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9894994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8-03-20
책 소개
목차
Introduction
중국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가장 현실적인 조언
Part 1 정치
01. 중국 공산 정권은 정당성이 있는가
02. 반부패 운동에 숨겨진 실제 의도는 무엇인가
03. 왜 지금도 마오쩌둥이 중요한가
04. 소수 민족과의 갈등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05. 중국에서 여론이란 무엇인가
06. 중국 지도자가 장수하는 것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07. 중국 역대 왕조로부터 어떤 교훈을 얻을 것인가
Part 2 국제 관계
08. 아시아를 이끄는 국가가 될 수 있을 것인가
09. 중국의 군사력은 얼마나 강한가
10. 중국의 부상에 맞선 미국의 전략적 과제는 무엇인가
11. 중국 예외주의가 국제 사회에 미칠 영향은 무엇인가
12. 타이완은 중국 본토와 통합될 것인가
13. 중일 관계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인가
Part 3 경제
14. 중국은 고성장 기조를 유지할 수 있을까
15. 중국 경제는 경착륙을 향해 가고 있는가
16. 도시화는 중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7. 중국은 국제 무역 규정을 지킬 것인가
18. 중국의 신흥 부자들은 부를 어떻게 사회에 환원하는가
19. 중국의 빈곤 퇴치 정책이 시사하는 것은 무엇인가
Part 4 환경
20. 기후 변화와 대기 오염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21. 중국은 환경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가
Part 5 사회
22. 한 자녀 정책 폐지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23. 고령화와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24. 중국에서 종교란 과연 무엇인가
25. 달라이 라마의 계보는 이어질 것인가
26. 중국에서 법은 중요한 것인가
27. 중국인들이 미국 유학을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art 6 역사와 문화
28. 지금 중국에서 공자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29. 중국 문명에서 실크로드의 의미는 무엇인가
30. 중국 정치에서 지식인의 역할은 무엇인가
31. 고전 소설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32. 중국의 작가들이 꿈꾸는 미래는 무엇인가
33. 중국의 선전 전략은 실질적 효과가 있는가
34. 왜 여전히 문화대혁명에 대해 말하지 못하는가
35. 미래에 중국의 과거는 무엇을 의미할 것인가
36. 지난 60년간 중국 연구는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리뷰
책속에서
시카고대학의 사회학자 딩신 자오와 리자이나대학의 정치학자 위차오 주를 비롯한 몇몇 학자들은 중국의 공산 정권이 현재까지 건재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한다. 마오쩌둥 시대 이후에 성취한 눈부신 경제 성장과 중국의 국제적 영향력 증대에서 비롯된 이른바 ‘성과에 근거한 체제 정당성’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통치 결과가 긍정적으로 산출되었다는 데서 오는 대중적 지지가 베버가 말한 체제 ‘정당성’의 근거를 주는 것은 아니다. (…) 요컨대 ‘성과 그 자체’는 정당성의 유형을 구분하는 기준이 아니라는 의미다. 지금의 중국 상황을 보면, 부정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지지를 받는 이유가 무엇일까 하는 질문을 던져볼 수 있다. 현재 중국은 경기 침체와 국제 외교 환경 악화로 인해 지난 수십 년 동안 이룩한 눈부신 성과를 갉아먹고 있는 모양새다. ‘성과 정당성’ 개념으로 중국의 정권 유지 상황을 설명하려 했던 학자들의 예측대로 부정적인 성과가 정권의 몰락으로 이어질 것인가? 아니면 공산당 정권이 대중적 지지에 따른 정당성이라는 근거를 이용해 닥쳐오는 국내 및 국제적 도전을 이겨나갈 수 있을 것인가? _ 〈중국 공산 정권은 정당성이 있는가〉 중에서
시진핑의 입지 강화를 위한 수단이기도 한 반부패 운동은 당의 역사 이해 및 체제 정당성의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부패가 생긴다는 것은 당원 사이에 ‘이념과 신념’이 상실됐다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당원이 공산당의 이념적 정체성을 상실한다면 시민 사회와 법치를 통해 이들을 단속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부패 척결을 통해 당의 규율과 기강을 회복할 수 있다면, 현 집권당인 공산당이 국민의 관심사와 이상을 대표하는 진정한 대변자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을 것이고 이로써 지속적 통치의 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_ 〈반부패 운동에 숨겨진 실제 의도는 무엇인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