(상, 하)』(2014,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기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명예교수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농촌ㆍ농업지리 분야로 석사ㆍ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7년 영국 Leicester대학 방문 교수로서 지속가능한 농업을 연구하였다. 2000년 IGC세계농촌지리학 국제학술대회(부산) 조직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 이후에는 고지도와 지명 연구에 천착하였고, 퇴임 이후에는 『대동여지도』의 물길 연구와 함께 국토 고을의 기록물을 정리하고 있다. 주요 저술로는 『한국 농업지대의 변화 연구』(1991, 박사학위논문), 『부산항사-총설』(1991), 『Developing Sustainable Rural Systems』(2001), 『부산의 자연마을-총설』(2006-2011), 『양산의 마을』(2008), 『부산고지도』(2008), 『한국지명유래집』(2008-2013), 『한국하천지명사전』 (2011), 『국토의 표상-한국 고지도집』(2012), 『김해시사-마을편』(2024 예정) 등이 있다. 학회 및 학계 활동으로는 한국농촌지리학회장,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장, 한국고지도연구학회장을 수행하였고, 부산대학교 도서관장ㆍ부산시 시사편찬위원ㆍ국립중앙도서관 고서위원ㆍ국가지명위원ㆍ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을 역임하였다. 2020년 대한지리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김호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 출생 영남대학 문과대학 국사학과 동 대학원 수료 (문학박사) 영남대학 국사학과 객원교수 영남대학 독도연구소 연구교수 영남대학 민족문화연구소
펼치기
송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연구교수 주요 논저로 『일본 향토사료 속의 독도』(2014, 선인), 『대일평화조약』(공저, 선인, 2023), 『독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공저, 선인, 2022), 『독도 영유권 확립을 위한 연구 12』(공저, 선인, 2021), 『일본 태정관과 독도』(공저, 지성인, 2016), 「<장생죽도기(長生竹島記)>와 독도 영유권」, 「개정 『학습지도요령』과 『교육과정』의 독도기술 비교검토」, 「근대 울릉도 사회경제 구조의 변천과 독도 인식」, 「2000년 이후 독도 관련 역사학 분야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등이 있다. 언론 지면을 통해 <송휘영의 야생화 편지>(대구신문), <절집에 피는 꽃>(불교문학), <일본문화 산책>(e-book) 등 칼럼을 연재하기도 했다.
펼치기
김도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민속문화재분과), 강원도문화재위원회 문화재전문위원(무형문화재분과), 太東문화재연구소 소장, 강원대학교 강사
펼치기
유재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한국중근세사(문학박사)를 전공하였고, 日本 東京大學 史料編纂所 외국인 연구원, 강원도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장, 강원대학교 학생처장을 역임하였으며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 강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韓國 中世築城史 硏究> 外 20여권의 저서 및 역서(공저 포함)와 논문으로 ‘世宗實錄 地理志 城郭記錄에 대한 檢討’ 外 50여편의 연구성과가 있다.
펼치기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는 2005년 일본 시마네현의 ‘죽도의 날’ 제정에 대응하기 위해 “독도를 비롯한 동해안 문화권에 관한 자료를 수집·정리하여 연구”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립된 민간 연구기관이다. 2007년부터는 교육부 정책중점연구소로 지정되어 지금까지 ‘독도학 정립을 위한 학제간 연구’, ‘독도 영유권 확립을 위한 융복합 연구’를 수행하여 정부의 정책을 지원하고 있다. 2005년부터는 유일한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인 “독도연구”를 발행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독도연구총서”, “독도자료총서”, “독도번역총서”를 발간하는 등, 국내 독도연구를 이끌어가고 있는 연구기관이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