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北島万次, 임진왜란연구의 재조명

北島万次, 임진왜란연구의 재조명

기타지마 만지 (지은이), 김문자, 손승철 (엮은이)
경인문화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北島万次, 임진왜란연구의 재조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北島万次, 임진왜란연구의 재조명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고대/중세사
· ISBN : 9788949948447
· 쪽수 : 458쪽
· 출판일 : 2019-10-18

책 소개

기타지마 만지의 <임진왜란연구의 재조명>. 1편 '임진왜란의 역사적 성격', 2편 '진주성전투와 사천해전', 3편 '임진왜란과 지역 민중', 4편 '한.중.일 사료 속의 임진왜란'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편 : 임진왜란의 역사적 성격

제1장 국제전쟁으로서의 임진왜란과 역사 인식
Ⅰ. 임진왜란은 16~17세기의 동아시아 세계에 무엇을 초래했는가
Ⅱ. 임진왜란을 둘러싼 역사적 배경 -그 요인-
Ⅲ. 일본의 임진왜란 연구의 몇 가지 논점
제2장 壬辰倭亂에 관한 日本의 歷史認識
Ⅰ. 江戶時代의 조선 인식 및 朝鮮征伐사관
Ⅱ. 근대역사학에서 朝鮮征伐사관과 文祿慶長の役연구
Ⅲ. 전후 및 현대 역사학에서 조선침략 연구와 문제의식
Ⅳ. 히데요시의 조선침략 연구의 과제
제3장 壬辰倭亂에서의 두 개의 和議條件과 그 風聞
1. 머리말
2. 두 개의 和議條件과 그 성립
3. 朝鮮에 침투한 和議條件의 風聞
4. 淸正惟政會談과 和議條件
5. 明冊封使의 日本渡海와 그 파문
6. 秀吉의 격노와 明皇帝의 진노 – 맺음말을 대신하며

제2편 : 진주성전투와 사천해전

제1장 壬辰倭亂과 晉州城 戰鬪
머릿글
Ⅰ. 第一次진주성 戰鬪
Ⅱ. 豊臣秀吉이 다시금 진주성 공략을 의도하게 된 경위
Ⅲ. 진주성 전투의 경위
Ⅳ. 맺음말
진주성 전투 관계 略年表·
제2장 제1차 진주전투의 경위와 제2차 진주전투의 요인
1. 처음에
2. 제2차 진주전투
3. 제2차 진주전투에 이르게 된 배경
4. 진주성을 노린 히데요시의 의도-마무리를 대신하여
제3장 壬辰倭亂과 李舜臣, 泗川海戰을 중심으로
Ⅰ. 秀吉의 水軍編成
Ⅱ. 壬辰倭亂期의 海戰

제3편 : 임진왜란과 지역 민중

제1장 강원도에서의 임진왜란
Ⅰ. 머리말
Ⅱ. 왜군의 조선팔도 경략과 毛利吉成의 제4군
Ⅲ. 毛利吉成의 강원도 침입
Ⅳ. 島津義弘의 강원도 침입
Ⅴ. 맺음말
제2장 「亂中日記」에 보이는 降倭에 대하여
서 론
Ⅰ. 亂中日記는 降倭에 대하여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가.
Ⅱ. 亂中日記의 降倭기술에서 말할 수 있는 것
Ⅲ. 李舜臣은 降倭를 어떻게 편성하고, 이용했는가.
Ⅳ. 降倭는 어떻게 살아갔는가 -降倭의 人間模様-
결 론
제3장 정유재란과 전라도의 민중
1. 머리말
2. 왜란의 재개와 명 조선군의 패배
3. 코베기의 횡행과 그 실태
4. 왜군의 전라도 주둔 지배
5. 맺음말

제4편 : 한・중・일 사료 속의 임진왜란

제1장 壬辰倭亂研究와 「朝鮮王朝實録」
머리말
Ⅰ. 일본에서 朝鮮王朝實錄의 보급과 이용에 대하여
Ⅱ. 우리들의 朝鮮王朝實錄講讀會경위
Ⅲ. 壬辰倭亂연구에 있어서 朝鮮王朝實錄의 의의
제2장 「亂中日記」의 世界와 李舜臣
들어가며
Ⅰ. 도적 절도에 나선 하층민
Ⅱ. 水營을 지탱했던 기술자 집단
Ⅲ. 船軍이 된 降倭·
Ⅳ. 바다를 아는 鮑作人
맺는 말
제3장 임진왜란에 관한 일본・한국・중국의 史料와 그 특징
시작하며
제1절 1592(宣祖25)年7月17日(日本曆16日), 제1차 平壤戰鬪에 관한 史料와 그 특징
제2절 1593(宣祖26)年1月6~9日(日本曆5~8日), 제2차 平壤戰鬪에 관한 史料와 그 특징
제3절 1593(宣祖26)年1月25~27日(日本曆24~26日), 碧蹄館의 싸움에 관한 史料와 그 특징

부록 李舜臣 年譜

저자소개

기타지마 만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손승철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고,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한일관계사를 전공하여 박사를 받았다. 일본 홋카이도[北海道]대학, 도쿄[東京]대학, 규슈[九州]대학에서 연구했고, 1981년부터 강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17년 정년퇴직하고 명예교수로 있다. 한일관계사학회를 창립했고,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총간사,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일문화교류기금 이사와 한국이사부학회 회장으로 활동중이다. 저서로 <조선시대 한일관계사연구>, <조선통신사>외에 10여 권이 있으며, 사료집 <한일관계사료집성>(전32권)과 90여 편의 논문을 썼다. 20년 넘게 전국의 대학생, 교사, 일반인을 인솔하여 조선통신사의 옛길을 답사하고 있으며, 이 책은 그 성과를 집대성한 것이다.
펼치기
김문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상명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오챠노미즈 여자대학에서 일본 근세사 연구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상명대학교 박물관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객원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 상명대학교 역사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일관계사학회 회장이다. 저서로는 ??戰の中の女たち, 戰爭?暴力と女性Ⅰ(공저, 2004)??, ??임진왜란과 한일관계(공저, 2005)??, ??北島万次, 임진왜란 연구의 재조명(엮음, 2019)??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임진왜란에 있어서 明?日講和交涉과 朝鮮(2000)?, ?豊臣政權末期의 자연재해와 정치적인 상황 - 文祿5년 (1596)의 지진발생을 중심으로(2007)?, ?에도시대 豊臣秀吉에 대한 인식(2017)?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