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88959669448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18-04-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이우걸 시조 비평
거울 - 정과리
안정되고 유려한 시력으로 엮은 인생 발자국 - 공광규
소중한 적(敵)을 모신 사리탑 - 정용국
현대적 표현 미학의 빛나는 성취 - 이숭원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 있음과 없음 사이,
비와 달맞이꽃 사이에서 - 박진임
시인이 스스로 찾은 ‘시조의 길’을 따라 - 장경렬
담백한 언어, 긴 울림 - 신상조
길 위에서 만나는 존재자의 슬픔 - 염창권
이우걸의 시조 세계 - 유성호
근대성에 대한 이지적 통찰 - 엄경희
우리의 일상성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 이우걸 시조 - 우은진
현대시의 시정신, 그리고 현대시조의 정제미 - 이건청
희망을 꿈꾸는 위무(慰撫)의 시학 - 김진희
계승과 혁신의 변증법 - 박정선
제2부 이우걸 시조 연구
현대시조의 은유와 상징, 그 가능성과 한계 - 황치복
예술적 자의식으로서의 시쓰기 - 유성호
이우걸 시조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존재론적 성찰 - 우은진
이우걸 시조에 대한 고찰 - 유순덕
이우걸 단시조의 극서정성(極敍情性) 시론(試論) - 이경철
이우걸 시어의 상징성 의미 연구 - 김민서
이우걸 시조의 알레고리적 의미 세계 연구 - 이순희
제3부 현대시조문학사와 이우걸의 시조시학
나의 삶, 나의 문학 - 이우걸
나의 시조, 나의 시론 - 이우걸
현대시조 사가시인(四家詩人) 사색담론(四色談論) - 윤금초·박시교·이우걸·유재영
부록
이우걸 연보
이우걸 시조 연구서지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우걸 시인에게 역사, 전통, 고전 등은 삶과 언어를 움직이는 중요한 동력이 되어 왔다. 그는 파란 많은 한국 현대사를 통과하면서, 이 시·공간을 자신의 몸과 감각으로 체감하려 했고, 또 역사와 현실에 대한 의식을 언어로 승화하면서 창작을 진행해 왔다. 그런데 한편 눈여겨볼 특징은 이우걸 시인이 오늘의 역사를 만들어 온 작은 주체들의 힘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부조리한 현실과 일상을 시화하면서도 그 시·공간을 살아가는 구체적인 사람들. 실직자, 가장, 주부, 여고생, 노인 등의 삶을 전했던 시인은, 역사를 텍스트로 가져올 때도 거대한 서사를 넘어 구체적 개인의 서사를 통해 역사를 복원한다.
이우걸 시인은 끊임없는 성찰이 시조를 현대시의 차원에서 논의할 수 있을 만큼 발전시키고, 내 스스로 좋은 시인이 되는 데 도움을 주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작품을 창작한다고 한다.
시조만이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이 분명 있습니다. 이를테면 정제된 광채의 압운이나 활시위와 같은 긴장미 등. 그런데 이러한 것이 연시조에서는 성취하기가 어려운 것을 확인하게 되는 것만 보아도 단수 시조와 자유시의 변별이 뚜렷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오늘의 시인들은 시조의 본령인 단시조 창작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