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88975276613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3-03-08
책 소개
목차
1부 기초를 다지는 글
1장 소개하기
글쓰기(Writing)란 무엇인가
글쓰기는 어떻게 연습해야 하는가
글의 목적과 독자를 분명히 하라
수사학적 상황(Rhetorical Situation)이란
글쓰기 과정
『5천만의 글쓰기』사용 방법
토론하기
2장 문학과 스토리텔링
수사학적 상황
작품읽기1「신장결석」
작품읽기2「결승선」
주변에서 소재 찾아 글쓰기
문학의 주제 정하기
이야기의 3요소(주제, 구성, 문체)
서술의 전략
묘사의 전략
스토리텔링의 전략
토론하기
고치기
3장 단평 쓰기
수사학적 상황
작품읽기1「진정한 일꾼」
작품읽기2「유리 예술」
3장의 중요사항
다양한 소재 찾기
단평의 목적과 독자
단평 쓰기 전략
단평 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생각하기(invention)
단평 쓰기 실전
토론하기
고치기
4장 추상적 개념 설명하기
수사학적 상황
작품읽기1「가난이란?」
작품읽기2 네 가지 독서 방법」
작품읽기3「네 종류의 우상들」
4장의 중요사항
주제 정하기
추상적 개념을 설명하는 글의 목적과 독자
추상적 개념을 설명하는 글쓰기 전략
추상적 개념을 설명하는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생각하기
추상적 개념을 설명하는 글쓰기 실전
토론하기
고치기
5장 상황을 객관적으로 소개하기
수사학적 상황
작품읽기1「맞춤형 아기」
작품읽기2「세포의 생」
5장의 중요사항
주제 정하기
상황을 객관적으로 소개하는 글의 목적과 독자
상황을 객관적으로 소개하는 글쓰기 전략
상황을 객관적으로 소개하는 글쓰기 기술
생각하기
상황을 객관적으로 소개하는 글쓰기 실전
토론하기
고치기
2부 논쟁의 장
6장 논쟁-입장 주장하기
수사학적 상황
작품읽기1「교복은 학생의 꽃」
작품읽기2「읽을 것인가 볼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6장의 중요사항
주제 정하기
논쟁하는 글의 목적과 독자
논쟁하는 글쓰기 전략
논쟁하는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논쟁의 종류 (Types of Argument)
논리적 오류 (logical fallacy)
인성
감성
생각하기
논쟁하는 글쓰기 실전
표절
토론하기
고치기
개정/교정하기 실전 「비도덕적인 배아줄기세포 연구」
7장 문제 해결책 제시하기
수사학적 상황
작품읽기1 「학교 구내식당」
작품읽기2 「논쟁의 문화」
7장의 중요사항
주제 정하기
해결책을 제시하는 글의 목적과 독자
해결책을 제시하는 글쓰기 전략
해결책을 제시하는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생각하기
문제를 해결하는 글쓰기 실전
토론하기
고치기
8장 원인 조사하기수사학적 상황
작품읽기「학생들은 왜 부정행위를 하는가?」
8장의 중요사항
주제 정하기
원인을 조사하는 글의 목적과 독자
원인을 조사하는 글쓰기 전략
원인을 조사하는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생각하기
원인을 조사하는 글쓰기 실전
토론하기
고치기
9장 평론/평가하기
수사학적 상황
작품읽기1「폴터가이스트」:
이 영화는 무엇이 당신을 무섭게 만드는지 안다
작품읽기2 「해리포터의 힘」
9장의 중요사항
주제 정하기
평론의 목적과 독자
평론 쓰기 전략
평론 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생각하기
평론 쓰기 실전
토론하기
고치기
10장 비평/해설하기
수사학적 상황
작품읽기1 「숨겨진 진실: 셜리 잭슨의 복권」
작품읽기2 「복수열전」
10장의 중요사항
주제 정하기
비평의 목적과 독자
비평 쓰기 전략
비평 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생각하기
비평 쓰기 실전
토론하기
고치기
11장 연구 논문을 어떻게 쓸 것인가
수사학적 상황
연구 논문 「핵발전소의 폐단」
11장의 중요사항
연구 논문 전략
연구 논문 쓰기에 필요한 요소들
생각하기
연구 논문 쓰기 실전
토론하기
고치기
12장 작문 시험보기
수사학적 상황
지문 살피기
작문 시험의 전략
작문 시험 보기에 필요한 요소들
작문 시험 보기 실전
고치기
작문 등급 평가하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단순히 지식을 축적하기 위해 읽는 책이 아니라, 지식을 창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인 글쓰기(essay)를 위한 책이다. 따라서 실제로 글을 써보지 않으면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 책은 서양의 수사학과 작문의 표현적, 인식론적, 문화적, 환경적 관점을 기초로, 글쓰기는 한 번에 끝내는 작업이 아니라 여러 단계를 거쳐 보다 나은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이론에 기초하여 작성했다.
글은 반드시 명확한 메시지를 담아야 한다. 글쓰기를 이제 막 시작했다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주제문에서 표현하라. 스토리텔링의 기본기를 연마한 다음에는 주제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보물을 숨겨놓고 실마리를 조금씩 드러내면서 주제를 암시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주제문을 중심으로 글을 쓴 다음 발표하기 직전에 주제문을 삭제하자.
독자가 주제와 관련된 개념을 무리 없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독자의 지적 수준을 미리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그에 맞는 난이도로 개념을 설명해야 한다. 따라서 글쓴이는 주제가 되는 개념을 전문가 수준으로 알아야 한다. 그리고 독자의 지적 수준도 파악해야 하며, 독자의 수준에 맞게 글을 쓰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주제가 되는 개념에 관해 잘 모른다면 독서와 신문, 멀티미디어 자료와 같은 매체를 통해 반드시 공부해야 한다. 전문적인 식견도 없이 자신의 기억과 경험과 관찰에 의지하면 안 된다. 얄팍한 지식은 편협한 글을 낳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