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영자로서 알아야 할 기업재무전략

경영자로서 알아야 할 기업재무전략

강영수 (지은이)
한솜미디어(띠앗)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8,0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4,5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영자로서 알아야 할 기업재무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영자로서 알아야 할 기업재무전략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88959593415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3-01-20

책 소개

비재무전공 경영자가 재무전략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현실적 내용을 쉽게 제시한 책. 기업에서 실제 발생하는 예시들을 이론적 접근보다는 실제업무 측면에서 접근한 내용으로 전개하였다.

목차

머리말 / 4

Part 1 기업재무전략을 위한 기초개념들
1. 재무회계 정보와 관리회계 정보 16
1.1. 재무정보 분류의 의미 16
1.2. 재무회계, 세무회계, 관리회계 정보의 관계 18
2. 발생주의와 현금주의 20
2.1. 발생주의와 현금주의 개념과 비교 20
2.2. 경영성과는 발생주의, 현금관리는 현금주의가 유용 23
3. 기간손익과 수익·비용의 대응 25
3.1. 기간손익의 의미 25
3.2.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 27
4. 화폐의 시간가치 30
4.1. 미래가치(FV)와 현재가치(PV) 30
4.2. 미래가치와 현재가치는 이자율과 기간에 의하여 결정된다 34
4.3. 금리변동과 자산가치, 환율 37
5. 자본비용 38
5.1. 자본조달에 대한 대가와 가중평균자본비용 38
5.2. 타인자본비용과 자기자본비용 41
6. 재무제표와 시산표 46
6.1. 재무제표(F/S)의 작성과정 46
6.2. 시산표(T/B)는 왜 보아야 하는가 47

Part 2 재무제표의 이해
Chapter 01. 재무제표의 기본개념 52
1. 재무제표란 무엇인가 52
1.1 재무제표(F/S)의 의의 52
1.2. 재무제표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53
2. 재무제표는 어떤 기준으로 작성되는가 56
2.1. 기업회계기준(GAAP)의 목적 56
2.2. 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 57

Chapter 02. 재무상태표 59
1. 재무상태표란 무엇인가 59
1.1. 재무상태표(F/P)의 의의 59
1.2. 자산·부채·자본의 정의와 재무적 특성 60
2. 재무상태표의 분류 65
2.1. 재무상태표의 구분 65
2.2. 자산·부채·자본의 분류 65
3. 재무상태표를 보는 방법 71
3.1. 비교 재무상태표에서 당해기간의 총투자규모를 알 수 있다 71
3.2. 비교 재무상태표에서 당해기간의 총투자에 대한 자본조달원천을 알 수 있다 80
3.3. 재무상태표로써 현재 상태의 안정성과 유동성을 알 수 있다 86
3.4. 재무상태표로써 재무구조의 악화원인과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92
3.5. 재무상태표로써 주당순자산(BPS)을 알 수 있다 96
4. 재무상태표의 주요 체크 포인트 97

Chapter 03. 포괄손익계산서 106
1. 포괄손익계산서란 무엇인가 106
1.1. 손익계산서의 의의 106
1.2. 수익·비용의 정의와 재무적 특성과 분류 107
1.3. 포괄손익(Comprehensive income) 112
1.4. 당기순이익의 처분 113
2. 포괄손익계산서를 보는 방법 115
2.1. 포괄손익계산서에서 당기순손익과 기타포괄손익을 알 수 있다 115
2.2. 당기순이익 중 영업활동 손익과 영업외활동 손익을 알 수 있다 117
2.3. 포괄손익계산서에서 매출액 대비 수익성을 알 수 있다 121
2.4. 포괄손익계산서로써 주당이익(EPS)을 알 수 있다 122
3. 포괄손익계산서의 주요 체크 포인트 124

Chapter 04.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를 종합적으로 보는 방법 128
1. 투자자본에 대한 자본수익성을 알 수 있다 128
1.1 자본이익률은 투자자본과 이익성과를 비교하는 지표이다 128
1.2. 자본이익률 지표에 대한 판단 129
2. 투자자본에 대한 자산효율성을 알 수 있다 130
2.1 자산회전율은 투입자산과 매출성과를 비교하는 지표이다 130
2.2. 자산회전율 지표에 대한 판단 131
3. 자본수익성의 양부에 대한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132
3.1. 자본이익률의 분해 132
3.2. 자본이익률의 세부분석 133

Chapter 05. 자본변동표 135
1. 자본변동표란 무엇인가 135
2. 자본변동표의 주요항목 136

Chapter 06. 현금흐름표 138
1. 현금흐름표란 무엇인가 138
1.1. 현금흐름의 기본구조 138
1.2. 활동별 현금흐름 139
1.3. 손익과 현금흐름의 차이(예시) 141
2. 현금흐름표를 보는 방법 143
2.1. 현금증감액과 증감원천을 알 수 있다 143
2.2. 현금흐름의 구조가 좋은가 나쁜가는 현금흐름의 질적 구조로써 판단한다 145
2.3. 현금흐름 분석과 증대방안 148

Chapter 07. 연결재무제표 152
1. 연결재무제표란 무엇인가 152
1.1. 연결재무제표란 152
1.2. 연결재무제표 작성 과정 155
2. 연결재무제표 구조 156
2.1. 연결재무상태표 156
2.2. 연결포괄손익계산서 159

