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논쟁 vs. 언쟁

논쟁 vs. 언쟁

(아고라 전장에서 살아남는 법)

조제희 (지은이)
들녘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6개 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논쟁 vs. 언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논쟁 vs. 언쟁 (아고라 전장에서 살아남는 법)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88975279874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1-11-02

책 소개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논쟁의 참된 의미와 목적·방법·규칙·언어 사용법 등을 하나하나 알려주면서 실생활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논쟁의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나의 주장을 제대로 펼치면서 청중을 설득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 답하는 책이다. 한마디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논쟁의 모든 것”인 셈이다.

목차

저자의 말_진리에 이르는 최선의 길을 찾아서 4
프롤로그_논쟁은 가장 이성적인 도구이다 12

PART1 논쟁의 탄생

chapter1 언쟁과 논쟁은 어떻게 다를까? 21
언쟁_둘이 마주 보고 싸우기 23
언쟁이 논쟁으로 변할 때
논쟁_이성의 언어로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28
설득의 무기는 믿음이다 | 신뢰는 인격에서 나온다 | 말은 인격의 거울
논쟁은 발전을 위한 필수 도구 33
왜 논쟁하는 방법을 배워야 하나? | 논쟁의 목적 | 논리적 사고는 저절로 자라지 않는다 | 논
쟁과 민주주의

chapter2 논쟁의 상황 49
현실_관찰하고, 인식하고, 표현하라 51
현실을 해석하는 데 틀이 필요한 이유 53
현실 인식과 표현의 단계 ● 관찰│정보 접수│이해│기억│재생산/사고│표현
논쟁의 수사학적 상황 60
이슈는 누가 만드나? | 수사학적 상황의 필수 요소 ● 메시지 작성자│메시지│청중/독자│상황
성립 제약 요건들│긴급성/위급성
논쟁은 필연적으로 정치적이다 71
자신의 관점과 주장 밝히기 | 타인의 관점과 주장 경청하기
논쟁의 주제들 77
논쟁이 성립하려면 | 논쟁의 주제가 될 수 없는 것들 | 구체적인 주제들 | 주제는 어떻게 재단
하는가

chapter3 청중/독자 89
청중/독자는 누구일까? 89
일반적 청중/독자 | 실질적 청중/독자 | 가공된 청중/독자
자신의 청중/독자를 어떻게 알아볼까? 104
독자의 성향에 따른 전략 108
동의하는 사람 | 관망하는 사람 | 무관심한 사람 | 적대적인 사람 | 결코 입장을 바꾸지 않는
사람
어떻게 말하고 표현할 것인가? 116
세부 사항 배치 전략 | 친숙한 표현을 사용한다 | 전문적 용어나 어려운 표현을 삼가라 | 구체
적인 표현이 중요한 이유 | 비유적 표현
특수한 목적을 가진 청중/독자 124

PART2 논쟁의 전술과 전략

chapter4 논쟁의 수단과 규범 131
논쟁의 수단 133
인성을 이용하는 방법 ● 현실 속 나 자신│타인에게 비춰진 나│문서 속에 드러나는 나 | 이성
적인 접근 방법 ● 삼단논법│축약 삼단논법│연역적 사고│귀납적 사고│기승전결 | 감성 활
용하기
논쟁의 규범 156
구상 ● 연극화의 다섯 요소│태그메믹 이론│휴리스틱 | 구성/배치 | 스타일 | 기억 | 강연/출판

chapter5 논쟁의 구조 179
진리에 도달하는 계단 181
에이카시아 | 사실 | 다이아노이아 | 노에시스 | 최고의 선
논쟁의 일반적인 구조 185
구조를 이루는 핵심 부분들 186
배경 | 한정사 | 정의 ● 사전적 정의를 이용하는 방법│동의어를 이용하는 방법│예를 이용하
는 방법│조건 제시 방식의 정의│맞지 않는 예를 제거하는 방식의 정의 | 주장 ● 사실에 대
한 주장│원인 결과 추정 주장│가치를 정당화하는 주장│정책 채택을 위한 주장│복합적 주장
| 근거와 이유 ● 증거│지지의 방법│증거의 검증/평가 원칙│효과적인 증거 제시 방법| 반론
논리적 오류의 유형 216
인신공격 | 감정의 장난 | 논점 회피 | 허수아비 놀이 | 중언부언 | 성급한 일반화/결론 | 삼천
포로 빠지기 | 침소봉대 | 흑백논리 | 애매모호한 발언 | 동문서답 | 친구 따라 강남 가기 | 당
신도 그래 | 거짓 권위
형태의 기능 224
서론 | 본론 | 결론

chapter6 논쟁의 장르 231
고전적 논쟁 방법 233
툴민의 논쟁 방법 236
견해 밝히기 242
문제 해결하기 244
원인 조사하기 247
평가하기 249
글 해설하기 252
로저리언 논쟁 방법 255
새파이어 논쟁 방법 259

