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문화유산
· ISBN : 9788959861095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05-11-20
책 소개
목차
1장 국보란 무엇인가
1 국보와 보물의 차이는
- 국보 1호 숭례문과 보물 1호 흥인지문
2 국보의 지정과 해제
3 국보 지정의 역사
4 국보 1호 재지정 논란
- 국보 1호 재지정 관련 설문 조사 결과
5 국보 지정의 문제점
6 국보는 누구의 것인가
2장 국보에 얽힌 화제
1 통계로 본 국보
- 국보 121호 하회탈의 매력
2 지정 번호 하나에 유물은 여럿
3 건물과 건물 내 보관품이 모두 국보
4 제 짝을 잃어버린 국보
5 이름이 잘못된 국보, 안동 신세동엔 신세동 전탑이 없다
6 원래의 일부만 남아 있는 국보
7 국보는 얼마나 할까
- 한국 근현대 미술품 경매가 신기록의 보유자 박수근
3장 국보 미스터리
1 신라 금관의 실체
2 다보탑의 비밀
- 이색적인 월정사 8각9층석탑의 유래
3 팔만대장경의 비밀
4 천마도의 천마, 말인가 기린인가
5 석굴암 전실의 팔부중상, 8구인가 6구인가
6 국보 78호와 83호 반가사유상의 국적은
7 고운무늬거울의 0.05㎜ 선 1만 3천 개는 어떻게 만들었을까
8 암각화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그림인가
9 안동에는 왜 전탑이 많이 있을까
4장 야외 석조물 국보의 훼손과 보수
1 야외 석조물의 보수 복원의 역사
2 경천사 10층석탑의 기구한 운명
3 국보 1호 숭례문의 석재 탈락 및 보수
4 미륵사지 석탑 해체 보수
5 해체 보수 복원의 딜레마
- 수표교 해체 이전의 딜레마
6 야외 보호각 설치의 명암
5장 국보의 도난과 약탈, 가짜 사기극
1 국보 도난 사건
- 해외 문화재 미술품 도난 사건
2 도난 문화재 미술품의 회수
3 서구와 일본의 한국 문화재 약탈 및 파괴
4 해외에 남아 있는 국보급 문화재
5 일본 국보가 된 우리 문화재
6 가짜 국보와 발굴 조작
- 가짜 문화재, 어떻게 만들고 어떻게 찾아내나
6장 국보의 아름다움-국보 비교 감상
1 전통 건축물, 직선과 곡선의 미학
국보 49호 수덕사 대웅전 / 국보 18호 부석사 무량수전
국보 304호 여수 진남관 / 국보 305호 통영 세병관 / 국보 224호 경복궁 경회루
국보 23호 청운교 백운교 / 국보 22호 연화교 칠보교
2 탑과 부도, 그 돌의 미학
국보 2호 원각사지 10층석탑 / 국보 86호 경천사 10층석탑
국보 53호 연곡사 동부도 / 국보 54호 연곡사 북부도
국보 101호 법천사 지광국사현묘탑 / 국보 102호 정토사 홍법국사실상탑
3 청자와 백자, 화려함과 담백함
국보 93호 백자 철화포도무늬 항아리 / 국보 107호 백자 철화포도무늬 항아리
국보 94호 청자 소문 과형병 / 국보 114호 청자 상감모란국화무늬 과형병
국보 116호 청자 상감모란무늬 표형주전자 / 국보 133호 청자 진사연화무늬 표형주전자
국보 68호 청자 상감운학무늬 매병
국보 97호 청자 음각연화당초무늬 매병 vs 국보 252호 청자 음각연화무늬 매병
국보 254호 청자 음각연화절지무늬 매병
4 불상에 나타난 한국의 미소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 / 국보 83호 금동반가사유상
국보 84호 서산 마애삼존불 / 국보 307호 태안 마애삼존불
5 종소리와 향연香煙에 어린 불심, 불교 공예의 매력
국보 36호 상원사 동종 / 국보 29호 성덕대왕신종
국보 41호 용두사지 철당간 / 국보 136호 용두 보당
국보 75호 표충사 청동은입사 향완 / 국보 214호 흥왕사명 청동은입사운룡무늬 향완
6 죽은 자를 위하여, 고분 출토품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 국보 191호 황남대총 금관 / 국보 188호 천마총 금관
국보 154호 무령왕릉 출토 금제 왕 관장식 / 국보 155호 무령왕릉 출토 금제 왕비 관장식
국보 91호 기마인물형 토기 / 국보 275호 기마인물형 토기
7 선사인들의 일상, 선사 유물
국보 143호 세형동검 / 국보 231호 용범
국보 147호 천전리암각화 / 국보 285호 반구대암각화
8 돌에 글씨를 새긴 뜻, 비석의 의미
국보 205호 중원 고구려비 / 국보 264호 영일 냉수리 신라비 / 국보 242호 울진 봉평 신라비
국보 3호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 국보 198호 단양 신라 적성비 / 국보 33호 창녕 진흥왕 척경비
국보 목록, 1호부터 308호까지
이 책을 쓰는 데 참고한 논문과 책
국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
저자소개
책속에서
10년 간의 해체 보수 공사를 마치고 2005년 서울 용산의 새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된 경천사 10측석탑(높이 13.5m)과 서울 종로 3가 탑골공원에 있는 원각사지 10층석탑(높이 12m).
이색적인 이 두 탑은 비슷한 점이 너무 많다. 층수와 높이, 탑신과 지붕돌(옥개석) 등 전체적으로 흡사한 외형은 따로 말할 필요가 없다. 이뿐이 아니다. 화강암이 아니라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공통점. 하나는 고려 것이고 하나는 조선 것인데, 이렇게 똑같은 배경은 무엇일까.
두 탑의 공통점은 모두 라마교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그 영향은 1~3층의 탑신에 잘 남아 있다. 탑신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아자형亞字形이다. 정사각형이 있고 네 개의 변으로 직사각형이 튀어나온 모습이어서 아자형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아자형 두 개가 중첩되어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아자형 구조가 바로 중국의 라마교탑과 비슷한 대목이다. - 본문 199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