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88959968282
· 쪽수 : 564쪽
· 출판일 : 2021-09-30
책 소개
목차
간행사
책머리에
제1부 달구벌이 낳은 이상화
01 이상화의 삶과 문학, 혹은 자서전
그 적막하던 달구벌을 울린 메아리
글쓰기를 중단한 시절
02 계몽시대의 문을 연, 이상화 집안사람들
대구지역의 민족계몽과 지성의 산실
사설 계몽교육기관 우현서루
상화의 큰아버지 소남 이일우
큰집맏형 상공인 이상악
상화의 아버지 우남 이시우와 어머니 김신자
상화의 네 형제들, 용봉인학
경주 이장가와 밀접한 인연을 가진 사람들
03 이상화 문학의 현장
이상화 문학의 현장
동산과 청라언덕
상고예술학원의 추억
전국 최초로 세운 달성공원 이상화 시비
조선인이 운영한 백화점 무영당
<나의 침실로>의 배경 현장
‘빼앗긴 들’의 현장
≪별건곤≫ 특집에 실린 <대구행진곡>
예쁜 인형들이 노는 호사스런 동경에서
04 이상화의 문단활동과 동인지
지역과 경성을 연계한 문단 활동
지역문학 동인지의 뿌리 ≪거화≫
김승묵이 창간한 ≪여명≫과 ≪여명문예선집≫
우리나라 최초의 사화집 ≪조선시인선집≫
오일도가 간행한 ≪시원≫
짧았던 ≪백조≫ 동인 활동
시전문지 ≪금성≫ 창간과 고월 이장희의 죽음
≪백조≫ 해체와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작두로 자근자근 썰어서 폐간한 ≪개벽≫ 제72호
순수문학을 표방한 ≪조선문단≫과 계급문학을 지향한 ≪문예운동≫
≪별건곤≫과 대구의 노래
제2부 이상화 시인의 저항과 좌절
01 외롭고 쓸쓸한 식민 시대, 시인 이상화
내가 상화를 만난 어느 봄날
02 상화의 대구지역 문화예술활동을 통한 일제 저항
1919년 대구 3.1독립운동과 상화
중국 이상정 장군을 찾아
1927년 붓을 꺾고 문화예술 사회운동으로
대구경북 신간회 ㄱ당 사건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 사건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의 주도자와 연계
신간회 대구지부 출판간사, 근우회 활동 지원
인재양성과 독립운동
‘ㅇ과회’와 문화예술활동
‘대구청년동맹’과 문화예술활동
홍해성 신극운동에 가담하다
제3부 이상화 문학텍스트 읽기
01 <나의 침실로>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조응
이상화 문학, 변화의 시기 구분
이상화의 문학과 사회성의 문제
<나의 침실로>의 수밀도 같은 젖가슴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부드러운 젖가슴
이상화 시의 시적 실험
계급문학에 대한 인식
02 이상화 문학 읽기의 다양한 왜곡과 오류
상화의 문학텍스트 전모조차 몰라
이상화의 문학텍스트 현황
추모 시집 ≪하늘은 부끄럽게 푸릅니다≫의 오류
백기만의 ≪상화와 고월≫이 남긴 왜곡
백기만 편, ≪씨 뿌린 사람들≫의 왜곡
일어 번역의 오류와 일제 검열의 문제
이정수의 소설이 김학동의 평전으로 둔갑
이상화 도록에 나타난 오류
상화 시 평론에 드러난 왜곡
이상화 시인의 삶에 대한 기록들의 치명적 오류
03 이상화 시 다시 읽기
상화 시 세계의 일관성
몇 가지 서로 다른 시각
이상화 시에 나타나는 도상성과 양극성
낭만적 저항 <나의 침실로>
상화 시에 나타나는 종교적 의지
좌절의 수사학, <전복>, <역천>의 시적 패러독스
상화 시의 레토릭
이상화 시에서 비유와 상징
이상화의 시 문법과 수사
04 상화시에 나타나는 토속어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방언연구
문학 언어로서 방언
이상화 시집 교열본 텍스트의 오류의 실태
05 이상화 산문에서 보이는 문학정신
이상화의 문학 유산
이상화의 평론
이상화의 창작소설과 번역소설
이상화의 수필 및 기타
시란 가장 산뜻한 생명의 발자욱
이상화의 글쓰기의 지향점
새로 대량 발굴된 편지
06 이상화의 시와 페미니즘
상화를 둘러싼 여성
상화 시에서 여성성과 죽음과 생명
이상화 고택 보존 운동을 되돌아보면서
이상화 시인 고택 보존 결실 <시민의 힘>
이상화 삶의 연보
이상화 작품 연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