PART3 논쟁의 언어

chapter7 언어 사용법 267
표절은 유괴와 같다 267
청중/독자를 위한 언어를 사용하라 269
명확하게 표현한다 271
무엇에 대해 쓸 것인가를 확실히 하라 | 이미지를 표현할 단어/문장을 찾지 못할 때 | 대명사나
불분명한 표현들을 남발하지 않는다 | 문장이 지나치게 복잡하지 않은가? | 문법이 틀린 경우
간결하게 쓰라 275
정확성을 추구하라 277
가치관에 맞는 표현을 선택한다 278
감성적인 언어 사용을 자제하라 281
암시는 신중하게! 283
개정과 교정에는 순서가 있다 285

에필로그_ 논쟁은 온전한 자신을 보여주는 행위다 289
찾아보기_ 291

저자소개

조제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ullerton에서 영문학 석사,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에서 ‘수사학’과 ‘작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동덕여대, 서강대, 아주대 강사를 거쳐 2013년 현재 미국 California State, Fullerton 영문학부에서 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Guide to Essay Writing』(공저, 2002, YBM/Sisa),『생각의 창과 등불: 수사학과 작문』(2008, 태학사),『논쟁vs언쟁(2011,들녘)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동양에서는 논쟁論爭을 서양의 개념과 달리 ‘상대방과 논리적인 말로 시시비비를 가려가며 싸운다.’로 해석한다. 이 말은 쌍방이 마주 보고 말을 주고받는 형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말뜻에 ‘청중/독자를 설득하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논쟁의 큰 축을 이루는 청중/독자(audience)의 개념을 무시하고 있다. 또한 논쟁과 언쟁을 확실하게 구분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두 가지 개념에 대해서 명확히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언쟁은 둘이서, 논쟁은 셋이서 한다. 언쟁은 쌍방이 마주 보고 설전을 하는 행위이고, 논쟁은 의견이 다른 둘 이상의 발표자들이 듣는 이/읽는 이들을 향해 설득하는 언어 행위이다. 또한 언쟁과 논쟁은 주어진 상황, 주제, 대상이 다르다. 언쟁에는 정해진 규칙이 별로 없지만, 논쟁에는 공정성과 정당성을 유지하기 위한 많은 규칙들이 있다. 언쟁의 상황과 주제는 다분히 사적이고, 논쟁은 상황과 주제가 공적이다. 논쟁의 상황에서 의견이 다른 사람들끼리 마주 보고 싸워서는 안 될 것이다._논쟁과 언쟁은 어떻게 다른가?


논쟁은 말싸움이 아니다. 논쟁은 발표자들과 청중이 이루어내는 창조적 행위이다. 발표자들 사이에는 말싸움이나 물리적 충돌이 없어야 하고, 그들은 청중/독자를 향해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공적인 상황(public, academic, and professional)이 발생하면 둘 이상의 집단들이 자신의 이익이나 혜택을 위하여 의견을 제시한다. 그러면 청중/독자들은 이들의 의견을 살펴본 후 자신의 입장을 결정하고 행동한다. 이런 상황을 논쟁이라 한다. 발표자는 청중/독자를 자기편으로 만들기 위해서 설득한다. 그러기 위해서 자신의 주장과 이에 대한 합당한 이유와 근거들을 논리적으로 배치하여 제시한다. 논쟁은 고대 그리스 시대 이후 2천 500년에 걸쳐 발전된 여러 가치 규칙에 따라 진행된다._이성의 언어로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연상 작용을 의식적으로 중단한 후, 생각하던 주제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갖고 그에 대해 더 깊이 알려고 하면 다른 사고방식이 필요하다. 일정한 주제에 연관되어 벌어진 상황이 어떤 것인지 포괄적이고 심층적으로 알고 싶을 때가 있다. 자신이 어떤 입장에 처해 있는지, 이에 따른 주장이 타인의 것보다 더 타당성과 설득력이 있는지, 만약 약하다면 어떻게 해야 주제에 연관된 더 좋은 정보들을 확보할 수 있을지, 또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해야 좀 더 논리적이고 능동적이면서도 호소력 있는 글을 쓸 수 있을지……. 이럴 때 우리는 전지전능한 신의 관점(God’s point of view)을 확보할 수는 없어도 상대적으로 최선의 주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고방식을 택해야 한다. 이런 사고방식을 ‘비판적’ 그리고 ‘논리적’ 사고방식이라고 부른다. ‘비판적 사고’란 상황에 연관된 가능한 모든 지식과 정보 그리고 경험들을 차근차근 하나씩 살피면서(정보 수집, 분석, 종합 등) 생각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의 산물은 정교하고 설득력 있는 주장이다. 비판적 사고는 주제에 대해 알려진 것들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호기심 발동으로 시작된다. 먼저 케네스 버크Kenneth Burke의 ‘펜타드pentad(누가, 언제, 무엇을, 왜, 어떻게)’에 입각하여 주제에 관련된 정보를 알아낸다. 이렇게 하려면 많은 질문을 던지면서 답을 얻으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_논리적 사고는 저절로 자라지 않는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