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교육비평
· ISBN : 9788959864010
· 쪽수 : 271쪽
· 출판일 : 2006-02-2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1장 대학은 어떤 곳이어야 하는가?
2장 왜 대학혁신이 요청되는가?
고등학생 졸업생 수 급감의 충격
지식사회경제의 도전
국가적 생존전략으로서 사람경쟁력 제고
3장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자
인성교육
강의의 질적 수준
복수전공
외국어 구사능력
강의품질 관련 제도개혁
창의적 연구 관련 제도혁신
교수직제의 다양화
교육 질 제고와 대학재정
4장 산학협동으로 취업률을 높이자
기업채용 관행의 변화
산학협동 교육의 기원과 사례
한국에서 가능한 인턴십 프로그램
취업 지원 센터의 전문성 제고
학생들의 졸업학점 포트폴리오
5장 대학도 특성화해야 한다
대학특성화 정의
대학원중심대학의 중요성과 현실
대학원중심대학을 위한 제도개혁
대학의 다양한 특성화: 사례연구
비인기학과의 폐과 가능성과 대책
6장 활력이 넘치는 평생교육의 장
평생교육의 필요성
대학의 평생교육 실태
특수대학원 운영실태와 독립채산제 시행
평생교육체계 구축을 위한 제도개혁 과제
평생교육기관의 학교기업화·영리법인화
평생교육과 대학제정
7장 대학 자율 경영시스템과 조직 혁신
학과(부)별 예산자율편성·집행제
팀으로 일하는 교수들과 제도개혁
정보기술 활용 리엔지니어링-BPR
팀으로 일하는 직원들
성균관대 팀제 도입 사례와 평가
8장 대학의 지배구조, 이제는 바꾸자
사립대학 지배구조의 현실
외국 사례와 사립대 지배구조의 개선
국립대학 지배구조의 개편
총장의 리더십
연방형 대학경영조직
9장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제안
고등학교에서의 관치교육 청산
고교평준화의 재정립
교육부 '3불' 정책의 폐기
이 책이 제안하는 정부차원의 제도개혁: 요약
맺는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재단의 대학재정 기여도의 취약성
학교법인 이사회는 대학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할 책임이 있다. 대학 장기발전에 필요한 시설자금, 교원들에 대한 연구지원 자금, 학생들에 대한 장학금지급 등의 조달책임도 기본적으로 학교법인에 있다.
그러나 포항공대와 같은 극히 일부의 대학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학교법인이 교직원의 연금 부담금, 의료보험 부담금 지불이라는 현행법이 규정하는 의무만을 겨우 수행하는 정도가 우리나라 사립대학의 현실이다.
(...) 따라서 적법을 위장한 편법 재정지원을 제외하면 사학재단의 대학재정 기여도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대학은 어떻게 성장해 왔는가? 대부분의 학교법인들은 대학설립 당시 출연자산이 크지 않았고, 그동안 대학에 대한 재정적 기여도도 거의 없엇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이 외형적으로 양적으로 비약적으로 발전해 온 것은 오로지 고학력에 대한 초과수요, 그리고 학생, 부모의 등록금 때문이었다. - 본문 194~19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