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각의 창과 등불

생각의 창과 등불

조제희 (지은이)
태학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5개 1,73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생각의 창과 등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각의 창과 등불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88959662340
· 쪽수 : 726쪽
· 출판일 : 2008-05-26

책 소개

현대 여러 작문이론들과 2,500년이 된 전통 수사학을 바탕으로 지식과 정보의 창조 수단인 글쓰기를 쉽고 자세하게 장르별 글쓰기 전략과 수사학적 여러 형태들로 제시한다. 논술 혹은 글쓰기에 관심이 있거나 글쓰기를 업으로 삼는 이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목차

서문 _ 9

제Ⅰ부 글쓰기·1 가공의 현실

제1장 _왜 글을 쓰지 않으면 안 되는가?
글이란 무엇인가 _ 25
글을 쓰는 데는 역동적인 행위가 포함된다 _ 27
작문의 중요성: 왜 글쓰기가 중요한가 _ 27
글쓰기는 목적 지향적 활동: 목적 없는 데 글 없다 _ 30
글쓰기는 어떻게 배우나: 읽고, 비판적으로 사고하기 그리고 쓰기 _ 32
글의 목적과 독자 _ 36
수사학적 상황 _ 37
글쓰기의 과정 _ 40
이 책의 이용 방법 _ 41
토론하기 _ 42

제2장 _중요한 사건 회상하기
수사학적 상황 _ 47
우리 주변의 글쓰기 소재들 _ 75
Tip 기억 속에 존재하는 회상을 엮어내는 글의 기본적인 특징 _ 76
Tip 이 글의 중요 사항들 _ 77
주제 정하기 _ 78
글쓰기 전략 _ 80
글쓰기 방법 _ 85
생각하기 _ 93
글쓰기 _ 94
토론하기 _ 96
고치기 _ 98

제3장 _중요한 사람 회상하기
수사학적 상황 _ 103
글쓰기 과제 _ 122
Tip 사람을 회상하는 글을 쓸 때의 중요 사항들 _ 123
주제 정하기 _ 124
글쓰기 전략 _ 126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_ 129
생각하기 _ 131
글쓰기의 실제 _ 134
토론하기 _ 136
고치기 _ 137

제4장 _단평쓰기: 새로운 대상을 관찰한 후 소개하기
수사학적 상황 _ 147
글쓰기 과제 _ 159
Tip 단평을 쓸 때 주의할 사항 _ 160
주제 정하기 _ 161
글쓰기 전략 _ 164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_ 168
생각하기 _ 170
글쓰기 _ 173
토론하기 _ 176
고치기 _ 177

제5장 _추상적 개념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수사학적 상황 _ 183
글쓰기 과제 _ 207
Tip 이 글의 중요 사항들 _ 208
주제 정하기 _ 209
글쓰기 전략 _ 212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_ 216
생각하기 _ 222
글쓰기 _ 225
토론하기 _ 228
고치기 _ 229

제6장 _객관적으로 상황 소개하기
수사학적 상황 _ 235
글쓰기 과제 _ 250
Tip 이 글의 중요사항들 _ 251
주제 정하기 _ 253
글쓰기 전략 _ 255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_ 257
글쓰기 _ 262
토론하기 _ 268
고치기 _ 269


제Ⅱ부 글쓰기·2 논쟁의 세계

제7장 _논쟁은 어떻게 할 것인가?
수사학적 상황 _ 281
글쓰기 과제 _ 299
Tip 이 글의 중요사항들 _ 300
주제 정하기 _ 302
글쓰기 전략 _ 307
논쟁에서의 사고 방식 _ 310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_ 317
생각하기 _ 349
글쓰기 _ 352
토론하기 _ 357
고치기 _ 359

제8장 _당면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수사학적 상황 _ 367
글쓰기 과제 _ 389
Tip 이 글의 중요사항들 _ 390
주제 정하기 _ 392
글쓰기 전략 _ 395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_ 398
생각하기 _ 399
글쓰기 _ 403
토론하기 _ 407
고치기 _ 409

제9장 _원인을 조사하는 글쓰기
수사학적 상황 _ 413
글쓰기 과제 _ 426
Tip 이 글의 중요사항들 _ 427
주제 정하기 _ 429
글쓰기 전략 _ 432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_ 435
생각하기 _ 438
글쓰기 _ 441
토론하기 _ 445
고치기 _ 447

