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하버드대학 중국 특강

하버드대학 중국 특강

(하버드 석학들의 36가지 질문, 중국의 현재와 미래를 묻다)

하버드대학 중국연구소 (지은이), 이은주 (옮긴이)
미래의창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9,5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34개 3,98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하버드대학 중국 특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하버드대학 중국 특강 (하버드 석학들의 36가지 질문, 중국의 현재와 미래를 묻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9894994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8-03-20

책 소개

정치, 경제, 국제 관계 등 각 분야별 석학들이 중국을 둘러싼 핵심 쟁점들을 36가지 질문 형식으로 제시한다. 저자들은 시진핑의 장기 집권 전략, 중국의 해상 영유권 분쟁, 중국 경제 성장의 둔화, 동아시아에서의 군사?외교적 역학관계 등 중국을 둘러싼 모든 문제들에 주목한다.

목차

Introduction
중국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가장 현실적인 조언

Part 1 정치
01. 중국 공산 정권은 정당성이 있는가
02. 반부패 운동에 숨겨진 실제 의도는 무엇인가
03. 왜 지금도 마오쩌둥이 중요한가
04. 소수 민족과의 갈등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05. 중국에서 여론이란 무엇인가
06. 중국 지도자가 장수하는 것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07. 중국 역대 왕조로부터 어떤 교훈을 얻을 것인가

Part 2 국제 관계
08. 아시아를 이끄는 국가가 될 수 있을 것인가
09. 중국의 군사력은 얼마나 강한가
10. 중국의 부상에 맞선 미국의 전략적 과제는 무엇인가
11. 중국 예외주의가 국제 사회에 미칠 영향은 무엇인가
12. 타이완은 중국 본토와 통합될 것인가
13. 중일 관계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인가

Part 3 경제
14. 중국은 고성장 기조를 유지할 수 있을까
15. 중국 경제는 경착륙을 향해 가고 있는가
16. 도시화는 중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7. 중국은 국제 무역 규정을 지킬 것인가
18. 중국의 신흥 부자들은 부를 어떻게 사회에 환원하는가
19. 중국의 빈곤 퇴치 정책이 시사하는 것은 무엇인가

Part 4 환경
20. 기후 변화와 대기 오염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21. 중국은 환경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가

Part 5 사회
22. 한 자녀 정책 폐지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23. 고령화와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24. 중국에서 종교란 과연 무엇인가
25. 달라이 라마의 계보는 이어질 것인가
26. 중국에서 법은 중요한 것인가
27. 중국인들이 미국 유학을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art 6 역사와 문화
28. 지금 중국에서 공자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29. 중국 문명에서 실크로드의 의미는 무엇인가
30. 중국 정치에서 지식인의 역할은 무엇인가
31. 고전 소설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32. 중국의 작가들이 꿈꾸는 미래는 무엇인가
33. 중국의 선전 전략은 실질적 효과가 있는가
34. 왜 여전히 문화대혁명에 대해 말하지 못하는가
35. 미래에 중국의 과거는 무엇을 의미할 것인가
36. 지난 60년간 중국 연구는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저자소개

하버드대학 중국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버드대학 페어뱅크 중국연구소(The Fairbank Center for Chinese Studies)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역사, 문화 등 다양한 분과의 석학들이 근현대 중국에 대해 사회과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한다. 동아시아 연구소(The Center for East Asian Research)로 설립되었다가 이후 설립자인 존 페어뱅크(John K. Fairbank)를 기리며 이름을 바꾸었다. 1955년에 설립된 이래, 인문학적 관점에서 텍스트 연구를 강조하는 관습적인 중국학에서 벗어나는 데 초점을 맞추어왔다. 보다 실질적인 차원에서 중국의 현실을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다. 21세기 들어 거대한 국가로 성장한 중국과의 관계는 미국과 동아시아 여러 국가들은 물론이고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특히 세계화에 따른 무한 자본주의 경쟁 시스템에서 오늘날 중국을 이해하는 것은 기업과 국가에게 매우 중요한 과제다. 하버드대학 중국연구소가 창립 60주년을 기념하여 《하버드대학 중국 특강》을 출간한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하버드대학 석학들이 이 책에서 던진 36가지 질문을 통해 중국에 대한 가장 현실적이고 유용한 관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펼치기
이은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고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금융과 경제 분야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전설의 프로 트레이더 빅 2》 《벤저민 그레이엄 자서전》 《모든 주식을 소유하라》 《투자의 미래》 《히트 메이커스》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시카고대학의 사회학자 딩신 자오와 리자이나대학의 정치학자 위차오 주를 비롯한 몇몇 학자들은 중국의 공산 정권이 현재까지 건재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한다. 마오쩌둥 시대 이후에 성취한 눈부신 경제 성장과 중국의 국제적 영향력 증대에서 비롯된 이른바 ‘성과에 근거한 체제 정당성’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통치 결과가 긍정적으로 산출되었다는 데서 오는 대중적 지지가 베버가 말한 체제 ‘정당성’의 근거를 주는 것은 아니다. (…) 요컨대 ‘성과 그 자체’는 정당성의 유형을 구분하는 기준이 아니라는 의미다. 지금의 중국 상황을 보면, 부정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지지를 받는 이유가 무엇일까 하는 질문을 던져볼 수 있다. 현재 중국은 경기 침체와 국제 외교 환경 악화로 인해 지난 수십 년 동안 이룩한 눈부신 성과를 갉아먹고 있는 모양새다. ‘성과 정당성’ 개념으로 중국의 정권 유지 상황을 설명하려 했던 학자들의 예측대로 부정적인 성과가 정권의 몰락으로 이어질 것인가? 아니면 공산당 정권이 대중적 지지에 따른 정당성이라는 근거를 이용해 닥쳐오는 국내 및 국제적 도전을 이겨나갈 수 있을 것인가? _ 〈중국 공산 정권은 정당성이 있는가〉 중에서


시진핑의 입지 강화를 위한 수단이기도 한 반부패 운동은 당의 역사 이해 및 체제 정당성의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부패가 생긴다는 것은 당원 사이에 ‘이념과 신념’이 상실됐다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당원이 공산당의 이념적 정체성을 상실한다면 시민 사회와 법치를 통해 이들을 단속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부패 척결을 통해 당의 규율과 기강을 회복할 수 있다면, 현 집권당인 공산당이 국민의 관심사와 이상을 대표하는 진정한 대변자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을 것이고 이로써 지속적 통치의 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_ 〈반부패 운동에 숨겨진 실제 의도는 무엇인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