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59592982
· 쪽수 : 159쪽
· 출판일 : 2012-01-30
책 소개
목차
서문
PART 01 / 스몰 스토어 마케팅SSM
01 스몰 스토어 마케팅SSM이란?
02 SSM의 목적
03 SSM의 중요성
PART / 02 SSM 전략
01 SSM 전략이란?
02 SSM 전략 실행 5단계 프로세스
PART 03 / 마케팅 도구
01 마케팅 도구 선정 시 고려 사항
02 오프라인 마케팅 도구
03 온라인 마케팅 도구
PART 04 / SSM과 매출의 상관관계
01 전단지 배포
02 지역 제휴 마케팅
03 사은품 증정 이벤트
04 체험 이벤트
05 커뮤니티 강화를 위한 마케팅
06 지역 광고 및 협찬
07 가격 할인
PART 05 / 마케팅 도구 활용
01 일반 주거지역
02 사무실 밀집 지역 또는 기타 비즈니스 지역
03 초·중·고등학교
04 대학교
05 숙박업소
06 노인층 또는 유치원·유아원
07 기타 잠재 고객
저자소개
책속에서
스몰 스토어 마케팅SSM이란?
일반적인 판매 촉진 활동이란 타깃 고객을 대상으로 상품 정보 및 구매 정보를 제공하여 수요를 불러일으키고, 고객이 구매를 하도록 반복해서 설득하고, 더 나아가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활동이다. 하지만 스몰 스토어 마케팅Small Store Marketing(이하 SSM)은 좀 더 나아가 고객과 만나는 현장인 매장에 초점을 맞춘 집중적이고도 직접적인 좁은 의미의 특별한 마케팅 활동이다. 다시 말해 매장이라는 한정된 영업장과 영업 구역 내에서 소비자와 경쟁사 동향 그리고 자사 제품 또는 서비스를 감안하여 매장 매출을 늘리기 위해 진행하는 판매 촉진 활동들을 말한다.
SSM의 주요한 역할은 첫째, 상권 내 고객을 대상으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상권 내 고객들만을 위한 맞춤형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경쟁사 제품보다 더 좋다는 것을 설득하는 것이다. 셋째, 상권 내 고객의 주의를 끌기 위해 경쟁사보다 자사의 브랜드를 더 노출시키는 것이다.
성공적인 SSM 활동을 위해서 마케팅 담당자가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세 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실행 가능성feasibility, 지역성localization, 경험성experience이다. 이는 수많은 매장을 거느리고 있는 프랜차이즈 본사 마케팅 담당자들이 현장 판촉에 대한 마케팅 기획을 할 때에는 막상 놓치기 쉬운 부분이기도 하다.
첫째, 모든 마케팅 계획은 ‘실행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져야 한다. 현장에서는 돌발변수가 많고 항상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계획은 아무리 좋은 계획이라 할지라도 현장에서는 아무런 쓸모가 없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상황 대처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직원 교육이라든지 모든 상황을 고려한 대응 매뉴얼 등이 반드시 갖추어져야 한다.
둘째 ‘지역성’이란 지역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매출은 매장이 위치한 지역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마케팅은 반드시 지역 고객의 특성에 맞게 기획되어야 한다. 새로운 매장을 개설하거나 새로운 마케팅을 하고자 할 때 지역성은 최우선 고려 조건 중 하나이다.
셋째, ‘경험성’은 고객의 체험에 관한 것이다.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느냐에 못지않게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하느냐가 중요한데, 매장에서 고객의 체험은 매 순간 이루어지므로 긍정적인 경험의 누적은 결국 구매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매장은 고객이 매장의 제품과 서비스를 잘 체험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증거 혹은 환경physical evidence or environment 즉 건물, 설비, 차량, 인테리어, 복장, 간판 등이 잘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매장의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