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59968312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1-11-10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책머리에
열거, 혹은 개별적인 존재의 호명
1. 전통의 계승과 쇄신
2. 전통시가의 열거법과 백석 시의 열거법
3. 개별적인 존재의 호명, 혹은 차이의 미학
4. 이질적인 것의 동(질)화
5. 세계와의 교감, 그 풍요로움
두 개의 모닥불: <모닥불>에 대한 새로운 해석
1. <모닥불>에 대한 오해
2. 서사적 시간의 도입과 ‘숨은 주인공’
3. 축제의 모닥불, 그 상징적 의미
4. 재앙의 모닥불과 ‘슳븐력사’의 흔적
5. 모닥불에 담은 소망
근대의 시선과 무속: 백석 시에 나타난 무속
1. 무속을 바라보는 몇 개의 시선
2. 세계의 재마법화와 백석의 무속
3.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에 숨겨진 의미
4. 속신(俗信)의 이면
5. 무속을 보는 제3의 시선
구술문화의 전통과 방언 사용의 의미: 백석 시의 ‘입말’ 지향성을 중심으로
1. 근대화와 구술문화/입말의 운명
2. 토속적 생활세계와 구술문화
3. 백석 시의 “방언/입말” 지향
4. 백석 시의 방언과 조선어 안의 이질성
‘길 위의 삶’과 영혼의 허기
1. 음식과 개인의 정체성
2. 음식, 그리고 ‘먹는다는 것’의 의미
3. ‘영혼의 허기’와 유년의 음식
4. 음식과 공동체의 역사
5. 영혼의 음식 ‘메밀국수’
6. 사적인 것을 통해 만나는 공동체
“그때 거기”의 꿈과 좌절: 시인으로서의 자의식과 ‘게으름’의 미학
1. 백석과 만주
2. 만주를 대하는 착종된 시각
3. “그때 거기”와 “지금 여기”
4. 시인으로서의 자의식과 ‘게으름’의 미학
5. 귀환에의 꿈과 소망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과 해방 전후의 백석
1.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 풀리지 않은 매듭
2. 자책과 자기연민의 드라마
3. 대조의 미학: “춥고 누긋한 방-화로”와 “먼 산-갈매나무”
4. 백석의 해방 전후
5. ‘낮은 곳’으로의 귀환
‘북한’시인의 길과 북한‘시인’의 길
1. ‘북한’시인의 길로
2. 해방, 그리고 침묵과 모색
3. 전후 북한 시단의 변화와 창작의 재개
4. 북한‘시인’과 ‘북한’시인의 거리
5. 유일지도체계의 정착과 ‘북한’시인의 삶
6. ‘시인’의 죽음
공산주의 교양과 북한 아동문학의 향방: 백석의 동시와 “아동문학 논쟁”을 중심으로
1. ‘새 인간’의 창조와 아동문학
2. 백석의 동시관(觀)과 동시
3. ‘아동문학 논쟁’의 경과와 그 의미
4. 현지파견 이후의 동시
5. 절필과 ‘문학 지도원’의 삶
참고문헌