제10장 _평론(평가의 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
수사학적 상황 _ 453
글쓰기 과제 _ 479
Tip 이 글의 중요사항들 _ 480
주제 정하기 _ 481
글쓰기 전략 _ 483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_ 486
생각하기 _ 488
글쓰기 _ 492
토론하기 _ 496
고치기 _ 498

제11장 _글로 된 작품을 어떻게 해설/비평할 것인가
수사학적 상황 _ 505
글쓰기 과제 _ 528
Tip 이 글의 중요사항들 _ 529
주제 정하기 _ 531
글쓰기 전략 _ 534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_ 536
생각하기 _ 540
글쓰기 _ 546
토론하기 _ 548
고치기 _ 549

제12장 _연구 논문을 어떻게 쓸 것인가
수사학적 상황 _ 555
글쓰기 과제 _ 563
Tip 이 글의 중요 사항들 _ 564
글쓰기 전략 _ 565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_ 573
생각하기 _ 577
글쓰기 _ 579
토론하기 _ 582
고치기 _ 584

제13장 _작문 시험보기
수사학적 상황 _ 589
글쓰기 전략 _ 595
시험을 위한 작문 기법 _ 597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_ 601
글쓰기 _ 603
고치기 _ 605
평가하기 / 점수 매기기 _ 606


제Ⅲ부 수사학

서론 _ 617

제1장 _개념적 차원의 현실
물질적 현실 _ 619
현실이란? _ 619
현실자체와 나의 현실 _ 621
현실의 인식 _ 622
인간 인식의 한계 _ 624
현실의 표현 _ 625
동양과 서양의 우주관 _ 627
언어 속의 현실 _ 629
언어의 한계성 _ 629
언어의 양면성과 다양성 _ 631
진리 _ 633
진리란? _ 633
진리의 구조 _ 635
진리의 계단 _ 636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진리를 바라보는 차이 _ 637
사실과 진실 _ 638
진실과 거짓 _ 639
거짓의 극복 _ 640
의심하기와 믿기 _ 641
침묵 _ 642
힘 _ 643
“정치적”이라는 것 _ 643
수사학의 힘 _ 645
시기적절 _ 646
부메랑 효과 _ 647

제2장 _개인적 차원의 사고
관점 _ 649
자신의 관점 _ 649
상대적 관점 _ 651
주관성과 객관성 _ 652
가능성과 정확성 _ 654
의미 만들기 _ 656
개념화·형상화 _ 657
생각의 방법 _ 658
계층적 사고 방법 _ 659
비평적·비판적 사고 방법 _ 660
수평적 사고 방법 _ 661
그림 붙임식 사고 방법 _ 663
연상 _ 664
회상법 _ 665
(무)의식의 흐름 _ 665

제3장 _사회적 차원의 변화
담화 공동체 _ 667
형식, 규범의 변화 _ 670
형식, 규범이란 _ 670
옛 규범 _ 671
법칙의 이상과 예외의 발견 _ 672
새 규범 _ 674

제4장 _수사학
‘수사학’이란? _ 675
수사학의 동기 _ 678
설득 _ 678
현실 동일화 _ 678
동서양의 수사학 _ 680
서양의 수사학 _ 680
동양의 수사학 _ 683
민주주의와 수사학의 중요성 _ 685
수사학과 교육 _ 688
수사학의 요소 _ 689
창출·고안 _ 689
배치·구성 _ 694
문체·스타일 _ 696
기억 _ 696
강연/탈고 _ 697
수사학의 수단 _ 699
수사학과 시학의 차이점 _ 700
의사전달의 삼각관계 _ 701
연설자/작가 _ 702
청중/시청자/독자 _ 703
텍스트 _ 707
수사학적 상황 _ 709
수사학적 상황이란? _ 709
수사학적 상황의 발생 _ 709
수사학의 경우 _ 711
정치적 수사학 _ 711
법적 수사학 _ 712
의전적 수사학 _ 713
기타의 경우 _ 713

부록: 수사학에서 자주 쓰는 용어들 _ 715
에세이 제출 양식 / 제출 동의서 _ 724

저자소개

조제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ullerton에서 영문학 석사,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에서 ‘수사학’과 ‘작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동덕여대, 서강대, 아주대 강사를 거쳐 2013년 현재 미국 California State, Fullerton 영문학부에서 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Guide to Essay Writing』(공저, 2002, YBM/Sisa),『생각의 창과 등불: 수사학과 작문』(2008, 태학사),『논쟁vs언쟁(2011,들녘)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