Chapter 08. 법인세 162
1. 법인세의 의의와 산정구조 162
1.1. 이익개념과 법인세 162
1.2. 법인세 산정 구조 163
2. 세무조정과 이연법인세 164
2.1. 세무조정 164
2.2. 이연법인세 166
3. 법인세와 관련한 재무적 의사결정 170
3.1. 이익증대를 위한 원가절감목표 의사결정 170
3.2. 비용지출에 대한 의사결정 171
3.3. 자금조달에 대한 의사결정 173

Part 3 손익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Chapter 01. 원가의 기초개념 176
1. 기업의 원가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176
1.1. 포괄손익계산서상의 원가 177
1.2. 원가는 재무상태표의 자산, 부채, 자본에 의하여도 발생된다 177
1.3. 장기적으로 원가절감을 위해서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180
2. 손익증대를 위한 원가관리 포인트 182
2.1. 원가절감을 통하여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182
2.2. 원가의 효율적 판단에 의하여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184
3. 원가의 분류 186
3.1. 원가분류의 필요성 186
3.2. 관리목적별 원가 분류 187
4. 포괄손익계산서상의 원가계산 190
4.1. 당기순이익 산정을 위한 원가계산 - 전체원가계산 - 190
4.2. 제품(서비스)별 원가계산 - 손익단위별 원가계산 - 193

Chapter 02. 손익관리를 위한 기본개념들 200
1. 변동비와 고정비 200
1.1. 구분의 필요성과 주요 용어 200
1.2. 차액원가와 매몰원가 208
1.3. 고정비와 매몰원가 210
2. 손익분기점 매출과 목표매출 213
2.1. 손익분기점 및 목표매출의 산정 213
2.2. 경영안전율(M/S) 분석 216
3. 매출액과 원가의 증감에 따른 손익영향 분석 218
3.1. CVP분석 218
3.2. CVP분석 예시와 활용 219
4. 원가구조의 판단 225
4.1. 원가구조의 의미와 특성 225
4.2. 원가구조 분석(예시)과 의사결정 227
5. 레버리지(Leverage) 분석 231
5.1. 레버리지의 의의와 분류 231
5.2. 레버리지 분석(사례) 237

Chapter 03. 전략적 손익관리 사례 240
[사례·1] 목표매출액 설정 240
[사례·2] 매출증대와 고정비절감 목표설정 244
[사례·3] 이익증대 방안 248
[사례·4] 생산가동시간 내의 Product mix 252
[사례·5] 자가생산할 것인가, 외부구입할 것인가 255
[사례·6] 적자사업부를 폐지할 것인가, 유지할 것인가 259
[사례·7] 특별 추가판매를 수주할 것인가 263
[사례·8] 자가생산 부품을 외주구입으로 전환할 것인가 266
[사례·9] 특판부서의 추가주문에 대한 수주 여부 271
[사례·10] 재무구조 목표설정 276
[사례·11] 자본조달의 의사결정 280
[사례·12] 이자비용의 절세효과 284



저자소개

강영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숭실대학교 경영학 석사 •숭실대학교 회계학 박사 •대한투자신탁(주) 조사분석과 •LG그룹 회장실 심사과 •LG유통(현 GS리테일) 경리부장/감사부장 •LG인화원 경리대학 운영팀장/교수 •숭실대학교/숭실사이버대학교 겸임교수 •현) 이상회계법인 컨설턴트/고문 •현)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저서 •『손익관리 끝내기』, 한솜미디어, 2007 •『재무회계 기초 끝내기』, 한솜미디어, 2013 •『재무분석 기초 끝내기』, 한솜미디어, 2013 •『MBA 재무전략』, 한솜미디어, 2016 •『알기 쉬운 초급 경리회계실무』, 한솜미디어, 2018 논문 •부가가치 측정을 위한 회계제도에 관한 고찰, 1980, KICPA(제1회 회계학술 대상) • PBR/PER에 의해 분류된 기업 특성별 비상장주식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회계정보연구, 제29권 제3호, 2011(9월)
펼치기

책속에서

2. 재무제표는 어떤 기준으로 작성되는가
2.1. 기업회계기준의 목적
1) 의의
기업회계기준은 기업이 재무정보제공을 위하여 재무제표를 작성·공시할 때 공정하고 명확하게 작성해야 할 기준이며 반드시 준수해야 할 재무회계의 개념 및 작성기준과 절차를 규정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GAAP,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이라 한다.

2) 필요성
기업의 재무제표는 경영자가 작성하여 공시할 의무가 있는데 일정한 기준이 없다면 경영자는 이익을 가공하기 위해 부적정하고 왜곡된 재무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기업회계기준이 필요하게 된다.

3) 적용대상
기업회계기준은 원칙적으로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감법]에 의하여 외부감사대상법인의 재무제표작성에 적용되며 외부감사대상법인이 아닌 기업은 중소기업회계기준을 적용한다.

4)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감법)
(1) 목적
외감법의 목적은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인이 기업의 재무제표를 감사하여 공시함으로써 이해관계자 보호 및 기업의 건전한 발전목적을 위해 제정된 법률이다.

(2) 외부감사대상법인(외감법인)
외감대상법인은 다음과 같다.

① 직전사업연도 말의 자산총계 100억원 이상인 법인
② 주권상장법인 및 상장예정법인
③ 직전사업연도 말의 종업원 수 300명 이상이고 자산총계 70억원 이상인 법인
④ 지방자치단체가 1/2 이상 출자회사, 특별법에 의한 투자회사, 기업구조조정 투자회사 및 당좌거래정지처분 회사 등의 법인

2.2. 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
1) 외감법 대상법인
외감법 대상법인의 회계처리를 위한 기업회계기준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과 [일반기업회계기준]으로 2원화 되어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