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비평론
· ISBN : 9788959869572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06-08-15
책 소개
목차
서문
1. 시라는 이름
2. 깊이와 넓이
3. 이전과 이후머리말 말의 운명
제1부 시라는 이름
말할 수 없는 것과 말해야만 하는 것
자기, 自記, 自棄, 自己의 구체
시가 살아가는 방식
감각의 이념
시간의 고임과 흐름
외부를 지향하는 시
제2부 깊이와 넓이
복수적 시간의 하강과 상승 - 김진경의 최근 시세계
기억의 현재 - 이강산론
붉은 기억의 전환에 대하여 - 이태관론
수평적 원리의 삶 - 윤임수론
제3부 이전과 이후
감각의 흐름, 이후 - 송재학론
넓게 퍼지는 사물들의 시간 - 김수우론
부재하는 기원과 시의 형식 - 박진성론
시가 솟아오르는 순간 - 윤성학론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의 서정시는 현재 너무 많은 고독에 실려 있을지 모르겠다. 실로 시란 고독의 산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고독의 힘에 도달한 시는 많지 않다고 여겨진다. 지나치게 순하거나 지나치게 소통 불능이기 때문에 시의 기운이 막혀버린 것은 아닐까?
시는 언제나 전미래시제로만 읽힐 수밖에 없다. 시의 논리는 언어 구성체가 탄생하고 난 다음의 문제라는 것이다. 시인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썼는가 하는 문제는 그러므로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눈여겨보아야 할 것은 시에는 어떤 결락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시의 힘이 있어야 한다는 말은 바로 이것을 뜻할 것이다. 이 힘의 구성 방식이 산문적 서사와는 다를 것임이 분명하지만, 시의 이미지들은 그 스스로 광범위한 파노라마를 이룬다. 이 속에서 자기 자신마저 부정하는 결락을 끌어안는 것이야말로 시에 힘을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한국의 서정시는 그 부정성의 자기 계기적 세계에 얼마만큼 발을 딛고 있을까? - 본문 69쪽, '시가 살아가는 방식'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